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기지역 폐경 전후 여성의 건강기능성식품 섭취 실태 및 인지도 조사 연구
Intake Status and Recog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112 - 1121  

박근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윤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우림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예지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도시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섭취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폐경기 전후 여성들을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 및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경기 전후 중년 여성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폐경 및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식문항에서는 임신가능성 여부 및 폐경기 증상에 대해서는 높은 지식수준을 보였지만 폐경의 정의 및 건강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48.7%로 지식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기능성식품을 구매 또는 섭취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83.7%로 나타났고 구입처는 타인의 소개(35.0%)와 약국 병원(27.8%)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기능성식품의 주요 섭취 이유는 질병 예방(29.6%), 영양소 보충(20.3%), 피로 회복(16.0%)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폐경기 전후의 중년 여성들은 건강기능성식품을 구매할 때 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일반 건강기능성식품의 경우 구매 또는 섭취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83.7%로 높게 나타났지만 폐경기 증상 완화를 위한 건강기능성식품의 경우 구입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65.9%로 더 많았다. 또한 섭취한 건강기능성식품의 성분을 조금 알고 있는 대상자(56.4%)가 가장 많았고 모르는 대상자(25.5%)가 그 뒤를 이어 건강기능의 성분에 대한 지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관심도에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의 구매빈도 및 섭취빈도, 폐경기 증상 완화를 위한 건강기능성식품 구매 및 섭취 여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폐경 증상 완화를 위해 콩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실제 섭취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기 전후의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제는 사회에서 폐경을 맞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여 폐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폐경 후의 생활을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정보제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ake status and recog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urvey questions were administered to 400 women around menopausal period, and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window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전후의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를 조사하고 폐경 관련 지식수준과 그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의 구매 및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폐경기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해 건강기능성식품의 올바른 섭취 및 영양교육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도시 폐경기 중년 여성의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섭취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폐경기 전후 여성들을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 및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경기 전후 중년 여성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폐경 및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식 문항에서는 임신가능성 여부 및 폐경기 증상에 대해서는 높은 지식수준을 보였지만 폐경의 정의 및 건강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최근 국내 건강기능성식품의 대중성과 함께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과 식품구매를 담당하는 주부들의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주부들의 폐경 이후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섭취를 위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전후의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를 조사하고 폐경 관련 지식수준과 그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의 구매 및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폐경기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해 건강기능성식품의 올바른 섭취 및 영양교육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폐경은 난소의 기능 중단으로 인해 에스트로겐(estrogen) 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분비가 감소되어 생식력이 감소하고 월경주기가 점점 불규칙해지다가 결국에는 월경이 끝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발생한다.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증상으로 내분비계 변화로 인한 월경불순을 비롯하여 심계항진, 질과 외음의 수축, 요실금, 불면증, 안면홍조, 관절통, 변비, 설사, 골다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4). 또한 심리적으로 내분비계의 부조화에 따른 피로와 복합적인 증상을 느끼게 되며 폐경기의 여성은 만성질환 보유율이 남성보다 높아지게 되어 일생을 통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폐경이란 폐경은 난소의 기능 중단으로 인해 에스트로겐(estrogen) 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분비가 감소되어 생식력이 감소하고 월경주기가 점점 불규칙해지다가 결국에는 월경이 끝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발생한다.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증상으로 내분비계 변화로 인한 월경불순을 비롯하여 심계항진, 질과 외음의 수축, 요실금, 불면증, 안면홍조, 관절통, 변비, 설사, 골다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4).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섭취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게된 판단의 근거가 된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발표된 건강 기능성식품의 섭취 실태 및 인지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성식품의 인지도 및 구매행동 연구(10), 대도시 중년 남성의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이용 실태 및 건강기 능성식품에 대한 인식조사(7), 영양지식에 따른 주부들의 기능성식품에 대한 인식 및 구매 실태(11) 등이 보고되었다.또한 타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성식품을 건강 식품, 건강보조식품, 특수영양식품, 강화식품, 일반식품, 의약품 등으로 혼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로 인한 식품의 잘못된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따라서 최근 국내 건강기능성식품의 대중성과 함께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과 식품구매를 담당하는 주부들의 건강기능성식 품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주부들의 폐경 이후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섭취를 위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STAT. 2012. The statistics of the aged 2012: The aging ranking for region of Korea.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pubcodeKO&typeF (accessed Dec 2012). 

  2. Kim IK, Choi HM, Kim MH. 2012. Menopausal knowledge and management in peri-menopausal women. J Korea Soc Menopause 18: 124-131. 

  3. Pyun JS, Kim MJ, Lee KH. 2011. Climacteric and menopausal women's beliefs on daily meals and food supplements -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11: 239-252. 

  4. Han SH. 2004.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menopausal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24-30. 

  5. Seo MS. 2002. Woman's health problem i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 115-118. 

  6. Park BH, Lee Y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6: 383-397. 

  7. Hwang IK. 2007. Survey on metropolitan middle-aged men's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functional food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p 17-44. 

  8.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Legislation for Functional Food. http://www.law.go.kr/lsSc.do#liBgcolor0 (accessed Apr 2014).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Health functional food. http://www.foodnara.go.kr/hfoodi/main/sub.jsp?pageCode1 (accessed Jan 2013). 

  10. Yun SH. 2007. A study on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health functional food.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p 11-28. 

  11. Jung SB. 2007. A study of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functional foods by housewives depending on nutritional knowledge.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p 19-42. 

  12. Park JS. 2007. School children's intake patter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cognition by parents in Daejeon area.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p 1-3. 

  13. Shin JM. 2002. An analysis of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middle?old aged adults living in Seoul and Kyong-Ki regio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69-71. 

  14. Park HS. 2003. Effects of soybean foods intake on menopausal symptoms, serum hormones, serum lipids, and bone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39-87. 

  15. Choi NY, Choi SY, Jo HJ. 1998. A study on degree of knowledge of menopause and management of menopausal woman. Korean J Women Health Nurs 4: 402-415. 

  16. Oh HJ. 2006. Perspectives for managing menopause: general introduction. J Korean Med Assoc 49: 4-10. 

  17. Yeun EJ. 2000.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Korean J Health Educ Promot 17: 41-59. 

  18. Im TL. 2002.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of mid-life women. M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p 20-22. 

  19. Hyun SK. 2003. Menopause knowledge, menopause management and climacteric symptoms for middle aged wome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17-36. 

  20. NamKung S. 2001. A study on the recognition for health food of residents in Seoul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46-454. 

  21. Koo NS, Park JY. 2000.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ood by adul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 5: 452-460. 

  22.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36-146. 

  23. Chung HK, Cho MS, Kang NE, Yang EJ, Kang MH. 2001. Patterns of health foods usage by food lifestyles of the adul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6: 195-202. 

  24. Choi Y. 2000. Dose-response relationships of isoflavone on menopausal symptoms, lipid profiles, total antioxidant status, and bon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perimenopausal Wome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22-42.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The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 38-41. Available at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Accessed Jan 2013). 

  26. Ko EH. 2005. A survey of food purchase behavior of housewives following health striving dietary living.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38-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