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부 광고 효과에 대한 ERP 연구: 심상과 주의
An ERP study on charitable donation ad effects: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7 no.2, 2014년, pp.3 - 12  

성영신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지연 (TNS 코리아) ,  강정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 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rightarrow}$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rightarrow}$ 정서적 경험 ${\rightarrow}$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charitable donation ads is to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e.g., sympathy, empathy,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arget audience. Past studies suggest that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which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can be influ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서 기부 광고의 언어적 구성요소인 메시지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와 관련된 개념적 모형을 도식적으로 제안하면 Figure 1과 같다. 단,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개념적 모형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서, 본 연구는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이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으로 검증하지 않 았다.
  • 그러나 이전의 기부 광고 연구들은 광고의 구성 요소와 정서적 경험 또는 기부의향 또는 기부행동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기부 광고 효과에서 광고 구성 요소의 처리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인 심상과 주의의 역할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기부 광고의 구성 요소가 기부의향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광고 구성 요소와 관련된 심상과 주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긍정적 메시지)가 심상과 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리지표인 ERP(event-related potential)의 측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또한 이들 메시지 속성에 따라서 기부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기부희망금액의 측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검증 과정을 통해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이 유발한 심상과 주의 정도를 반영하는 ERP 성분의 수준이 기부희망금액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이들 메시지 속성에 따라서 기부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기부희망금액의 측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검증 과정을 통해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이 유발한 심상과 주의 정도를 반영하는 ERP 성분의 수준이 기부희망금액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부 광고효과가 발생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EEG를 이용해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중 구체성(구체적 메시지 vs.
  • 긍정적 메시지)가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측정했다. 이들 메시지 속성이 기부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또한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정도는 설문 조사와 같은 자기 보고식 방법으로는 측정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기부 광고에서 자주 활용되는 언어적 구성요소의 속성인 메시지의 구체성(구체적 메시지 vs. 추상적 메시지)과 정서가(부정적 메시지 vs. 긍정적 메시지)가 심상과 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리지표인 ERP(event-related potential)의 측정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또한 이들 메시지 속성에 따라서 기부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기부희망금액의 측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언어적 광고 요소가 시각적 광고 요소에 비해 심상 유발(Miniard, Bhatla, Lord, Dickson, & Unnava, 1991)과 주의 촉진(Pieters & Wedel, 2004)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약하다고 간주되어 온 언어적 광고 요소(메시지)가 심상 유발과 주의 촉진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중적으로 알아보자 한다. 또한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정도는 설문 조사와 같은 자기 보고식 방법으로는 측정하기가 어렵다.
  • 실험 참가자들은 퀴즈의 정답을 컴퓨터 자판의 특정 키(“예”인 경우 “j” 키를 누르고 “아니오”인 경우 “f” 키를 누름)를 눌러서 대답하였다. 제시된 메시지에 대한 주의 유지 정도를 점검하기 위해서 각 퀴즈에 대한 실험 참가자들의 정답 여부도 자료로 저장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세 종류의 메시지 조건에 해당되는 메시지들에도 순차적으로 노출되었다.
  • 하나의 메시지 조건만 제시한 EEG 기록 세션과 달리, 기부의향금액 측정 세션에서는 두 개의 메시지 조건을 쌍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메시지 조건을 쌍으로 제시하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가상의’ 돈을 이용한 기부와 관련된 실험의 경우에 실험 참가자들이 기부행동에 몰입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가설 3-1. 기부 광고의 구체적 메시지는 추상적 메시지보다 기부의향을 더 많이 높일 것이다.
  • 가설 1-1. 기부 광고의 구체적 메시지는 추상적 메시지보다 심상을 더 많이 유발할 것이다.
  • 가설 2-1. 기부 광고의 구체적 메시지는 추상적 메시지보다 주의를 더 많이 끌 것이다.
  • 가설 2-2. 기부 광고의 부정적 메시지는 긍정적 메시지보다 주의를 더 많이 끌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부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 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 메시지에 비해 무엇을 더 유발시키는가?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의향금액 측정 시 두 개의 메시지 조건을 쌍으로 제시한 이유는? 하나의 메시지 조건만 제시한 EEG 기록 세션과 달리, 기부의향금액 측정 세션에서는 두 개의 메시지 조건을 쌍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메시지 조건을 쌍으로 제시하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가상의’ 돈을 이용한 기부와 관련된 실험의 경우에 실험 참가자들이 기부행동에 몰입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본 실험의 참가자들이 가상으로 주어진 10,000원을 두 메시지 조건 중 어느 쪽에 얼마씩 기부할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과정에서 기부행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2. Batson, C. D., & Shaw, L. L. (1991). Evidence for altruism: Toward a pluralism of prosocial motives. Psychological Inquiry, 2(2), 107-122. 

  3. Chang, C., & Lee, Y. (2009). Framing charity advertising: Influences of message framing, image valence, and temporal framing on a charitable appeal.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9(12), 2910-2935. 

  4. Das, N. & Kerr, A. H. (2009). Improving the impact of cause-related donation exchanges through message framing: A conceptua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25(2), 69-77. 

  5. Eisenberg, N., & Miller, P. A. (1987).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101(1), 91-119. 

  6. Fenske, M. J., & Raymond, J. E. (2006). Affective influences of selective att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6), 312-316. 

  7. Finke, R. A. (1980). Levels of equivalence in imagery and perception. Psychological Review, 87(2), 113-132. 

  8. Herbert, C., Junghofer, M., & Kissler, J. (2007). Event related potentials to emotional adjectives during reading. Psychophysiology, 45(3), 1-12. 

  9. Holmes, E. A. & Mathews, A. (2005) Mental imagery and emotion: A special relationship? Emotion, 5(4), 489-497. 

  10. Huang, Y. X., & Luo, Y. J. (2006). Temporal course of emotional negativity bias: An ERP study. Neuroscience Letters, 398(1-2), 91-96. 

  11. Huhmann, B. A., & Brotherton, T. P. (1997). A content analysis of guilt appeals in popular magazine advertisements. Journal of advertising, 26(2), 35-45. 

  12. Kanske, P. & Kotz, S. A. (2007). Concreteness in emotional words: ERP evidence from a hemifield study. Brain Research, 1148, 138-148. 

  13. Kemp, E., Kennett-Hensel, P. A., & Kees, J. (2013). Pulling on the heartstrings: Examining the effects of emotions and gender in persuasive appeals. Journal of Advertising, 42(1), 69-79. 

  14. Luck, S. J. & Hillyard, S. A. (1994).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feature analysis during visual search. Psychophysiology, 31(3), 291-308. 

  15. MacInnis, D. J., & Price, L. L. (1987). The role of imagery in information processing: Review and exten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4), 473-491. 

  16. Maclnnis, D. J., & Jaworski, B. J. (1989). Information processing from advertisements: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Marketing, 53(4), 1-23. 

  17. Miller, C. H., Lane, L. T., Deatrick, L. M., Young, A. M., & Potts, K. A. (2007).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romotional health messages: The effects of controlling language, lexical concreteness, and the restoration of freedom.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3(2), 219-240. 

  18. Miniard, P. W., Bhatla, S., Lord, K. R., Dickson, P. R., & Unnava, H. R. (1991). Picture-based persuasion processes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1), 92-107. 

  19. Pegna, A. J., Khateb, A., Spinelli, L., Seeck, M., Landis, T., & Michel, C. M. (1997). Unraveling the cerebral dynamics of mental imagery. Human Brain Mapping, 5(6), 410-421. 

  20. Pieters, R. & Wedel, M. (2004). Attention capture and transfer in advertising: Brand, pictorial, and text-size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68(2), 36-50. 

  21. Pratto, F., & John, O. P. (1991). Automatic vigilance: The attention-grabbing power of negative social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3), 380-391. 

  22. Rozin, P., & Royzman, E. B. (2001).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4), 296-320. 

  23. Schapkin, S. A., Gusev, A. N., & Kuhl, J. (2000). Categorization of unilaterally presented emotional words: An ERP analysis. Acta Neurobiologiae Experimentalis, 60(1), 17-28. 

  24. Slovic, P. (2007). "If I look at the mass I will never act": Psychic numbing and genocide.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2(2), 79-95. 

  25. Small, D. A., & Verrochi, N. M. (2009). The face of need: Facial emotion expression on charity advertise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6(6). 777-787. 

  26. Sternberg, R. J. (1996). Cognitive psychology (pp. 156-195). Forth Worth, TX: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27. Unnava, H. R., & Burnkrant, R. E. (1991). An imagery-processing view of the role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2), 226-31. 

  28. West, W. C., & Holcomb, P. J. (2000). Imaginal, semantic, and surface-level processing of concrete and abstract words: An electrophysiolog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2 (6), 1024-10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