$\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The effect of informal grandparent-provided child care and support on married women's additional birth plans: A panel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8 no.2, 2014년, pp.163 - 182  

한영선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연숙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formal grandparent-provided child care and support on married women's additional birth plans. This study applied panel data analysis to thre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KLoWF) and obtained two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혼여성의 사회경제학적 특성 및 가계특성이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취업자 모형으로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 취업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 1-3차 자료를 이용한 패널분석(panel data analysis)을 통해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들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조부모가 수행하는 손자녀 돌봄 및 지원에 의해 여성들이 출산·양육에 대한 부담을 덜고, 추가출산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패널분석을 통해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들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모가 어떤 종류의 자원 (가사노동 및 손자녀 돌봄 지원, 경제적 자원 등) 을 성인자녀에게 이전하여 성인자녀들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성인자녀의 부모의 생존여부, 성인자녀의 부모와의 동거,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손자녀돌봄 및 가사노동 조력 등의 변수들을 연구모형에 투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출산율 회복을 위한 가족지원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일찍이 1960년대 이후 저출산 현상이 나타난 서구사회에서는 출산율 회복을 위해 명시적 (explicit) 가족정책을 추진하여 근로자들을 위한 자녀 출산·양육기 부모휴가 제공, 공보육을 포함한 이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보육서비스 확대, 그리고 가족수당, 아동수당, 양육수당 등의 현금 급여 제공 등 여러가지 형태의 가족지원책을 마련하여 신사회위험(new social risk)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이진숙 · 신지연 · 윤나리, 2010). 이러한 가족지원책들은 자녀의 출산 및 양육에 따른 부모들의 부담을 사회가 분담하여 부모들의 출산수요 증가를 유도하고, 여성들의 부모권과 노동권을 함께 보장하여 궁극적으로 국가성장 발전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홍승아 외, 2008).
OECD 국가들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OECD(2011) 통계에 의하면 OECD 국가들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 2.76, 1980년대 2.18, 1990년대 1.91, 2000년대 1.68로 꾸준히 하락하였고, 2011년에는 1.70의 합계출산율을 기록하였다.
자녀돌봄을 위한 가족, 친지 등의 인적 네트워크가 보육서비스를 대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OECD(2009) 통계에 의하면 3-5세 아동의 보육기관 등록률은 우리나라가 40.4%로 나타나 스웨덴 92.1%, 노르웨이 95.6%, 미국 55.3%, 네덜란드 67.2%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통계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 보육기관 수 부족에 의한 것으로 공보육 중심의 보육인프라가 발달된 노르딕 국가의 경우 3-5세 아동의 보육기관 이용률이 높아 우리나라와 대조를 이루었다. 낮은 수준의 공식 보육서비스 이용률은 가족 등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의 이용률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비공식 자녀돌봄 이용률은 23.6%로 나타나 프랑스 19.6%, 스웨덴 0.5%, 덴마크 0.1%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된다(OECD,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유진(2007).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39-653. 

  2. 강유진(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3. 김순기.유영주(1994). 기혼여성의 시어머니 및 친정어미와의 상호지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209-219. 

  4. 김은정(2011). 영유아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취업모 맞벌이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6. 김현식.김지연(2012). 부모동거가 첫째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2(3), 5-32. 

  7. 민인식.최필선(2009).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 한국STATA학회. 

  8. 안윤숙.이상호(2010). 공보육정책이 자녀출산 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3, 227-258. 

  9. 여성가족패널. http://klowf.kwdi.re.kr/intro.do?methodgoIntro. 

  10.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11. 이진숙.신지연.윤나리(2010). 가족정책론. 서울 : 학지사. 

  12. 이형민(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1), 1-31. 

  13. 임현주.이대균.최항준(2011). 친지의 사회적 지원, 부모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탐색. 유아교육연구, 31(6), 167-189. 

  14. 정은희.최슬기.김미선.박은경.정은영 (2012). 둘째자녀 출산제약 요인분석과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5. 정은희.최유석(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 연구, 33(1), 5-34. 

  16. 정혜은.진미정(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 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47-164. 

  17. 차승은(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3, 111-134. 

  18. 최영.차승연(2013). 손자녀 돌봄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40(3), 183-206. 

  19. 통계청. 출생통계 각 년도. 

  20. 한영선(2013).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1. 홍승아.류연규.김수정.정희정.이진숙. Frederique, L..Jane, J..Laura, D.D..Soma, N(2008). 일가족양립정책의 국가별 심층사례 연구. 연구보고서 1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 Arnaud, R. L., A., Daniele, V. & Catriona, D.(2011). Fertility intentions and obstacles to their realization in France and Italy. Population, 66(2), 361-389. 

  23. Becker, G. S.(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24. Becker, G. S., Murphy, K. M. & Tamura, R.(1994).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in: XII. Human capital,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3r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3-350. 

  25. Bower, B. F. & Myers, B. J.(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26. Burton, L. M.(1992). Black grandparents rearing children of drug-addicted parents: stressors, outcomes, and social service needs. The Gerontologist, 32(6), 744-751. 

  27. Del Boca, D.(2002). The effect of child care and part time opportunities on participation and fertility decisions in Italy. IZA Discussion, 427. 

  28. Duvander, A. Z., Lappegard T. & Andersson, G.(2010). Family policy and fertility: fathers' and mothers' use of parental leave and continued childbearing in Norway and Sweden.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20(1), 45-57. 

  29. Eva, G. M. & Zoe, K.(2012). With Strings Attached: Grandparent-provided child care, fertility, and female labour market outcomes. EUI Working Paper MWP, 2012, 29. 

  30. Hank, K. & Kreyenfeld, M.(2003). A Multilevel analysis of child care and women's fertility decisions in Western German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3), 584-596. 

  31. Hogan, D. P., Hao, L. & Parish, W. L.(1990). Race, kin networks, and assistance to mother-headed families. Social Forces, 68(3), 797-812. 

  32. Hyatt, D. E. & Milne, W. J.(1991) Can public policy affect fertility? Canadian Public Policy, 17(1), 77-85. 

  33. Jappens, M. & Van Bavel, J.(2012). Regional family norms and child care by grandparents in Europe. Demographic Research, 27, 85-120. 

  34. Kim, H. W.(2013). Fertility intentions and behavior in a lowest-low fertility country: Findings from Korea. XXVII IUSSP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35. Kim, J.(2005). Sex selection and fertility in a dynamic model of conception and abortio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8(1), 41-67. 

  36. Mathews, P. & Sear, R.(2013). Family and fertility: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to a second birth in the British household panel study. PLoS ONE, 8(3), e56941. 

  37. OECD(2008). Informal child care arrangements. Family Database.OECD Paris. 

  38. OECD(2009). Enrolment in childcare and pre-schools. Family Database.OECD Paris. 

  39. OECD(2011). Fertility rates, 1970-2011. Family Database.OECD Paris. 

  40. OECD(2011). Doing better for familie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 97892 64098732-en. 

  41. OECD(2012). Gender pay gaps for full-time workers and earnings by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Database.OECD Paris. 

  42. Ronsen, M.(2004). Fertility and public policies - Evidence from Norway and Finland. Demographic Research, 10(6), 143-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