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증기화광산란 검출기를 이용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원문보기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 시 증기화광산란검출법(HPLC/ELSD) 및 굴절율검출법(HPLC/RID)의 분석 효율성, 정밀성 및 재현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효율적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HPLC/ELSD 분석법 적용 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정량한계(LOQ)를 확인한 결과 5.6~7.6 mg/kg 범위를 나타낸 반면, RID는 16.2~33.9 mg/kg 범위를 나타내어 HPLC/ELSD 분석법이 RID 분석법 대비 감도가 향상된 양상을 확인하였고, intra-day(n=10) 및 inter-day(n=5) 분석재현성 평가에서도 피크의 머무름 시간(Rt.) 및 면적(peak area) 모두 최대 2.5% 미만의 변이계수를 나타내어 높은 분석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별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검량식의 직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성분이 고도의 직선성($R^2$ >0.999)이 유지되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HPLC/ELSD 및 RID 방법으로 상호 비교한 결과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RID 분석법 대비 각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더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 시 증기화광산란검출법(HPLC/ELSD) 및 굴절율검출법(HPLC/RID)의 분석 효율성, 정밀성 및 재현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효율적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HPLC/ELSD 분석법 적용 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정량한계(LOQ)를 확인한 결과 5.6~7.6 mg/kg 범위를 나타낸 반면, RID는 16.2~33.9 mg/kg 범위를 나타내어 HPLC/ELSD 분석법이 RID 분석법 대비 감도가 향상된 양상을 확인하였고, intra-day(n=10) 및 inter-day(n=5) 분석재현성 평가에서도 피크의 머무름 시간(Rt.) 및 면적(peak area) 모두 최대 2.5% 미만의 변이계수를 나타내어 높은 분석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별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검량식의 직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성분이 고도의 직선성($R^2$ >0.999)이 유지되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HPLC/ELSD 및 RID 방법으로 상호 비교한 결과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RID 분석법 대비 각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더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was devis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HPLC/ELS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
In the present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was devis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HPLC/ELS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ranged from 5.6~7.6 mg/kg using the HPLC/ELSD method and from 16.2~33.9 mg/kg using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refractive index detection (HPLC/RID) method. Therefore, the HPLC/ELSD method was more sensitive than HPLC/RID. The precision values for retention time and peak area of the HPLC/ELSD method were evaluated by inter-day (n=5) and intra-day (n=10) assays using a standard solution. All precision values (CV<2.5%)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were acceptable and fulfilled international acceptance criteria. All linear calibration curves were obtain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R^2$ >0.999.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for the "Shingikong" (yellow soybean) and "Cheongjakong 3" (black soybean)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HPLC/RID and HPLC/ELSD methods. The difference in carbohydrate contents between the two detection methods was significant. Carbohydrate contents in the HPLC/ELSD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PLC/RID method. Overall, the HPLC/ELSD method showed satisfactory resolution with a favorable LOQ and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ELSD method may be appli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and related food stuffs.
In the present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was devis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HPLC/ELS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ranged from 5.6~7.6 mg/kg using the HPLC/ELSD method and from 16.2~33.9 mg/kg using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refractive index detection (HPLC/RID) method. Therefore, the HPLC/ELSD method was more sensitive than HPLC/RID. The precision values for retention time and peak area of the HPLC/ELSD method were evaluated by inter-day (n=5) and intra-day (n=10) assays using a standard solution. All precision values (CV<2.5%)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were acceptable and fulfilled international acceptance criteria. All linear calibration curves were obtain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R^2$ >0.999.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for the "Shingikong" (yellow soybean) and "Cheongjakong 3" (black soybean)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HPLC/RID and HPLC/ELSD methods. The difference in carbohydrate contents between the two detection methods was significant. Carbohydrate contents in the HPLC/ELSD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PLC/RID method. Overall, the HPLC/ELSD method showed satisfactory resolution with a favorable LOQ and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ELSD method may be appli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and related food stuff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최근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분석시료에 함유된 단당류 및 올리고당의 동시분석을 위해 용리용매의 농도구배 분석이 가능한 액체크로마토그라피/증기화광산란검출법(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HPLC/ELSD)이 검토된 바 있으므로(15,16), 본 연구는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 시 HPLC/ELSD 및 RID 분석법의 분석 효율성, 정밀성 및 재현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효율적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 시 증기화광산란검출법(HPLC/ELSD) 및 굴절율검출법(HPLC/RID)의 분석 효율성, 정밀성 및 재현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효율적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HPLC/ ELSD 분석법 적용 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정량한계(LOQ)를 확인한 결과 5.
제안 방법
콩 종자는 40°C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1.0 mm 체가 장착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으며, 분쇄된 콩 분말을 잘 혼합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 표준시약을 초순수증류수로 용해하여 20~1,000 mg/L의 농도가 되도록 표준품을 조제하고, 각 농도별 표준품 20 μL를 HPLC에 주입하여 계산된 피크면적 값으로 외부표준 검량식을 작성한 후 검체로부터 분석된 피크면적을 대입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계산하였으며, 아울러 HPLC 분석에 의해 계산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은 콩 분말시료를 105°C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상압 가열건조법으로 수분 함량을 측정한 후 최종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건물중 대비 수분 함량이 보정된 함량으로 산출하였다(5).
분석용 칼럼은 Waters사의 Sugar Pak I column(6.5×300 mm)을 이용하였고, 칼럼온도를 80°C, 이동상 용매는 50 mM Ca-EDTA가 함유된 초순수증류수를 이용하여 분당 유속 0.5 mL로 등용매용리(isocratic elu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2).
추출된 여과액의 희석 및 추출 시 함유된 비극성 성분의 제거를 위해 추출액 1 mL에 초순수증류수 4 mL를 첨가하여 최종 5배 희석한 후, 이 용액을 활성화된 Sep-Pak C18 plus cartridge(Waters, Milford, MA, USA)에 통과시키고 이 용액을 0.45 μm 필터로 여과한 후 HPLC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의 추출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즉 분쇄된 콩 분말시료 1.0 g에 70% 에탄올 10 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흔들며 추출하였고, 추출 후 20분간 원심분리(5,000×g)를 실시한 후 상징액을 Whatman No. 1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HPLC/RID 분석은 Shodex RI-71 refractive index detector(Showa Denko Co., Tokyo, Japan)가 장착된 Agilent 1200 series HPLC system(Wilmington, DE, USA)을 이용하였다. 분석용 칼럼은 Waters사의 Sugar Pak I column(6.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HPLC/ELSD 분석은 Sedex 75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Sedere, Alfortville, France)가 장착된 Agilent 1200 series HPLC system을 이용하였다. 분석용 칼럼은 Alltech사(Deerfield, IL, USA)의 Prevail™ Carbohydrate ES(4.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이 가능한 최적의 HPLC 분석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HPLC/RID 분석방법의 경우 칼슘 양이온의 치환성을 이용한 이온성 칼럼에 초순수 증류수를 단일용매로 용리하는 분석법을 적용하였고(5), HPLC/ELSD 분석법의 경우 각 분석 파라미터를 조절하며 최적의 분리능을 나타내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HPLC/ELSD 분석법의 적용 시 분석대상 피크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 및 면적(peak area)의 재현성(repeatability) 검증을 위해 intra-day(n=10) 및 interday(n=5) 재현성 검증을 실시하였다(Table 2). 그 결과 각 수용성 탄수화물 피크의 Rt.
장류용 황색콩 품종인 신기콩과 혼반용으로 검정색 종피를 가진 검정콩 품종인 청자콩 3호를 대상으로 HPLC/RID 및 ELSD 분석법을 적용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평가하였다(Fig. 4).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Rt.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이 가능한 최적의 HPLC 분석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HPLC/RID 및 ELSD 분석법의 적용 시 각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리양상을 비교, 확인하였으며, 검출기별 표준검량식의 직선성(linearity),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LOD), signal/noise(S/N)=3) 및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LOQ), S/N=10), intra-day(n=10) 및 inter-day(n=5)의 분석재현성(repeatability)을 확인하였다.
0 bar의 속도로 흘렸으며 검출기 증발온도(evaporation temperate)는 45°C로 설정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이동상용매는 아세토니트릴(A용매)과 증류수(B용매)를 선형적 농도구배(linear gradient elution)로 분석하였으며, 이동상의 조성은 0분: 80% A용매, 0~20분: 50% A용매, 21분: 80% A용매, 21분~27분: 80% A용매로 조절하였고, 분당 유속 1.5 mL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 표준시약을 초순수증류수로 용해하여 1~400 mg/L의 농도가 되도록 표준품을 조제하였으며, 기타 외부표준 검량식 작성,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 계산 및 수분 함량 보정 등은 상기 HPLC/RID를 이용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각 분석결과의 산술적 통계(평균±표준편차)는 마이크로소프트사(Redmond, WA, USA)의 엑셀 200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분석용 칼럼은 Alltech사(Deerfield, IL, USA)의 Prevail™ Carbohydrate ES(4.6×250 mm)를 이용하였고, 칼럼온도를 30°C, 검출기의 분무기(nebulizer) 가스는 질소(N2)를 사용하여 분당 1.0 bar의 속도로 흘렸으며 검출기 증발온도(evaporation temperate)는 45°C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콩은 2012년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 전작물 재배포장에서 동일시기에 재배, 수확된 콩 종자 중 황색 종피를 가진 장류용 콩 품종인 신기콩과 혼반용으로서 검정색 종피를 가진 검정콩 품종인 청자콩 3호를 2013년 2월 분양받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콩 종자는 40°C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1.
데이터처리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 표준시약을 초순수증류수로 용해하여 1~400 mg/L의 농도가 되도록 표준품을 조제하였으며, 기타 외부표준 검량식 작성,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 계산 및 수분 함량 보정 등은 상기 HPLC/RID를 이용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각 분석결과의 산술적 통계(평균±표준편차)는 마이크로소프트사(Redmond, WA, USA)의 엑셀 200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추출은 Lee 등(2)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분쇄된 콩 분말시료 1.
성능/효과
HPLC/ELSD의 검출기로 도입되는 nebulizer 질소가스의 압력 및 검출기 증발 온도가 각 분석대상 성분 피크의 좌우대칭도(symmetry) 및 감도(sensitivity)에 서로 다르게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Fig. 2), 검출기 온도 및 질소가스 압력의 관계를 상호 고려하여 최적의 검출조건은 nebulizer 질소가소의 압력을 분당 1.0 bar로, 검출기 증발온도는 45°C로 설정하였다.
HPLC/RID 분석법을 적용한 경우 올리고당의 피크들이 완전한 베이스라인(baseline) 분리가 유도되지 않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의 용리 순서는 사당류인 stachyose, 삼당류인 raffinose, 이당류인 sucrose, 단당류인 glucose 및 fructose의 순으로 용리되었다(Fig. 1(A)).
최적 HPLC/ELSD 분석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표준시약을 대상으로 분리능을 검토한 결과 최적의 이동상 조건은 아세토니트릴(A용매)과 증류수(B용매)를 사용하고, 최초 0분: 80% A용매, 0~20분: 50% A용매, 21분: 80% A용매, 21분~27분: 80% A용매로 최적의 용매조건을 설정하였다(Fig. 1(B)).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을 위해 HPLC/RID 및 ELSD 방법으로 각 성분의 농도별 7 포인트 표준 검량식을 작성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의 결과에서 각 검출기별 표준 검량식의 직선성(linearity)을 확인한 결과, RID 및 ELSD 모두 각 성분별 0.999 이상의 고도의 직선성을 유지하였으며, 단지 수치적으로 RID의 직선성이 조금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통계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각 표준용액 검량식의 성분별 기울기(slope)를 검토한 결과 RID의 경우 0.014~0.019 수준으로 ELSD의 결과인 1.52~1.61보다 약 100배 정도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RID가 ELSD 대비 상대적 분석 감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검출기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검토한 결과 성분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ELSD가 RID 대비 raffinose의 경우 2.2배, fructose의 경우 5.1배 수준 감도가 더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ELSD 분석이 RID 분석 대비 분석시료의 양을 최소 1/2에서 최대 1/5 수준 감소된 양으로도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였으며(Fig. 3), 아울러 ELSD 검출기의 적용이 미량 함유된 성분의 검출 및 정량분석에도 더욱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각 수용성 탄수화물 피크의 Rt. 및 area 두 가지 인자 모두 변이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가 최소 0.05%, 최대 2.45%로 극히 높은 분석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어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 시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여도 재현성 측면에서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Rt. 비교 및 spike test를 수행하여 각 수용성 탄수화물을 동정하였으며, HPLC/RID의 경우 stachyose, raffinose, sucrose 및 glucose의 피크를 동정할 수 있었고 HPLC/ELSD의 경우 HPLC/RID 분석에서 동정된 4종의 수용성 탄수화물 외에 추가적으로 fructose의 피크를 동정 가능하였으며, 황색 종피를 가진 일반 장류용 콩과 혼반용으로 사용되는 검정콩 간에 크로마토그램의 특이 양상은 확인할 수 없었다.
4~6분 사이에 2종, 15분경에 1종의 미확인 피크가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4~6분 사이에 검출된 2개의 피크는 콩에서 보고된 바 없는 다른 종류의 수용성 탄수화물과도 Rt.를 상호 비교하였으나 일치하는 수용성 탄수화물이 없었으며, 15분경에 존재하는 피크는 추출 시 사용된 에탄올에서 유래하는 피크로 확인되었다. 반면 HPLC/ELSD 분석 크로마토그램(B)의 경우 HPLC/RID 분석 크로마토그램(A)과 달리 검출된 모든 피크가 콩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피크였으며, 기타 추출용매 및 이동상 유래 피크는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HPLC/ELSD 분석 크로마토그램(B)의 경우 HPLC/RID 분석 크로마토그램(A)과 달리 검출된 모든 피크가 콩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피크였으며, 기타 추출용매 및 이동상 유래 피크는 확인되지 않았다. HPLC/RID 분석의 경우 올리고당인 stachyose 및 raffinose 피크가 완전한 baseline 분리가 유도되지 않아 피크가 서로 중첩됨을 확인할 수 있고 소량 존재하는 glucose 피크의 경우에는 해상도가 극히 낮은 양상을 나타내지만, ELSD 분석법의 적용 시 모든 검출대상 성분의 완전한 baseline 분리와 높은 감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HPLC/RID 및 ELSD 분석법을 적용하여 신기콩과 청자콩 3호에 함유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Table 3), RID 분석법을 적용할 경우 신기콩 및 청자콩 3호 모두에서 fructose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ELSD 분석법의 경우 신기콩 및 청자콩 3호 모두 약 1.05%의 fructose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glucose의 함량은 RID 분석법 대비 ELSD의 함량이 거의 5배 증대된 양상을, 올리고당인 stachyose 및 raffinose의 경우에도 ELSD 적용 시 RID 대비 2배 이상 증가된 양상을, 기타 sucrose는 ELSD에서의 함량이 소량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총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 면에서도 ELSD 분석법이 RID 대비 약 1.5배 수준 함량이 증가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감도 면에서 ELSD 분석법이 월등히 높아 RID 분석법에서 검출하지 못하였던 fructose 함량의 반영과 올리고당인 stachyose 및 raffinose와 단당류인 glucose의 감도 향상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감도 면에서 ELSD 분석법이 월등히 높아 RID 분석법에서 검출하지 못하였던 fructose 함량의 반영과 올리고당인 stachyose 및 raffinose와 단당류인 glucose의 감도 향상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콩에 함유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HPLC/RID 및 ELSD 분석법으로 상호 비교한 연구 결과는 존재하지 않으나, Floridi 등(15)이 맥아즙 및 맥주에서 실험한 결과에서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RID 분석법보다 glucose의 경우 1.1배, sucrose의 경우 1.4배, maltose의 경우 1.3배, maltotriose의 경우 1.4배 더 높은 함량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 결과의 수용성 탄수화물과 조성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나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RID 분석법보다 검체에 함유된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증가된 양상은 본 연구 결과와 동일한 양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별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검량식의 직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성분이 고도의 직선성(R2>0.999)이 유지되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동시분석 시 증기화광산란검출법(HPLC/ELSD) 및 굴절율검출법(HPLC/RID)의 분석 효율성, 정밀성 및 재현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효율적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HPLC/ ELSD 분석법 적용 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정량한계(LOQ)를 확인한 결과 5.6~7.6 mg/kg 범위를 나타낸 반면, RID는 16.2~33.9 mg/kg 범위를 나타내어 HPLC/ELSD 분석법이 RID 분석법 대비 감도가 향상된 양상을 확인하였고, intra-day(n=10) 및 inter-day(n=5) 분석재현성 평가에서도 피크의 머무름 시간(Rt.) 및 면적(peak area) 모두 최대 2.5% 미만의 변이계수를 나타내어 높은 분석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별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검량식의 직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성분이 고도의 직선성(R2>0.
999)이 유지되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을 HPLC/ELSD 및 RID 방법으로 상호 비교한 결과 HPLC/ELSD 분석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RID 분석법 대비 각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더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식품 및 원료로부터 수용성 탄수화물인 단당 및 올리고당의 함량을 평가하는 분석방법의 종류는 무엇인가?
최근 다양한 식품 및 원료로부터 수용성 탄수화물인 단당 및 올리고당의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 방법으로는 부피측정법(6), 효소분석법(7), 박층크로마토그라피법(8), 기체크로마토그라피법(9), 이온크로마토그라피법(10), 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라피법(11), 액체크로마토그라피법(12) 및 근적외분광분석법(13) 등이 적용된 바 있으며, 이들 중 일부 분석법은 다성분 동시분석 혹은 개별성분의 분석이 불가능하고 이들 분석법중 액체크로마토그라피/굴절율검출법(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refractive index detection, HPLC/RID)이 가장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피/굴절율검출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분석시료에 함유된 단당류 및 올리고당의 정량적 분석에 사용되는 HPLC/RID 분석법의 대부분 방법은 아미노칼럼(NH2)에 물/아세토니트릴의 혼합 용매계를 등용매용리(isocratic) 방법으로 용리하는 방법(14)과 칼슘 혹은 나트륨과 같은 양이온의 치환성을 이용한 이온성 칼럼에 극성 증류수를 단일용매로 용리하는 분석법이 가장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5), HPLC/RID 분석법의 가장 큰 단점은 RID 검출기의 특성에 의해 혼합 용매계의 농도구배(gradient) 분석이 불가능하여 단당류 및 올리고당의 동시분석이 불가능하거나 시료의 성분조성에 따라 단당류 및 올리고당의 양호한 분리능 확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14).
콩 종실에 함유된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콩(Glycine max) 종실에 함유된 주요 성분은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이며, 평균적으로 건조 콩의 무게 대비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60% 수준을 차지하고 기타성분은 불용성 섬유질(15~18%), 수용성 탄수화물(7~9%), 섬유소(5%), 회분(8%) 및 일부 기능성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1,2).
참고문헌 (16)
Liu KS. 1999. Soybeans: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D, USA. p 25-114.
Lee JW, Hwang YS, Chang WS, Moon JK, Choung MG. 2013. Seed maturity differentially mediates metabolic responses in black soybean. Food Chem 141: 2052-2059.
Aspinall GO. 1988. Chemistry of soybean carbohydrates. In Proceeding of Symposium on Soybean Utilization Alternatives. McCann L, ed.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N, USA. p 117-129.
Kawamura S. 1954. Studies on soybean carbohydrates. IV. Determination of oligosaccharides in soybeans. Nippon Nogei Kogaka Kaishi 28: 851-852.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Method No. 945.29.
Sancho MT, Muniategui J, Lopez J, Simal J, Huidobro JF. 1990. Comparison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d enzymic methods for determining fructose and glucose in honey and rapid analysis of other sugars. Anal Bromatol 42: 71-81.
Gauch L, Leuenberger U, Baumgartner E. 1979.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ono-, di-, and trisaccharides by thinlayer chomatography. J Chromatogr A 174: 195-200.
Lamb JD, Myers GS, Edge N. 1993. Ion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ruct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raw and processed vegetables. J Chromatogr Sci 31: 353-357.
Morin-Allory L, Herbetreau B. 1992. High-performance liquid chomatography and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of monosaccharides and polyols using light-scattering detection. J Chromatogr A 590: 203-213.
Bartosz K, Chorng LP, Yuan TK. 2008. Separation and quantification of neoagaro- and agaro-oligosaccharide products generated from agarose digestion by ${\beta}$ -agarase and HCl in liquid chromatography systems. Carbohydr Res 343: 2443-2450.
Hernandez JL, Gonzalez-Castro MJ, Naya Alba I, Cruz Garcia CL. 1998.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mono- and oligosaccharides in vegetables with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ion and refractive index detection. J Chromatogr Sci 36: 293-29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