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델파이 기법에 의한 한국 성인의 식습관 조사용 설문지 개발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of Korean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3, 2014년, pp.258 - 273  

조진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남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for Korean adults, and unify the terms related to dietary habits. Methods: The Delphi method by 43 professionals on dietary habit research was applied to unify the terms. Results: With regard to results 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습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할 때 전문가의 견해가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식습관 관련 용어를 통일하고, 식습관에 대한 개념 정의를 내리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성인의 식습관조사를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겸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식습관 관련 용어를 통일하고, 식습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며 한국 성인의 식습관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서 고찰한 내용이 영양학 연구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나아가 장래를 예측할 수 있게 할 것임을 고려할 때 연구자간의 용어 정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습관 관련 용어의 통일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식습관 관련 용어를 하나로 통일할 경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용어 한 가지에 표시하도록 하였을 때, 델파이 위원 43명의 선택에 따라, 식습관 관련 용어는 ‘식습관’(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용 타당도는 무엇인가? 한편,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내용 타당도, 준거 타당도, 구인 타당도 등이 있는데, 내용 타당도의 경우 표집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어떤 수량적 지수가 없을 때 객관적 근거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주관적인 타당도 측정 방법이다(Seong 2002). 델파이 연구방법은 내용 타당도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한 가지로서, 정리된 자료가 별로 없고 통계모형을 통한 분석을 하기 어려울 때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구하고 종합적인 방향을 전망해 보는 기법이다(Lee 2001).
만성 질환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특히 성인기는 인생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인 동시에, 만성 질환의 발생이 두드러지는 시기이다(Chang 등 2011). 만성 질환의 발병 원인 중 60% 이상이 먹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치 않은 식습관으로서 불규칙한 식사, 에너지 과잉 섭취,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의 과잉 섭취, 복합당질 및 식이섬유의 섭취 감소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설문지 개발에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내용 타당도, 준거 타당도, 구인 타당도 등이 있는데, 내용 타당도의 경우 표집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어떤 수량적 지수가 없을 때 객관적 근거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주관적인 타당도 측정 방법이다(Seong 2002). 델파이 연구방법은 내용 타당도를 이용한 연구방법의 한 가지로서, 정리된 자료가 별로 없고 통계모형을 통한 분석을 하기 어려울 때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구하고 종합적인 방향을 전망해 보는 기법이다(Lee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ang NS, Lee YS, Lim HS, Ahn HS (2011):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Kyomunsa, Paju, pp. 309-312 

  2. Choi JH, Lee ES, Lee YJ, Lee HS, Chang HJ, Lee KE, Yi NY, Ahn Y, Kwak TK (2012): Development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by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technique. Korean J Community Nutr 17(2): 167-181 

  3.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 Psychol Meas 20(1): 37-46 

  4. Han BR, Bae HS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folate Intake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7(2): 156-166 

  5. Im SJ (2011): Dietary habit and vegetables Intake of certain adults women with irregular meal time. Dissertation, Keimyng University, pp. 42-54 

  6. Ji SK, Kim HS, Choi H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energy intake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1): 111-124 

  7. Jo JS, Lee KS, Kim KN (2011): Research trend of nutrition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6(2): 278-293 

  8. Kim HH,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hn MY, Lee YK (2009):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Korean J Nutr 42(5): 486-495 

  9. Kim H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1): 83-92 

  10. Kim KN, Hyun TS,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3): 475-483 

  11. Kim KN, Kim AJ, Park ES, Woo MK, Lee BK, Hyun TS (2000): Content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used in dietary surveys. Korean J Community Nutr 5(4): 697-708 

  12. Kim MK Yun YM, Kim YO (2008): Developing dish-bas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epidemiology study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13(5): 701-712 

  13. Kim MY, Suh I, Nam CM, Yoon JY, Shim JS, Oh KW (2002):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Korean J Nutr 35(2): 250-262 

  14. Kim WY, Yang EJ (1998):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 31(2): 220-230 

  15.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Hawoo, Seoul, pp. 175-186 

  16.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The statistics of chronic disease.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cited January 13, 2014] 

  17. Kwon DH (2008): Education evaluation. Hakjisa, Seoul, pp. 17-38 

  18.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 Psychol 28(4): 563-575 

  19. Lee HJ, Lee HS, Ha MJ, Kye SH, Kim CI, Lee CW, Yoon JS (1997):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adults in large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3): 349-365 

  20. Lee HJ, Park SJ, Kim JH, Kim CI, Chang KJ, Yim KS, Kim KW, Choi HM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uteriz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ogram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7(2): 277-285 

  21. Lee HY, Chung LN, Yang IS (2005): Conceptualizing and prospecting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in Korea by delphi technique. Korean J Nutr 38(3): 251-258 

  22. Lee JS (2001): Delphi method. Kyoyookbook, Paju, pp. 7-49 

  23. Lee JY, Ahn HS, Kim YS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calcium intak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1(1): 8-17 

  24. Lee YM, Lee MS, Lee MJ, Kim JH, Chung HY (2013):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Yangseowon, Paju, pp. 283-287 

  25.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1): 58-66 

  26. Paik HY, Ryu JY, Choi JS, Ahn YJ, Moon HK, Park YS, Lee HK, Kim YI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28(9): 914-922 

  27. Park DS (2007): Education evaluation. Kyoyookbook, Paju, pp. 8-23 

  28. Park JA, Yoon JS (2001): A screening tool for identifying high-risk pregnant women of fe deficiency anemia : process I. Korean J Community Nutr 6(5): 734-743 

  29. Park JA, Yoon JS (2003): A screening tool for identifying high-risk pregnant women of fe deficiency anemia : process II. Korean J Community Nutr 8(2): 160-170 

  30. Park YS, Han JL, Lee JW, Cho HS, Koo JO, Kim JH, Yoon JS (2002): The development of a simpl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screening the overweight-type dietary pattern in 30 to 49 year old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7(4): 495-505 

  31. Park YS, Lee JW (2002): Development of a simpl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screening the dietary patterns of overweight young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7(5): 675-685 

  32. Ryu SH, Yoon JH (2009): The use of likert scale in community nutrition research: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4(5): 600-607 

  33. Seong T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Hakjisa, Seoul, pp. 36-181 

  34. Shim JS, Oh KW, Suh I, Kim MY, Sohn CY, Lee EJ, Nam CM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4): 484-494 

  35. Son SM, Huh GY, Lee HS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0(5): 677-692 

  36. Son SM, Park YS, Lim WJ, Kim SB, Jeong YS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6): 838-853 

  37. Won HS, Kim WY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 Korean J Nutr 33(3): 314-323 

  38. Yim KS, Lee TY, Park HS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2): 149-159 

  39. Yon MY, Hyun TS (2008):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intake. Korean J Nutr 41(5): 414-427 

  40. Yon MY, Hyun TS (2009):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42(1): 38-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