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층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4 no.4, 2011년, pp.204 - 211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년층 성인에게 적용한 죽음준비교육이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시 노원구에 거주하는 40~65세 성인으로서 실험군은 2010년 3월 19일부터 6월 4일까지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38명이었고 대조군은 죽음준비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중년층 성인 45명이었다. 대상자에게 제공한 죽음준비교육은 매주 4시간씩 총 11주 동안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교육과정은 앎의 기쁨이 있는 삶, 의미를 발견하는 삶, 나눔과 관계의 삶, 황혼의 준비된 삶의 4부로 이루어진 중년층에게 보다 실제적으로 삶과 죽음을 생각해보도록 구성된 교육이었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서술통계, 동질성 검증t-test,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가설검증은 ANCOVA를 적용하였다. 결과: 동질성 검정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월평균 소득을 제외한 모든 특성과 죽음불안과 삶의 질 사전 점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동질하였으며, 가설 검정에서 죽음준비교육은 대상자의 죽음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P<0.000)가 있었으나 삶의 질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P=0.188)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죽음준비 교육은 대상자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년층 성인이 죽음을 준비해 봄으로써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 죽음준비교육이 매우 필요로 되는 교육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보다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위해 표본 수를 확대한 반복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다. 앞으로 중년층 성인에게 중요시 되는 건강을 포함하여 삶과 죽음을 준비하게 하는 교육이 지역사회의 보건소 중심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o analyze how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elps middle-aged adults deal with life and death anxiety. Methods: We studied 83 adults at the age of 40 to 65 years. An experimental group of 38 people participated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 건강한 신체의 행복한 삶, 노화의 특성이 세부주제로 다루어졌다. 1부 교육과정에서는 중년 및 노년이 되면서 자신의 인생의 경험을 토대로 삶과 죽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해보는 것과 더불어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신체, 정서적 특징과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학습함으로서 중년기에 있는 자신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이 중년층의 죽음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7%에서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하거나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여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 교육이 수행되어 그 효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죽음불안과 삶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중년기는 신체적 노화, 직업생활 및 가족생활에서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과업을 지니고 있는 시기로서 중년기 위기(mid-life crisis)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참된 삶을 위한 준비교육인 죽음준비교육이 중년기에 활발히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4,13,23). 중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년층을 위한 죽음준비 프로그램 개발 내용 및 그 효과평가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불안이란 무엇인가? 죽음불안이란 자기 자신이 죽음을 생각할 때 느끼게 되는 두려움이나 공포를 나타내는 정도를 말하며, 자기 자신의 존재 상실과 죽음과정에서의 두려움과 공포, 사후결과에 대한 불안의 심리적 과정을 의미한다(21). 본 연구에서는 Park(22)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죽음불안 도구를 사용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이란 무엇인가? 죽음준비교육은 삶과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고 보다 의미 있게 살도록 하는 교육으로서, 인생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며, 삶의 위기와 문제를 재조명하면서 미래에 대한 신념과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고 여생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살아가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내세의 소망을 가지게 하여 두렵고 기피하고 싶은 죽음의 인식에서 벗어나 영적 안녕감과 삶과 죽음의 의미를 찾게 도와주게 된다(3,5).
Park(22)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죽음불안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Park(22)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죽음불안 도구를 사용하였다. 존재상실의 불안, 죽음과정의 불안, 사후결과의 불안이라는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4점 척도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 불안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간호사, 사회복지사, 국어국문학과 교수 등 5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23개 문항 모두 CVI (content validity index) 계수 80%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KH, Lee YJ, Lee HJ. Understanding thanatology. 1st ed. Seoul:Hakjisa;2006. 

  2. Cho KH, Lee YJ, Lee HJ. The better life. 1st ed. Paju:Yangseowon; 2006. 

  3. Oh JT. The last present. 1st ed. Seoul:Sejongbooks;2007. 

  4. Son KH.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Goyang: Gongdongchae;2010. 

  5. Yoon MO.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4):513-21. 

  6. Han NY, Yoon HJ, Park EW, Cheong YS, Yoo SM. 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002; 23(6):769-77. 

  7. Han YR, Kim IH. Attitude toward death and recognition of hospice of community dweller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08;22(1):49-61. 

  8. Hattori K, McCubbin MA, Ishida DN.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in the Japanese community. J Nurs Scholarsh 2006;38(2): 165-70. 

  9. Kim HM.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the death among the aged: with the aged who live in Su-won city [master's thesis]. Yongin: Kangnam Univ.; 2001. Korean. 

  10. Kim J, Kang Y, Ryu K, Rie J. Predictors of ego-integrity in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s. Korean J Soc Pers Psychol 2009;23(4):115-30. 

  11. Kim YS. A study about the requirement differenc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ursuant to distiction of sex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2007. Korean. 

  12. Lehto RH, Stein KF. Death anxiety: an analysis of an evolving concept. Res Theory Nurs Pract 2009;23(1):23-41. 

  13. Yang KS.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centering on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 2009. Korean. 

  14. Yun YH, Rhee YS, Nam SY, Chae YM, Heo DS, Lee SW, et al.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1):17-28. 

  15.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 8(2):163-72. 

  16. Kim EH, Lee EJ.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09;39(1):1-9. 

  17. Lim C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aged population-[master's thesis]. Busan: Silla Univ.; 2005. Korean. 

  18. Oh JT, Kim C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Soc 2009;29(1):51-69. 

  19. Park JE.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Seoul Women's Univ.; 2009. Korean. 

  20. Yoon MO. Effect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volunte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4):199-208. 

  21. Kim ES.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elder who lives alone and elder who lives with family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 2004. Korean. 

  22. Park EK. Development of death anxiety instrument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 1995. Korean. 

  23. Ro YJ. An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1988. Korean. 

  24. Dunbar GC, Stoker MJ, Hodges TCP, Beaumont G.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 J Med Econ 1992;2:65-74. 

  25. Yoon JS, Kook SH, Lee MS.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 Psychiatry Investig 1998;37(2):280-94. 

  26. Choi BH. A study for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future life readiness education [master's thesis]. Cheonan: Hoseo Univ.; 2002. 

  27. Nam HS. Analysis on adult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nee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 200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