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세 학급 준서의 공격적인 문제행동 지도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about Intervention to the Aggressive Behaviors of Junseo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1, 2015년, pp.23 - 42  

원계선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수진 (반석어린이집) ,  오아름 (반석어린이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격적인 영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관한 연구로 B어린이집 2세 학급 영아 준서가 보이는 공격적인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목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ABC 사건 표집법, 일화기록, 행동 발생 빈도 기록, 부모면담 등을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동료교사 및 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해 문제행동의 원인을 유추하고 적절한 지도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문헌을 참고하여 준서에게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칭찬하기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타임아웃(time-out) 방법을 실행하였다. 아울러 가정에서 또한 준서에게 칭찬을 자주 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였다. 문제행동 지도 방법의 실행과정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지도에 환류하는 과정을 지속하여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학급 문제행동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교사공동체 모임의 활성화와 전문가의 도움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러한 절차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교사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d to apply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deal with the aggressive behaviors of Junseo, who is in a classroom for two-year olds. First, we collected the data about the aggressive behaviors by ABC event sampling, journal, recording the frequency of behav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임아웃 기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타임아웃은 아동의 부적절한 행동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이다. 부적절한 행동 감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타임아웃 장소에 강화 요소가 없어야 하며 3분에서 10분까지의 적절한 길이의 타임아웃이 시행되어야 하고, 타임아웃 시행 전 아동에게 상황을 명확히 설명해야 하며, 부적절한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하고 타임아웃 해지 후 일상적인 환경으로 복귀했을 때 바람직한 대체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Reynolds & Fletcher-Janzen, 2000).
공격성이란? 공격성이란 적의나 증오와 관계가 있는 모든 종류의 파괴적 행동, 특히 육체적인 타격이나 악의를 품은 발언 등으로 상대방에게 손상을 입히려는 행위와 그런 행동을 하려는 욕구 경향을 말한다(두산백과사전). 영아의 공격적 행동은 일반적으로 유아가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신체적, 심리적 해를 가하는 행동으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의미한다(엄성애, 2003; Baily & Wolery, 2003; Parke & Slaby, 1983; Shaffer, 1993).
과잉행동과 공격적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특징은? 영아기 까다로운 기질이 유아기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며(Kingston & Prior, 1995; Thomas, Chess & Birch, 1968), 초기 아동기 까다로운 기질이 후기 아동기 문제행동을 잘 예언하는 만큼(Maziade et al, 1984) 선천적인 기질이 공격성의 설명요인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과잉행동과 공격적인 자녀를 둔 어머니는 인내심이 부족하고 권력을 강요하며 일관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Campbell, 1995; Patterson et al., 1989)는 유아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부모요인의 영향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견주연, 정계숙 (2013). 다문화 유아교실을 만들기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33(6), 205-236. 

  2. 구수연 (2005).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2세아의 사회적 행동.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27-55. 

  3. 김미해 (2000). 유치원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정, 도현심 (2001).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5. 김민효 (2009). 공격성 감소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과 부모의 양육방식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은, 엄정애 (2014). 만 5세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1), 113-139. 

  7. 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search/encyber/totalSearch.jsp?WT.acsearch. 출력일 2013년 12월 5일. 

  8. 송나리, 권정윤 (2013).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243-270. 

  9. 엄성애 (2003). 영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변인들 : 영아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은성 (2013).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효과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원계선 (2013). 초임보육교사의 경험과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3-45. 

  12. 윤점룡, 김병식, 박용석, 박주완, 백순이, 서원욱 외 (2005). 장애학생의 이해와 교육. 서울 : 학지사. 

  13. 윤정희, 나귀옥 (2013). 겨울철 실외영역에서의 과학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33(6), 423-450. 

  14. 이경화, 김연진, 배지현 (2010).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1(2), 153-177. 

  15.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16. 이원영 (1983). 부모의 자녀 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정혜 (2004). 아동의 공격성 유발요인에 대한 대상관계 이론적 관점. 상담학연구, 5(4), 1155-1168. 

  18. 이현경 (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 수행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19. 이현순 (1982).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자영, 이대균 (2011). 만 5세 학급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유아 주도적 소집단 토의 운영을 위한 실행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223-253. 

  21. 장정은 (2012). 가정과 연계한 칭찬활동 프로그램의 유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형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지순 (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공격성 유형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진영, 김진희, 김영희 (2011).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2(2), 79-107. 

  24. 정옥분 (2004). 영유아 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5. 조운주, 최일선 (2004).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26. 조혜경 (2006). 1.2세 영아의 또래갈등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7, 245-262. 

  27. 최재정 (2011). 부모의 의사소통, 양육태도 및 통제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미옥 (2000). 어머니 및 교사의 관찰에 의한 유아의 공격성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Baily, D. B., & Wolery, M. (2003).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소현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원판 1992년). 

  30. Cairns, R. B., Cairns, B. D., Neckerman, H. J., Ferguson, L. L., & Gariepy, J. (1989). Growth and aggression: 1.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Development Psychology, 25(2), 320-330. 

  31. Campbell, S. B. (1995).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 Allied Disciplines, 36(1), 113-149. 

  32. Kingston, L., & Prior, M. (1995). The development of patterns of stable, transient, and school age onset aggressive behavior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4(3), 348-358. 

  33. Martin, G., & Pear, J. (2011). 행동수정 (이임순 외 공역). 서울 : 학지사(원판 2003년). 

  34. Maziade, M., Boudreault, M., Thivierge, J., Capera, P., & Cote, R.(1984). Infant temperament : SES and gender differences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n a large Quebec sample. Merrill-Palmer Quarterly, 30(2), 213-226. 

  35. Parke, R. D., & Slaby, R. G. (1983).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In P. H. Mussen (Ed.),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s. NY: Wiely. 

  36. Patterson, G. R., DeBaryshe, B., & Ramsey, E. (1989).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44(2), 329-335. 

  37. Reebye, P. (2005). Aggression during early years-infancy and preschool. The Canadi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Review, 14(1), 16-20. 

  38. Reynolds, C. R., & Fletcher-Janzen, E. (2000).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2nd Ed.). John Wiley & Sons, Inc. 

  39. Shaffer, D. R. (1993).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3rd Ed.). California: Books/Cole. 

  40. Thomas, A., Chess, S., & Birch, H. G. (1968). Temperament and behavior disorders in children. New York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