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일화기록의 한계와 과제
Teachers' Story about the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4, 2014년, pp.71 - 95  

박선희 (대연유치원) ,  이경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화기록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일화기록의 현실적 한계와 함께 진정한 일화기록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곱 명의 사립유치원 교사들로 구성된 집단을 구성하여 다섯 차례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후속적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개방 및 선택적 코드화와 범주화를 거쳐 의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문서에서 유아발달의 자원으로", "기록과 교육과정 간의 단절에서 교육 실제를 증진시키는 순환적 활용으로", "어려운 현실 속 수동적 교사의 기록에서 개선된 근무 환경에서 연구하는 교사의 실천으로"와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유치원에서의 일화기록의 한계와 그에 대한 개선 과제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explored the limitations of anecdotal records in kindergarten and presented the challenges toward authentic recor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 teachers working at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individual follow-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convers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유아교육의 본질은 유아의 전인발달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러한 유아교육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평가의 과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포커스그룹인터뷰란 무엇인가? 한편, 교사들의 일화기록에 관한 실제 경험을 탐구하는 방법으로는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포커스그룹인터뷰란 특정한 주제에 대한 인식이나 생각을 얻기 위한 토의방식으로 연구 참여자들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구조화된 집단 면담을 의미한다(이경화, 임희정, 2012). 서로 잘 알지 못하면서 유사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집단으로 포커스그룹으로 구성하였을 때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Bloor, Frankland, Thomas, & Robson, 2001),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들이 모여서 개인의 경험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자유롭게 토론하는 방식을 통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지식도 함께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박귀선, 2009).
유아평가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탐구가 필요한가? 즉 교사 개개인이 경험하는 사례의 특성을 기반으로 일화기록의 현상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평가의 일환으로 일화기록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화기록을 함에 있어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교사들의 실제 경험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험을 통해 유치원에서의 일화기록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과 도전이 필요한지 살펴보아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숙현(2001). 관찰과 기록화를 통한 유아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4. 김남희(2010). 유아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35-163. 

  5. 김영선(2006). 유치원의 유아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천(2004). 교과교육과 수업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 문음사. 

  7. 김영천, 이용숙(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8. 김윤경(2001).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연(2007). 유아발달평가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유아발달평가 실태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나귀옥, 김경희(2012).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아평가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2(4), 465-492. 

  11. 박귀선(2009).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미옥(2012). 유아평가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과의 관계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미정(2000).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대한 태도와 그 활용실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서은주, 홍순옥(200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아동교육, 18(3), 37-54. 

  15. 손리라(2011). 유치원 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손희경(2011).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유아평가에 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엄기자(2000).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종수(2001). 유아교육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경화(2001). 기록화를 통한 유아평가. 교육과정평가연구, 4(1), 41-54. 

  20. 이경화, 임희정(2012). 다문화가족의 한국인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에 관한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69-98. 

  21. 이성희(2003).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평가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3(2), 129-142. 

  22. 이성희, 사영숙(2004).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수행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현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95-117. 

  23. 이순자(2004). 유치원의 유아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225-268. 

  24. 이원미(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윤옥(2009). 영유아 행동관찰 연구. 서울 : 신정. 

  26. 이정환, 김지영(1996).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비형식적 아동평가의 운영실태 조사. 서울 : 한국어린이육영회. 

  27. 정금란(2009). 초등학교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차선례(1997). 유치원 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미숙, 박지영, 성연정, 윤유중(2009).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평가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논집, 13(1), 139-162. 

  30. 최일선, 홍용희(2003). 한별유치원 만 5세 기린반 교사의 유아평가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171-196. 

  31. 황해익(2002). 유아교육평가. 서울 : 양서원. 

  32. 황해익(2010). 아동연구방법 (제2판). 서울 : 정민사. 

  33. Bloor, M., Frankland, J., Thomas, M., & Robson, K. (2001). Focus groups in social research. London : Sage Publications. 

  34. Camden, C. (2001).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2nd Ed.). Portsmouth, NH : Heinemann. 

  35. Chen, J. Q., & McNamee, G. (2007). Bridging: Assess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re K-3. Thousand Oaks, CA : Corwin Press. 

  36.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37. Dodge, D. T., Heroman, C., Charles, J., & Maiorca, J. (2004). Beyond outcomes: How ongoing assessment supports children's learning and leads to meaningful curriculum. Young Children, 59(1), 20-28. 

  38. Dombro, A., Jablon, J., & Dichtelmiller, M. (2000). The power of observatio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families. Information Exchange, 135, 22-27. 

  39. Jones, J. (2004). Framing the assessment discussion. Young Children, 59(1), 14-18. 

  40. Krueger, R. A. (1998). Moderating focus groups. London : Sage. 

  41. Marshall, C., & Rossman, G. B. (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 Sage. 

  42. McAfee, O., & Leong. D. J. (2007).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4th Ed.) . Boston, MA : Allyn and Bacon. 

  43. McFarland, L. (2008). Anecdotal records: Valuable tools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36(1), 31-38. 

  44. Nah, K. O., & Kwak, J. I. (2011). Child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in South Korea. Asian Social Science. 7(6), 66-78. 

  45. Seplocha, H. (2004). Partnerships for learning: Conferencing with families. Young Children, 59(5), 96-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