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Workers'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7, 2014년, pp.449 - 456  

이정언 (배재대학교 경영학과) ,  주천천 (배재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 직무소진을 매개변수,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직무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며, 직무소진에 대한 경향성이 현저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심화될수록 직무소진의 정도가 높아지며,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기업의 관리자는 구성원이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도록 직무재설계와 같은 인사관리의 구조적인 측면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object of research is software developers in Chinese large firms. A number of 309 cases are used for the empirical study. A multiple regression is adapt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T부문 근로자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중국 IT부문의 주요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하는 조직성과의 변화와 그 영향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타 업종에 비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직에 대한 경향성이 현저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절한 연구대상이 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들의 타당성과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의 Eigen Value는 1.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각 변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직무소진요인을 매개로 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가설검증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타 업종에 비하여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직에 대한 경향성이 현저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절한 연구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효율적 인적자원관리의 이론적ㆍ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직무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주 업무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소프트웨어의 연구, 디자인, 실행, 테스트를 주업무로 한다[1][7].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직무수행 역량, 전공지식 및 기술력을 보유한 전형적인 지식노동자에 해당한다.
직무스트레스란?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람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ㆍ정서적인 반응”이다[27].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의 불편한 감정을 나타내고 조직이나 직무와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발생되는 결과이다[13][28][30].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결과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직무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며, 직무소진에 대한 경향성이 현저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심화될수록 직무소진의 정도가 높아지며,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기업의 관리자는 구성원이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도록 직무재설계와 같은 인사관리의 구조적인 측면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민정, IT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고영관, 여성 캐디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3. 권성현, 직무특성 요인, 완벽주의, 효능감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미라, 기관 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영배, 차종석, "R&D 전문가를 위한 인력관리: 박사급 인력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7권, 제1호, pp.124-150, 1999. 

  6. 박명군,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2. 

  7. 송경섭,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직무특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8. 양은경,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9. 오이복, IT 인력의 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10. 이규원, 지식노동자의 주체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1. 이인석, 박문수, 정무관,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0권, 제6호, pp.2879-2900, 2007. 

  12. 이정택, 호텔종사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2011. 

  13. 정은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와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4. 정주리,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에 따른 감정부조화와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5. 주시각,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3. 

  16. 홍지수, MBTI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7. 南方日報, "軟件行業人才年缺口增至50万", 2008年4月16日. 

  18. 塞迪?, "塞迪顧問發布國件行業薪酬調?成果", 2008. 

  19. 搜狐IT, "中國IT人生存調?報告 : IT人遭遇感情生活困惑", 2004. 

  20. C. L. Co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4, pp.621-656, 1993. 

  21. C. L. Corders, T. W. Dougherty, and M. Blum,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No.6, pp.685-701, 1997. 

  22. R. T. Lee and B. E. Ashforth, "A Further Examination of Managerial Burnout: Toward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4, No.1, pp.3-20, 1993. 

  23.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 No.2, pp.99-113, 2007. 

  24. C. Maslach, A Multidimensional Theory of Burnout, In: C.L. Cooper(ed.),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68-85, 2000. 

  25. C. Maslach and M. P. Leiter, "Burnout," Stress and Quality of Working Life: Current Perspectives in Occupational Health(HC), p.37, 2006. 

  26. J. E. Moore, "One Road to Turnover: An Examination of Work Exhaustion in Technology Professionals," MIS Quarterly, Vol.24, No.1, pp.141-168, 2000. 

  27. NIOSH, "STRESS...At Work", DHHS(NIOSH) Publication Number 99-101. 

  28. D. F. Parker and T. 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 No.2, pp.160-177, 1983. 

  29. R. Walling, "Personality Traits of the Best Software Developers," 2006. 8. 20. 

  30. R. S. Schuler,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25, No.2, pp.184-215, 1980. 

  31. M. Westman, D. Etzion, and E. Danon, "Job Insecurity and Crossover of Burnou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2, No.5, pp.467-481,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