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 수학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s Class Model in Gifted Science Academ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4, 2014년, pp.657 - 677  

오택근 (경기과학고등학교)

초록

영재교육의 양적인 확장과 함께 과학영재학교의 증가를 고려할 때, 고등학생 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수학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수학적 창의성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제시하는 현재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과학영재학교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 방식의 수업이 아닌 학생 중심의 토론식 수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의 정규 수학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토론을 위한 예습 활동에 많은 부담을 가지면서도 토론 활동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보다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이 과학영재학교 정규 수학 수업에서 의미있게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gifted education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the Gifted Science Academy, it is important to seek the appropriate methods of mathematics teaching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o reflect current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 mathematical c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 영재교육진흥법,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의 제정을 통해 영재교육에 관한 관심이 급격히 확산되었다(이영배, 2011).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과학고등학교, 과학영재학교 등이 있다. 이 중 과학영재학교의 경우, 2003년 부산과학고등학교가 한국과학영재학교로 전환 지정된 것을 시점으로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서울, 경기, 대구, 대전, 광주 지역에서 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 교로 전환하여 2014년에는 모두 6개의 과학영재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학영재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은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수성과 함께, 영재학 교라는 제도화된 공간에서 일상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일반 고등학교 자연계열 학생들이 3개년 간 이수하는 수학과목의 내용을 학교에 따라 재구성하여 영재학교 1학년과 2학년 기간 동안 학생 들이 속진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2학년과 3학년 때에는 이공계 대학의 1학년 혹은 수학을 전공하는 학과의 2학년이나 3학년 과정에서 다루는 교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하여 이수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수학과목의 목표는 무엇인가? 수학과목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여러 가지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서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수학학습자로서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기른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구정화 (2009). 학교 토론수업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3. 나귀수 (2011). 수학 영재 학생들의 발견과 증명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2),105-120. 

  4. 김순식 (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2), 37-63. 

  5.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19-32. 

  6. 김지원, 송상헌 (2004). 한 수학영재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1), 89-110. 

  7. 김홍원 (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8(2), 69-89. 

  8.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3), 803-822. 

  9.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10. 서동엽 (2005). 수학 영재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적용 방안. 학교수학, 7(3), 237-252. 

  11. 송상헌 (2006).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한국 학술정보(주). 

  12.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7. 

  13.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학교수학,9(2), 241-257. 

  14. 유윤재 (2004).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8(3), 81-94. 

  15. 이대원, 고호경, 유미현 (2012).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영재교육연구, 22(1), 23-37. 

  16. 이영배 (2011). 융합과 영재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1(단일호), 203-206. 

  17. 이정연, 이경화 (2010) Simpson의 패러독스를 활용한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발현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203-219. 

  18. 전선미, 유원석 (2011).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5(1), 79-97. 

  19. 정문성 (2011). 토의.토론 수업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 최병훈, 방정숙 (2012).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197-215. 

  21.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0(4), 561-574. 

  22.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3. Brookfield, S. D., & Preskill, S. (2005).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Democratic Classrooms. San Francisco: Jossey-Bass. 

  24. Cobb, P., & Bauersfeld, H. (1995). The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Interaction in classroom cultur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Cobb, P., Stephan, M., & Bowers, J. (2011). Chapter 8: Introduction. In E. Yackel, K. Gravemeijer, & A. Sfard (Eds.), A Journey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nsights from the Work of Paul Cobb (pp. 109-115). Springer Netherlands. 

  26. Dillon, J. T. (1997).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김정효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본출간년도: 1994). 

  27. Ernest, P. (2005). Agency and creativity in the semiotics of learning mathematics. In Activity and Sign (pp. 23-34). Springer US. 

  28.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42-53.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Hadamard, J. (1954).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Jonassen, D., & Land, S. (Eds.). (2012).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31.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Lakatos, I. (Ed.). (1976). Proofs and refutations: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Lampert, M., & Cobb, P. (2003).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 J. Kilpatrick,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Lee, K. H. (2005).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ometrical reasoning and informal proof. In H. L. Chick, & J. L. Vincent (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3, pp. 241-248). Melbourne: PME. 

  3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6. Pelczer, I., & Rodriguez, F. G. (2011). Creativity assessment in school settings through problem posing tasks.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8(1&2), 383-398. 

  37. Poincare, H. (1948). Science and method. New York: Dover. 

  38. Sfard, A. (2007). When the Rules of Discourse Change, but Nobody Tells You: Making Sense of Mathematics Learning From a Commognitive Standpoint.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6(4), 567-615. 

  39.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Sheffield, L. (2009).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questions may be the answer.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87-100). Rotterdam: Sense Publishers. 

  41.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9(3). 

  42.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43.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RM02170). Storrs, University of Connecticut. 

  44. Weber, K., Maher, C., Powell, A., & Lee, H. S. (2008). Learning opportunities from group discussions: Warrants become the objects of debat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8, 247-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