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간호사 역량 증진을 위한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1, 2017년, pp.90 - 100  

민명진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  유소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the nursing competency of ambulatory nurses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for use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evaluation tool for ambulatory nursing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외래간호사에게 필요로 되는 핵심간호역량을 규명하고 단순한 평가의 개념이 아닌 필요한 역량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개발된 도구를 활용한 중요도-수행도 평가를 통해 장기적으로 외래간호의 질을 향상시켜 환자 및 내원객들이 높은 수준의 간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간호사의 인력측면에서 현재 상황은? 특히 사회적, 법적, 기술 및 보건 산업 동향은 외래 진료 환경의 진료 시스템과 전문간호수행의 변화를 가져와 오늘날 외래 진료는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조직 및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1]. 그러나 외래의 이러한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는 부족한 실정으로[5] 증가하는 환자 수에 비해 한정된 간호인력에 의한 운영은 외래 간호 환경에서 간호의 질과 관련하여 큰 도전이 되고 있다[1].
미국 외래간호학회에서는 전문화된 외래 간호에 대해 어떻게 정의했는가? 미국 외래간호학회(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Care Nursing)에서는 전문화된 외래 간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내렸다. ‘독립적이고 협업적인 실천을 포괄하는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전문 분야로 외래 간호 실무는 간호 및 건강 과학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기반 위에 구축되며 간호과정에 뿌리를 둔 임상 전문 지식의 적용 뿐 아니라 다양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근거기반 의사결정을 적용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외래간호사는 환자 결과를 개선하는 동시에 환자의 안전과 치료의 질을 보장해야 할 책임이 있다.’[6]
외래간호의 특징은? 이러한 외래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운영의 필요성은 병원조직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역량 있는 간호사의 배치를 통한 효과적인 운영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1]. 외래간호는 다른 간호 분야에 비해 간호수행 측면에서도 차별화되는데 특히 짧은 시간동안 예측하기 어려운 수많은 고객의 요구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해야하며 그러한 요구 또한 신속하게 해결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4]. 특히 사회적, 법적, 기술 및 보건 산업 동향은 외래 진료 환경의 진료 시스템과 전문간호수행의 변화를 가져와 오늘날 외래 진료는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조직 및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n JW. Transitioning the RN to ambulatory care: An investment in orientation.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16; 40(2):115-121. https://doi.org/10.1097/naq.0000000000000151 

  2.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Chartbook: trends affecting hospitals and health systems [Internet]. [cited 2016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aha.org/research/reports/tw/chartbook/ch3.shtml 

  3. Statistics Korea. Number of daily outpatients per year [Internet]. [cited 2016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30_N007&conn_pathI2 

  4. Mastal M, Matlock AM, Start R. Ambulatory care nurse-sensitive indicators series: Capturing the role of nursing in ambulatory care--the case for meaningful nurse-sensitive measurement. Nursing Economic$. 2016;34(2):92-97. 

  5. Committee on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itiative on the Future of Nursing. at the Institute of Medicin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stitute of Medicine (US).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6.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Task Force. Definition of professional ambulatory care nursing [Internet]. Pitman, NJ: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2011. [updated 2011 March 8; cited 2016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aaacn.org/sites/default/files/AmbulatoryCareNursingDefinition.pdf 

  7. Swan BA, Haas SA, Chow M. Ambulatory care registered nurse performance measurement. Nursing Economic$. 2010;28(5): 337-339, 342. 

  8.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2;82(3):402-407. 

  9. While AE. Competence versus performance: Which is more importa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4;20(3):525-531.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4.tb02391.x 

  10. Kang YS, Lee SJ, Kim IJ, Ahn KH.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3):219-228. 

  11. Park MR, Kim NC.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57-27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57 

  12. Park KO, Lee YY. Developing a performance appraisal tool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267-276. 

  13. Park SA, Park KO, Kim MS, Yoon GS, Lee YY.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1):71-84. 

  14. Lee YY.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appraisal tool for postoperative anesthesia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70-278.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70 

  15. Hwang HY, Park JH, Kim JS, Chen IS, Kim MS, Bae KO, et al.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1):109-117. 

  16. Song MR, Park KJ.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51-46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51 

  17. Carper BA.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78;1(1):13-24. 

  18.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19.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20. Kim HS.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21. Seomun GA, Chang SO, Cho KH, Kim IA, Lee SJ.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 (1):151-158. 

  22. Han YH, Park YR.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 (4):462-469.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62 

  23. Ryu JM, Kim MS.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leadership on elderly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6;41(4): 392-402. 

  24. Ha NS, Choi J.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 16(3):286-294.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3.286 

  25. Kim HS, Min S, Im SI. The effect of nurse's competency empowerment and boss' job competency recognition level on work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75-82.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75 

  26. Ko YK, Lee TW, Lim JY.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3):286-294. 

  27.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977;41(1):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8. Kalb KB, Cherry NM, Kauzloric J, Brender A, Green K, Miyagawa L, et al.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public health nursing performance appraisal. Public Health Nursing (Boston, Mass.). 2006;23(2):115-138. https://doi.org/10.1111/j.1525-1446.2006.230204.x 

  29. Loyola University Health System. Ambulatory & specialty criteria [Internet]. 2001. [updated 2014 May 15; cited 2015 July 8]. Available from: http://www.luhs.org/feature/nursing/Clinical_Ladder/Cri terion/CLADAmb.spec%20combo.2009.pdf. 

  30. Baghi H, Panniers TL, Smolenski MC. Description of practice as an ambulatory care nurs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practice-analysis survey.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7;15(1):62-76. https://doi.org/10.1891/1061374077808517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