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션러닝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on Nurse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Emo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2, 2014년, pp.73 - 87  

이숙자 (전남대학교병원 간호부)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및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Action Learning(AL) program in terms of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s. Design for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hospital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AL 프로그램의 목적과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Figure 1]. 목적은 간호사가 간호현장의 문제를 인식하여 과제선정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과제를 선정하고 과제기술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원인분석에 논리적 사고 기법을 적용하고, 문제 인식과 대안 창출에 아이디어 발산기법을 활용하며, 과제 수행을 위한 팀 활동에 팀 학습 기술을 활용하여 팀 과제의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L 프로그램의 틀은 준비단계(1주), 운영단계(2-7주) 및 평가단계(8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 목적은 팀으로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AL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와 참여하지 않는 간호사 사이에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과 혁신행동의 차이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부분의 병원이 간호사 개발과 조직변화를 위한 접근으로 전통적인 집합식 강의기반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오던 방식을 탈피해, 자신들의 근무현장인 간호단위 문제들을 스스로 직접 추출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적 지식과 기술 습득, 그리고 문제 자체와 관련된 지식 등을 습득하여 간호사의 개인역량 향상과 간호조직 내 학습조직의 활성화를 돕기 위한 AL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병원 간호조직 내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과정에 학습팀원으로 간호사가 참여하여 질문과 성찰이 촉진되어 학습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방법으로 인적자원개발을 시도하는 것과 동시에 조직개발전략으로서 AL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앞서 언급한 4개의 연구 개념에 영향을 주는 AL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혁신행동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 1) 제 1 가설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
  • 2) 제 2 가설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 3) 제 3 가설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서창의성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 4) 제 4 가설 : AL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혁신행동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창의성이란 유용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생산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 활동으로서[2], 특히 정서 창의성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다. 정서 창의성이란 문제를 여러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확하게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반응을 보이며, 개인이나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다음 자기 자신을 잘 표현하는 능력이다[3].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창의성이란 유용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생산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 활동으로서[2], 특히 정서 창의성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다. 정서 창의성이란 문제를 여러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확하게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반응을 보이며, 개인이나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다음 자기 자신을 잘 표현하는 능력이다[3].
간호인적 자원 개발 활동이 조직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필수적이라는 관점에서 무엇의 활용이 필요한가? 종합하면, 간호조직의 성공적 변화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을 개발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인적 자원 개발 활동이 조직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필수적이다. 이런 관점에서 간호조직 내 액션러닝(Action Learning, 이하 AL이라 표기함)의 활용은 효과적인 인적자원 및 조직개발 전략이다. AL은 개인과 팀의 개발은 물론이고 조직의 문제해결에 효과적이며 학습자간에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접근하고, 개인의 경험에 바탕을 둔 성찰을 통해 행동변화를 가져오는 특성을 가진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S. Jang, M. Baek, Y.J. Choi, S.H. Ahn, S.J. Lee, J.Y. Sim, et al.(2006), An Analysis of Nurse Managers's Common Fundamental Competencies Changes and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the Action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Vol.12(3);424-433. 

  2. S.G. Scott, R.A. Bruce(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3);580-607. 

  3. J.R. Averill, C. Thomas-Knowles(1991), Emotional Creativity, In K.T. Strongman(Eds.), International Review of Studies on Emotion, Wiley, pp.269-299. 

  4. V.J. Marsick, J. O' Neil(1999), The Many Faces of Action Learning, Management Learning, Vol.30(2);159-176. 

  5. M.J. Marquardt(2004),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T.B. Lee, Translator (1st ed.), Paradigm Consulting, pp.31-245. 

  6. M.J. Marquardt, S. Banks(2010), Theory to Practice: Action Learning,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Vol.12(2);159-162. 

  7. Y.W. Kim(2003),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Program on Common Fundamental Compet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68-89. 

  8. J.I. Kim, H.C. Bong(2004),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Enhancing Action Learning Programs by Hyundai/Kia Motor Compan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8(4);85-120. 

  9. B.K. Kim(2007), The Research for the Necessary Roles of Learning Coach for the Successful Action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pp.15-72. 

  10. S. Mercer(2000), General Electric's Executive Action Learning Programs. In Boshy Y.(Ed.), Business driven Action Learning: Global Best Practices, St. Martin's Press, pp.42-54. 

  11. M. Reynolds, R. Vince(2004), Critical Management Education and Action-based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Vol.3(4);442-456. 

  12. Y.M. Kim, Y.H. Kim(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6);1-11. 

  13. K.S. Jang, S.J. Park(2012),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Vol.18(4);442-451. 

  14. J. Cohen(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2nd ed.). New York: Academic Press, p.384. 

  15. S.J. Lee, Y.K. Chang, H.N. Lee, K.Y. Park(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p.135-142. 

  16. J.R. Averill(1999),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Creativity: Structure and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Vol.67(2);331-371. 

  17. Y.H. So(2004), A Study on Emotional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Disposition,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Vol.16(2);55-80. 

  18. Y.T. Lee, D.Y. Lee, J.W. Kim(2007),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and Innovative Behavior of Hotel Employee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0(4);1821-1848. 

  19. H.C. Bong, P.J. Yoo(2001). The Basic Structure and Core Component of Action Learning,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Vol.1(8);57-82. 

  20. Y.W. Kim, H.C. Bong(2003), The Appraisal of Effectiveness for Action Learning Program -A Case Study of Middle Manager Development Program in Hyosung, Inc,-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2);29-60. 

  21. R. Diana, C. Hazel, A. Helen(2002), Developing Leadership through Action Learning, Nursing Standard, Vol.16(29);37-39. 

  22. O.H. Ha, Y.M. Jung(2013),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Affect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Knowledge Sharing of Members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49-63. 

  23. Y.M. Yu(2003), Prolog to Critical Analysis of Action Learning without "Action"and "Learning": Are there "Action"and "Learning" in Action Learning?,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4(2);55-77. 

  24. A.M. Isen(2000), Positive Affect and Decision Making. In M. Lewis, & J. Haviland-Jones (Eds.), Handbook of Emotions(2nd ed.), Guilford, pp.417-435. 

  25. H.S. Lee(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n General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233-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