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운영의 효과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1, 2015년, pp.119 - 128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영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EBN) course using action learning-based team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ho consented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임상실무에서 팀워크와 협력은 근거기반간호를 실행하는 촉진요소로서 작용하므로(Ploeg, Davies, Edwards, Gifford, & Miller, 2007) 이와 관련된 역량도 갖추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액션러닝 기반의 팀학습을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근거기반간호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과 정보활용능력, 팀워크 기술 중 하나인 문제해결의 적극성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팀학습 방법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이론 교육의 효과를 입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그러나 다음의 몇 가지 제한점이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연구 시작 전 연구의 목적과 내용, 비밀유지와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위험이나 혜택에 대해 설명하였다. 참여과정에서 언제든지 자율의지로 그만 둘 수 있음과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어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알렸다.
  •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과 정보활용능력 및 문제해결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그러나 하부영역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정보검색, 정보평가, 정보통합 영역에서는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정보요구, 정보표현, 정보윤리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중재 시 의학/간호학과 관련한 다양한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활용법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로 문헌검색을 실습한 후 개인 및 팀 과제 수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검색, 평가 및 종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였으므로 이러한 학습활동이 정보검색, 평가, 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유효했지만 정보요구, 표현, 윤리에 관한 능력의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덧붙여 본 교육은 1학점으로 운영되어 근거검색을 위한 학습과 연습 시간을 충분히 배정하지 못했다는 운영상의 아쉬움이 남아 있었는데, 향후 학점 배정을 높인다면 근거기반실무를 실천하는데 필요한 기초 기술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운영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 정보활용능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교수자는 건강문제를 임상질문으로 만들어 구조화시킬 수 있는 PICO형식을 설명하고, 팀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건강문제 사례들 속에서 문제상황을 도출하고 이를 임상질문으로 전환해보는 과정을 연습하였고 팀원간 성찰내용의 공유로 마무리하였다. 수업 후 과제로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지금까지 학습한 건강관련 문제 상황으로부터 임상사례를 개발해 임상질문 형성에 대한 개별보고서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근거기반실무가 가능한 간호 인력의 준비는 매우 시급하고, 이는 결국 학부 간호교육에 근거기반간호를 어떻게 통합하여야 할 것인가로 연결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간호대학생 대상의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이 학생들의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 정보활용능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액션러닝의 팀학습 방법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교과를 운영하고 교육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학부수준에서의 근거기반간호 교육이 체계적으로 안착하도록 기여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 제1가설: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제2가설: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보활용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제3가설: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의 적극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거기반간호 수행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의 적극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보활용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션러닝은 무엇인가? 한편, 액션러닝이란 학습자들이 소규모 집단의 팀워크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실천과 성찰을 통해 학습하는 실천 학습 방법으로(Marquardt, 2000), 개인의 성장과 역량구축을 도모하고 팀의 문제해결과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Seo & Bong, 2008). 대학 교육에서는 ‘실제적인 문제’가 존재하고 ‘실행’을 필요로 하는 학문 분야의 교수-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Park, 2012).
근거기반간호란 무엇인가? 근거기반간호란 합리적 임상의사결정을 위해 최상의 과학적 근거, 임상적 전문성, 이용가능한 자원, 환자의 가치와 선호도를 함께 고려하는 문제해결 접근법을 의미한다(DiCenso & Cullum, 1998). 근거기반실무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점차 커짐에 따라, 미국의학협회(Institute of Medicine [IOM])와 미국간호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AACN]) 등에서는 최근 21세기 보건의료 환경과 의료시스템에 부합하는 보건의료인력 양성 교육 개발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핵심요소 중 하나로서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AACN, 2008; Cronenwett et al.
대학교육에서 액션러닝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한편, 액션러닝이란 학습자들이 소규모 집단의 팀워크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실천과 성찰을 통해 학습하는 실천 학습 방법으로(Marquardt, 2000), 개인의 성장과 역량구축을 도모하고 팀의 문제해결과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Seo & Bong, 2008). 대학 교육에서는 ‘실제적인 문제’가 존재하고 ‘실행’을 필요로 하는 학문 분야의 교수-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Park, 2012). 이에, 본 연구에 서는 근거기반간호 수업에 액션러닝 방식을 도입한다면 학생들이 팀 안에서 협동과 협력을 통한 실천적 경험을 쌓아가며 근거기반간호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동시에 근거기반실무의 촉진요소인 팀워크 기술을 함께 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근거기반간호 수업의 교수-학습전략으로 액션러닝 방식을 선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 Burns, H., & Foley, S. (2005). Building a foundation for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practice: Teaching basic concepts to undergraduate freshman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1(6), 351.357. 

  3. Carlock, D., & Anderson, J. (2007). Teaching and assessing the database searching skills of student nurses. Nurse Educator, 32(6), 251-255.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5. Courey, T., Benson-Soros, J., Deemer, K., & Zeller, R. A. (2007). The missing link: Information litera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as a new challenge for nurse educator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6), 320-323. 

  6.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200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3), 122-131. 

  7. DiCenso, A., & Cullum, N. (1998). Implementing evidence-based nursing: Some misconceptions. Evidence-Based Nursing, 1(1), 38-40. 

  8. Dragan, I. (2009). Teaching evidence-based practice: Perspectives from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d viewpoint. Annals Academy of Medicine, 38(6), 559-563. 

  9. Feingold, C. E., Cobb, M. D., Givens, R. H., Arnold, J., Joslin, S., & Keller, J. L. (2008). Student perceptions of team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5), 214-222. 

  10. Ghali, W., Saitz, R., Eskew, A., Gupta, M., Quan, H., & Hershman, W. Y. (2000). Successful teaching in evidence-based medicine. Medical Education, 34(1), 18-22. 

  11. Hart, P., Eaton, L., Buckner, M., Morrow, B. N., Barrett, D. T., Fraser, D. D., et al. (2008). Effectiveness of a computer-based educational program on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level related to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5(2), 75-84. 

  12. Hunt, D. P., Haidet, P., Coverdale, J. H., & Richards, B. (2003). The effect of using team learning in an evidence-based medicine course for medical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15(2), 131-139. 

  13. Institute of Medicine. (2003).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4. Jang, K. S., Kim, E. A., Yoo, S. E., Yoon, L., Yoon, H. S., & Lee, R. N.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of university student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5(1), 83-94. 

  15. Khan, S. K., & Coomarasamy, A. (2006). A hierarchy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o acquire competence in evidenced-based medicine. BMC Medical Education, 6, 59. http://dx.doi.org/10.1186/1472-6920-6-59 

  16. Kim, S. C., Brown, C. E., Feilds, W., & Stichler, J. F. (2009). Evidence-based practice-focused interactive teaching strategy: A controlled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6), 1218-1227. 

  17. Kwon, E. M. (2010).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Marquardt, M. J. (2000). Action learning in action: Transforming problems and people for world-class organizational learning (H. C. Bong, Trans.). Palo Alto, CA: Davies-Black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19. Marshall, L. C.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CA. 

  20. Moch, S. D., Cronje, R. J., & Branson, J. (2010). Part 1. Undergraduate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Envisioning the role of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6(1), 5-13. 

  21. Park, J., Yoon, T., & Ko, J.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to evaluate medical students' evidence-based medicine competenci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1(3), 259-267. 

  22. Park, M. (2011).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46-354. 

  23. Park, M. (2013).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education into nursing management clinical practicum: Outcome evaluation and diffus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39-57. 

  24. Park, S. J. (2012). A formative research on a lecture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utilizing action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4), 389-416. 

  25. Ploeg, J., Davies, B., Edwards, N., Gifford, W., & Miller, P. E. (2007). Factors influencing best-practice guideline implementation: Lessons learned from administrators, nursing staff, and project leader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4(4), 210-219. 

  26. Rhee, H. Y. (2009). The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scales for undergradu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Ross, A. M, Noone, J., Luce, L. L., & Sideras, S. A. (2009). Spiraling evidence-based practice and outcomes management concepts in an undergraduate curriculum: A systematic approach.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6), 319-326. 

  28. Seo, Y. T., & Bong, H. C. (2008). Types of action learning program an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of 10 case studies.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26(2), 38-115. 

  29. Shorten, A., Wallace, M., & Crookes, P. A. (2001). Developing information literacy: A key to evidence-based nursing.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48(2), 86-92. 

  30. van Achterberg, T., Schoonhoven, L., & Grol. R. (2008). Nursing implementation science: How evidence-based nursing requires evidence-based implementatio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4), 302-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