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Depression and Resilienc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2, 2014년, pp.109 - 118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하영선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in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done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53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군와 K군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암 환자에게 숲 체험 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재가 암 환자의 야외 활동을 확대하여 심리적 중재와 자연이 주는 치유기능을 통합한 숲 체험 통합 중재 참여를 통해 체험한 것을 실생활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 암 환자를 대상으로 숲 체험 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북도 G군와 K군 보건소에 등록되어 관리를 받고 있는 재가 암 환자 53명이었으며, 숲 체험 통합 중재는 총 8회 중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암 환자에게 적용한 숲 체험 통합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G군와 K군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암 환자에게 숲 체험 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재가 암 환자의 야외 활동을 확대하여 심리적 중재와 자연이 주는 치유기능을 통합한 숲 체험 통합 중재 참여를 통해 체험한 것을 실생활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 재가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우울 및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숲 체험 통합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하였을 때 이들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이후 재가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 증가를 위한 간호중재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1: 재가 암 환자를 위한 숲 체험 통합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 가설 2: 재가 암 환자를 위한 숲 체험 통합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회복탄력성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 체험의 장점은 무엇인가? 건강증진 및 질병치유의 장소로서 숲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숲은 자연적인 소재 및 환자의 신체활동을 최대한 활용하고,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종합적인 중재로 구성될 수 있다[12]. 숲 체험은 우울감이 완화되고, 감정의 회복과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는데, 숲 체험의 효과는 정서 · 심리적인 측면에서부터 신체적인 측면까지 다양하며, 정서 · 심리적 측면에서는 정서 안정, 자아실현에 긍정적 영향이 있으며, 우울증 완화효과 등이 있다[13,14]. 숲 체험을 적용한 연구는 알코올의존자[15,16], 남자대학생[17], 저소득층 아동[18], 미혼모[19]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다.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곤란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환경에 적응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능력’이며, 매우 역동적이어서 환경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8]. 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에서 암 환자는 우울이 낮을수록 회복 탄력성이 높아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9], 우울완화 프로그램이 포함된 회복탄력성 증진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자조모임의 참여격려와 활성화가 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10].
암환자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우울정도가 낮은 경우 전이발생의 위험도가 낮아지므로 암 환자의 우울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전략이 요구된다[6]. 국내 암 환자의 우울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연구는 음악요법, 웃음요법, 통합요법, 원예요법, 미술요법, 발 마사지, 정보제공, 심상요법, 용서간호, 명상, 집단치료, 심리교육, 지지간호, 무용, 영적간호, 운동, 식이요법, 아로마요법, 글쓰기, 근이완요법 등이 적용되었는데 이 중 메타 분석이 가능한 음악요법, 웃음요법, 통합요법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통합요법이 우울 감소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는데, 통합요법은 정보 제공, 정서적 지지, 교육, 간호 상담 등의 인지적 · 정서적 중재방법과 운동 등의 신체적 중재방법을 함께 적용한 연구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urvival rate [Internet]. Gyeonggi-do: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4 March 17].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 jsp?idcancer_040301000000 

  2. Park JA, Choi KS. Experience of colorectal cancer survival journeys: Born again after going through an altered self image.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3):163-173. 

  3. Somerset W, Stout SC, Miller AH, Musselman D. Breast cancer and depression. Oncology (Williston Park). 2004;18(8): 1021-1048. 

  4. Turner J, Kelly B, Clarke D, Yates P, Aranda S, Jolley D, et al. A randomised trial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integrated into routine care: The PROMPT study (promoting optimal outcomes in mood through tailored psychosocial therapies). BMC Cancer. 2011;11:48. http://dx.doi.org/10.1186/1471-2407-11-48 

  5. Ramachandra P, Booth S, Pieters T, Vrotsou K, Huppert FA. A brief self-administered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Results from a feasibility study. Psycho-oncology. 2009;18(12):1323-1326. http://dx.doi.org/10.1002/pon.1516 

  6. Lee SJ, Kim JH, Park, YM. Influence of depression on cancer metastasi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8;8(2): 105-110. 

  7. Jang EH, Choi KS, Kwon SJ.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1):1-10. 

  8. Kim JH. Resilience. Seoul: Wisdomhouse; 2011. 268 p. 

  9. Kwak SY,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95-10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95 

  10. Kim JI, Byeon Y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 13(4):256-264. http://dx.doi.org/10.5388/aon.2013.13.4.256 

  11. Cho HS, Kim NH.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0;10(1): 30-37. 

  12. Hong MA, Lee HG, Han EK, Kwon YK. A states about forest therapy program in Korean and the prospect for the fusion of Korean medicine with forestry.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0;16(3):95-105. 

  13. Shin WS, Yeoun PS, Lee JH, Kim SK, Joo JS. The relationships among forest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07;11(1);27-32. 

  14. Yeoun PS.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07;11(3):1-6. 

  15. Cha JK, Kim SJ. Healing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on alcohol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 (3):338-348.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338 

  16. Cho HS, Cho SM, Cha JK.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on alcohol dependa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 13(3):727-743. 

  17. Lee MS, Ka JN, Kim SA, Park MW, Lee JW, Park BJ, et al. Effect of walking at the urban arboretums on psychological stabil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1;14(5):271-277. 

  18. Cho YM, Shin WS, Yeoun PS, Lee HE.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1;15(2):69-75. 

  19. Song JH, Shin WS, Yeoun PS, Choi MD.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2009;98 (1):82-87. 

  20. Lee ED, Park SJ, Yoo RH, Hong SJ.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1;15(2):101-109.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2. Cho HS, Kim SJ, Cha JG, Cho SM.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9;17(2):143-153. 

  23. Shin WS. Trip into the forest. Seoul: Jisungsa; 2007. 240 p. 

  24. Dugan W, McDonald MV, Passik SD, Rosenfeld BD, Theobald D, Edgerton S. Use of the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in cancer patients: Feasibility as a screening tool. Psychooncology. 1998;7(6):483-493. 

  25. Yi MS, Park EY, Kim DS, Tae YS, Chung BY, So HS. Psychosocial adjustment of low-income Korean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25-235.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25 

  26. Yang MH, Yoon KJ.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of in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2;50 (1):121-139. http://dx.doi.org/10.6115/khea.2012.50.1.121 

  27. Kim BS, Kim HY, Lee SJ.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s on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of Korean middle-aged women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citi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3;17(3): 65-73. 

  28. Cho HS, Kim BG, Lee HJ, Lee BY. Perceived social support as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4):51-59. 

  29. Min HS, Park SY, Lim JS, Park MO, Wom HJ, Kim JI. A study on behaviors for preventing recurr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187-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