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 갈등 비교
Comparison of Psychiatric and Clinical Nurses on Emotional Intelligenc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lic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329 - 340  

오은정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최혜경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갈등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각 임상실무 영역에서의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촉진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의사소통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두 집단의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갈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ANC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간호사의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 갈등 점수가 정신간호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촉진적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일반간호사의 의사 소통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임상현장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motional intelligenc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lict among psychiatric nurse and clinical nurse to improve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in each clinical field, it was attempted to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식과 시간을 함께 공유하여 나눌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간호사의 의사소통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와 의사소통갈등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신병동 남자간호사가 정신병동 특수성으로 인하여 받는 스트레스를 파악하여 이들의 의사소통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 또한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갈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병동의 간호사에 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각 병동에 따른 의사소통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위한 실무교육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는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 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갈등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 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갈등을 비교하여 확인하고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갈등 정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 교육수준과 근무연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갈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와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지능,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갈등을 비교함으로써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촉진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의사소통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간호사의 업무는? 간호사와 환자 관계에서 의사소통은 그들이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솔직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전문인으로서 치료적이어야 한다[1, 2]. 특히 정신간호사는 치료적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환자와 많은 시간을 함께 하며, 환자에 대한 관찰과 면담을 주요 간호행위로 하고 있다. 일반간호 업무에 따른 간호행위 이외에도 환자의 정신적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정신과 전문의와 함께 환자의 대변인으로서 치료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3]. 또한 정신병원 특성상 정신 간호사는 정서와 행동양상이 복잡한 정신질환자의 정서적 반응을 조절해야 한다.
정신간호사와 대비되는 일반병동 간호사의 특징은? 이에 반해 일반병동은 환자의 빠른 질병 치료를 위하여 진료부 및 다양한 부서와의 의료협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병동 특성상 일반간호사는 병원 내 다양한 부서와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호업무를 조정한다. 그리고 일반간호사는 치료적 대화를 통하여 다양한 교육수준의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내·외과적 여러 질병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7]. 이와 같이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서 촉진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정신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또한 정신병원 특성상 정신 간호사는 정서와 행동양상이 복잡한 정신질환자의 정서적 반응을 조절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신간호사는 첫째, 다양한 면담기술과 환자의 심리적 변화에 따른 이상행동 대한 지식을 익혀야 한다. 둘째, 자신의 개인적 속성인 감성지능과 임상적 기술인 촉진적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환자의 갈등과 불안을 규명해야 한다[4, 5]. 셋째, 환자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6]. 이에 반해 일반병동은 환자의 빠른 질병 치료를 위하여 진료부 및 다양한 부서와의 의료협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 J. Lee. (2011). Communication in nursing. Seoul : Shin kwang Publishing. 

  2. J. Morrissey & P. Callaghan. (2011). Communication skills for mental health nurses. McGraw-Hill Education (UK). https://www.mheducation.co.uk 

  3. S. H. Kim. (2011). Aspects of the promotion of psychiatric nurse and communication skills to communicate ev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 S. B. Lim et al. (2015).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Seoul : Soomoonsa Publishing. 

  5. S. J. Kim et al. (2016). Psychiatric mental nursing. Seoul : Hyunmoonsa Publishing. 

  6. K. J. Lee et al. (2015).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eoul : Shinkwang Publishing. 

  7. E. J. Lim & Y. J. Yi. (2014).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13-32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313 

  8. C. McCabe. (2004). Nurse-patient communication: an exploration of patients' experience. Journal of Clinical nurse, 13(1), 41-49.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4.00817.x 

  9. J. S. Lee, S. M. Park, S. S. Jeon, J. S. Choe, M. O. Kim, L. Kim & J. E. Kim. (2002).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Psychiatric Nurses an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596-608. 

  10. E. J. Oh, M. H. Lee & S. H. Ko. (2016).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on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of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4), 283-293.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283 

  11. S. S. Kim. (1997). Applic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korea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ah Wowan's University, 61-78. 

  12. C. R. Sibdko & M. Greeff. (1995). Psychiatric nurse's communication with psychiatric patients. Curationis, 18(4). DOI: https://ujdigispace.uj.ac.za. 

  13. E. Bramhall. (2004). Effect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Nursing Standard, 29(14), 53-59. DOI: http://dx.doi.org/10.7748/14.53.e93556 

  14. S. M. Park, O. I. Park & H. Moon. (2013).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general hospital nurs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3), 540-564. DOI: 10.15709/hswr.2013.33.3.540 

  15. N. O. Cho, Y. S. Hong & H. S. Kim. (2002). Study of Nurse's Interperson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4), 596-608. 

  16. S. K. Yong, H. P. Jin & Y. L. Ki. (2006). Original Articles :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ommunic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Nurses and Technologist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2), 16-31. 

  17. K. Kalliope, A. Koutra, G. Koumoundourou. (2011). Nurse's communication skills: Expl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in a Greek sample.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30, 2230-2234. DOI: http://dx.doi.org/10.1016/j.sbspro.2011.10.435. 

  18. Z. A. Mani & M. Abutaleb. (2017). Communication skills of novice nurses at psychiatric hospital in Saudi Arabia. Journal of Nursing and Care, 6(4). DOI :10.4172/2167-1168.1000407 

  19. S. Y. Park. (1994).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level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20. H. S. Kang & Y. Y. Kim. (2016).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n 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141-5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41 

  21. J. H. Park & S. K. Chung. (2016).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36-244.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236 

  22. Y. J. Son, Y. A. Lee, K. N. Sim, S. S. Kong & Y. S. Park. (2013).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78-288.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78 

  23.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 Methods, 39(2), 175-191. 

  24. H. J. Park, K. J. Lee & S. J. Kim.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self-efficacy and empathy of psychiatric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ah Woman's University, 26(1), 9-19. 

  25. C.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 http://dx.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26. J. H. Choi. (2010).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al dissertation. A Jou University, Suwon. 

  27. S. H. Yoon. (2005). Study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nursing communication skills by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 Maste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Klauss, B. & N. Bass. (1982).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Academic Press New York. 

  29. J. B. Beyer. (1981).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nurses educations in collegial interactions. Nursing Research, 30(2), 111-117. 

  30. Y. B. Lee & M. S. Koh. (2015).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Clinic Nurse Res, 21(3), 347-354. http://www.khn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