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음인 정상-과체중군과 비만군의 식이관련지표 및 식사 전후 Gut Hormone 비교연구
The Comparisons of Eating-Related Index and Pre- and Post-Prandial Gut Hormone Patterns between Normal-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of Taeemin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4 no.1, 2014년, pp.36 - 45  

이지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박병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이준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ay was to compare the eating-related index and the patterns of pre- and post-prandial gut hormone level in normal-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of Taeemin population. Methods: We enrolled healthy male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Taeeumin by Sasang Cons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상체질 중 높은 비만 유병률을 보이는 태음인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식이 관련 지표 및 식사 전후 gut hormone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여 사상체질과 비만, 사상체질과 gut hormone profiling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음인의 특징은? 태음인(太陰人)은『東醫壽世保元』4)에 등장하는 사상체질의 하나로, 태음인은 다른 세 체질에 비해 비만해지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5), 실제로 BMI 25 kg/m2 이상의비만인구 중 태음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6).
비만은 어떠한 만성질환인가? 비만(obesity)은 국내 유병률이 최근 지속적 증가 추세이며 우리나라 성인 남자 3명 중 1명, 여자 4명 중 1명, 소아청소년 10명 중 1명은 비만1)으로 더 이상 서구의 질환이 아니다. 비만은 심혈관계질환, 뇌혈관계질환,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위험성을 높이는 만성질환이다2).
Gut hormone의 기능은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Gut hormone은 기능은 short-term effect와 long-term effect로 나눌 수 있다. short-term effect로 대부분의 gut hormone은 ‘satiation’과 ‘satiety’를 촉진시켜 anorectic effect를 보이게 되고, ghrelin은 식욕과 음식섭취를 자극하여 gut hormone 중 유일하게 orexigenic effect를 나타낸다22). Ghrelin은 식욕과 음식섭취를 자극하는 gut hormone이며 일반적으로 식사와 함께 급격히 상승한 후 식사 시작 후 1시간 이내에 다시 최저치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ghrelin이 음식 섭취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3). 다른 위장관 호르몬들은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PYY는 시상하부의 Y2 receptor에 결합하여 식욕을 증진시키는 neuropeptide Y의 분비를 억제하여 식욕을 감소시킨다24). 일반적인 혈장 PYY 농도는 식후 15분 이내에 증가되어 1~2시간 후에 가장 최고치에 이루고 몇 시간 동안 유지된다17). 이들 gut hormone들은 long-term effect로 energy homeostasis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Statistical information on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2012. Chapter 2 Chronic disease [Internet]. Cheongwo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4 Jun 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2.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Media centre [Fact sheets] 2014 [cited 2014 Jun 7]; 1(1):[4 screens].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mediacentre/factsheets/ obesity/en/ 

  3. Bassett J,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Chapter 2 Assessment/diagnosis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Force; 2000 [cited 2014 Jun 8].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docs/Redefinin gobesity.pdf. 

  4.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The clinical guide 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The literature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nd ed. Seoul : Hanmi Medical Publishing. 2010 : 185-272. 

  5. Kim DL, Beck TH. Clinical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1996 ; 8(1) : 319-35. 

  6. Lee KS, Seok JH, Kim SH, Kim YH, Lee SK, Lee EJ, et al.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of obese patients of each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7 ; 19(2) : 94-112. 

  7. NHLBI Obesity Education Initiative Expert Panel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in Adults (US).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Internet]. Bethesda (MD):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998 [cited 2014 Jun 8].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2005/. 

  8. Neary MT, Batterham RL. Gut hormones: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Pharmacol Ther. 2009 ; 124(1) : 44-56. 

  9. Karra E, Batterham RL. The role of gut hormones in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and energy homeostasis. Mol Cell Endocrinol. 2010 ; 316(2) : 120-8. 

  10.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982 ; 12(4) : 871-8. 

  11. Lee MG, Lee YH, Park SH, Son CH, Jeong YJ, Hong SG,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I: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Psychosom. 1998 ; 6(2) : 155-75. 

  12. Thelen MH, Farmer J, Wonderlich S, Smith M. A revision of the Bulimia test: the BULIT?R. Psychological assessment. J Consult Clin Psychol. 1991 ; 3(1) : 119-24. 

  13. Yoon HY. The relatlonships amomg Binge eating behavior, depressive symptoms, and attributional style. MS Thesis. Seoul :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1997 : 1-54. 

  14. Kim HJ, Lee IS, Kim JH.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J Korean Clin Psychol. 1996 ; 15(1) : 141-50. 

  15. Song IB. A study on the symptomatic-pharmacology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1998 ; 10(2) : 1-14. 

  16. Kim EY, Kim JW. A clinical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2004 ; 16(1) : 100-11. 

  17. Guo Y, Ma L, Enriori PJ, Koska J, Franks PW, Brookshire T, et al. Physiological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peptide YY in the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in humans. Obesity (Silver Spring). 2006 ; 14(9) : 1562-70. 

  18. Feigerlova E, Diene G, Conte-Auriol F, Molinas C, Gennero I, Salles JP, et al. Hyperghrelinemia precedes obesity in Prader- Willi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08 ; 93(7) : 2800-5. 

  19. Adam TC, Westerterp-Plantenga MS. Glucagon-like peptide-1 release and satiety after a nutrient challenge in normal-weight and obese subjects. Br J Nutr. 2005 ; 93(6) : 845-51. 

  20. Doucet E, Laviolette M, Imbeault P, Strychar I, Rabasa-Lhoret R, Prud'homme D. Total peptide YY is a correlate of postprandial energy expenditure but not of appetite or energy intake in healthy women. Metabolism. 2008 ; 57(10) : 1458-64. 

  21. Chaudhri O, Small C, Bloom S. Gastrointestinal hormones regulating appetite.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2006 ; 361(1471) : 1187-209. 

  22. Cummings DE. Ghrelin and the short- and long-term regulation of appetite and body weight. Physiol Behav. 2006 ; 89(1) : 71-84. 

  23. le Roux CW, Patterson M, Vincent RP, Hunt C, Ghatei MA, Bloom SR. Postprandial plasma ghrelin is suppressed proportional to meal calorie content in normal-weight but not obese subjec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5 ; 90(2) : 1068-71. 

  24. Moran TH, Smedh U, Kinzig KP, Scott KA, Knipp S, Ladenheim EE. Peptide YY (3-36) inhibits gastric emptying and produces acute reductions in food intake in rhesus monkey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5 ; 288(2) : R384-8. 

  25. Banos RM, Cebolla A, Moragrega I, Van Strien T, Fernandez- Aranda F, Aguera Z, et 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styles and temperament in an Anorexia Nervosa, Healthy Control, and Morbid Obesity female sample. Appetite. 2014 ; 76 : 76-83. 

  26. Outeirino-Blanco E, Garcia-Buela J, Sangiao-Alvarellos S, Pertega-Diaz S, Martinez-Ramonde T, Cordido F. Growth hormone, ghrelin and peptide YY secretion after oral glucose administration in healthy and obese women. Horm Metab Res. 2011 ; 43(8) : 58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