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마선 조사한 총목피(Aralia elata Cortex)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amma-irradiated Aralia elata Cortex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36 - 1247  

박혜진 (내추럴에프앤피 연구개발부) ,  이은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명욱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  이선호 (안동대학교 해양바이오산업연구소)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약용식물에 있어서 감마선 조사 처리는 기능성 물질탐색에 적용 시 추출수율 증진, 색상 개선 등 산업적 응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총목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의 감마선 조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자극 발광(PSL) 및 열 발광(TL) 방법을 활용하여 감마선 조사 판별 확인시험을 진행하였다. PSL법의 경우 비조사구 0 kGy에서 400.00 PCs로 음성(negative) 시료로 판단되었으며, 조사구 5, 10, 30 kGy에서 각각 90,100.00 PCs, 312,614.33 PCs, 321,661.67 PCs로 나타나 감마선을 조사한 양성(positive) 시료로 확인되었다. TL법 적용 시 비조사구 0 kGy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300^{\circ}C$ 부근에서 조사구 5, 10, 30 kGy는 $150{\sim}250^{\circ}C$의 부근에서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다. TL ratio는 비조사구 0 kGy에서 0.011로 0.1 이하의 값을 나타냈으며, 조사구 5, 10, 30 kGy는 각각 1.105, 1.009, 2.206으로 0.1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조사구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처리한 총목피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측정한 결과 0, 10, 30 kGy 선량 중 10 kGy의 조사선량에서 총목피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함량이 각각 $17.30{\pm}0.40mg/g$, $18.87{\pm}0.46mg/g$으로 가장 높은 phenolics 함량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와 xanthin oxidase 저해효과는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에서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ncreatin ${\alpha}$-amylase 저해효과와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총목피 열수 및 50%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 처리 시 0~30 kGy의 모든 선량에서 60~100%에 가까운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현재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acarbose와 비교 시 월등히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 추출물은 천연소재로써 항당뇨 관련 기능성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총목피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감마선의 조사에 의해서 총목피의 생리활성이 증대되는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감마선 조사가 식물체가 나타내는 생리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mma irradiated-treatment of natural medicinal plants can be used to improve extraction transference number an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lor when applied to functional material explo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ralia elata cortex extracts upon gamma irradi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약용식물인 총목피에 감마선을 조사 처리한 후 발광분석법(PSL, TL)에 의해 조사 여부를 판별하였으며 감마선 조사가 총목피 추출물의 추출수율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방사선 조사 처리를 통한 총목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 PSL 분석은 일반적으로 silicate나 bioinorganic material을 함유하는 식품에 대해 방사선 조사 여부를 screening하는 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며(16),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건조향신료(단, 육두구, 후추, 정향 제외), 고춧가루, 마늘, 양파에 대해서만 PSL 분석 적용을 고시(17)하고 있으나 허브류에 속하는 약용식물에 대한 PSL 분석 적용은 아직 고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약용식물 중 하나인 총목피에 대한 PSL 분석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의 PSL 분석은 식품공전(17) 및 CEN 방법(16)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 천연 약용식물에 있어서 감마선 조사 처리는 기능성 물질 탐색에 적용 시 추출수율 증진, 색상 개선 등 산업적 응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총목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감마선 조사 처리한 총목피의 감마선 조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자극 발광(PSL) 및 열 발광(TL) 방법을 활용하여 감마선 조사 판별 확인시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릅나무란? 두릅나무(Aralia elata Seemann)는 Araliaceae(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국내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봄철에 채취한 새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한의학에서는 두릅나무의 뿌리나 줄기 껍질을 말린 것을 총목피(Aralia elata cortex)라 하여 혈당 저하 효과(3), 항균 효과(3), 간독성완화 효과(4), 지질 저하 효과(5), 항산화 효과(6) 등 다양하고 우수한 기능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동물을 이용한 단회독성 실험을 통해서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의 활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7).
한의학에서는 두릅나무의 뿌리나 줄기 껍질을 말린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두릅나무(Aralia elata Seemann)는 Araliaceae(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국내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봄철에 채취한 새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한의학에서는 두릅나무의 뿌리나 줄기 껍질을 말린 것을 총목피(Aralia elata cortex)라 하여 혈당 저하 효과(3), 항균 효과(3), 간독성완화 효과(4), 지질 저하 효과(5), 항산화 효과(6) 등 다양하고 우수한 기능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동물을 이용한 단회독성 실험을 통해서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의 활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7).
식품 방사선 조사 처리와 관련된 국제 관련 기구(FAO/IAEA/WHO)에서 허용한 방사선 양은? 한편 방사선 조사는 식품 및 소재의 부패방지, 제품의 안전성 및 보존성 향상의 효과가 보고되어 식품뿐만 아니라 제약, 의료 및 화장품 소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적 기술이다(8-10). 방사선 조사 식품의 안전성은 국제 관련 기구(FAO/IAEA/WHO)에서는 “평균 10 kGy 이하로 조사된 모든 식품은 어떠한 독성학적 위해나 영양학적, 미생물학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라고 결론을 내림에 따라 방사선 조사 식품의 안전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되었다(11). 감마선 조사 처리는 천연약용식물의 기능성 물질의 탐색에 적용되어 추출수율을 증진시키고 첨가제 등으로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색상을 개선하면서도 본래 가지고 있던 생리활성을 유지하여 산업적 응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도 알려져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him JS, Kim SD, Kim TS, Kim KN.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ol 37: 78-83. 

  2.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U,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3. Kim IS. 2006.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fluence on cell-proliferations of the Aralia elata cortex.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4. Kim YK, Nam SY, Chung YB, Lee CC. 1994. Studies on the effects of Aralia elata on antitumor and immunity activities. Kyungsung University Bulletin 15: 251-262. 

  5. Yoshikawa M, Murakami T, Harada E, Murakami N, Yamahara J, Matsuda H. 1996. Bioactive saponins and glycosides. Ⅶ. On the hypoglycemic principles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 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oligoglycoside. Chem Pharm Bull 44: 1923-1927. 

  6. Yoshikawa M, Matsuda H, Harada E, Murakami T, Wariishi N, Yamahara J, Murakami N, Elatoside E. 1994. A new hypoglycemic principle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glycosides. Chem Pharm Bull 42: 1354-1356. 

  7. Yang HK, Jin JY, Kim JM, Ko MS, Hong HJ, Kim SC, Lee JY. 2006.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the extract of Aralia elata in mice. J Toxical Pub Health 22: 439-443. 

  8. Byun MW. 1994. Application of irradiation techniques to food industry. Radioistope News 9: 32-37. 

  9. Thayer DW. 1990. Food irradiation: benefits and concerns. J Food Quality 13: 147-169. 

  10. Lee JW, Yook KH, Cho KH, Lee SY, Byun MW. 2001. The changes of allergenic and antigenic properties of egg white albumin (Gal d 1)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00-504. 

  11. Jo D, Kwon JH. 2002. Characteristics of thermoluminescence and electron spin resonance and organoleptic quality of irradiated raisin an dried banana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09-614. 

  12. WHO. 1981. Wholesomeness if irradiated food. Report of a joint FAO/IAEA/WHO expert committee. Technical Report Series 659. Geneva, Switzerland. 

  13. Jo C, Son JH, Lee HJ, Byun MW. 2003. Irradiation application for color removal and purification of green leaves extracts. Radiat Phys Chem 66: 179-184. 

  14. KFDA. 2011. Korean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1-9, 2-1-10. 

  15. Park TS. 2006.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 polyphenol addition into cosmetic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 cosmetics without antiseptics. MS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Korea. 

  1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 2002.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from which silicate minerals can be isolated, method by thermo-luminescence. English version of DIN EN1788. 

  17. KFDA. 2011. Korean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0-8-40. 

  18. Raffi JJ, Benzaria SM. 1993.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foods by electron spin resonance techniques. J Radiat Steril 1: 281-304. 

  19. Lee EY, Jeong JY, Noh JE, Jo DJ, Kwon JH. 2002.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L, ESR and DNA comet for irradiated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8-23. 

  20.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 2002.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English version of DIN EN13751. 

  2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22.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3.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 

  24.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0. 

  25.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26. Hearing VJ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 catalyzed. Method Enzymol 142: 154-165. 

  27. Kraunsoe JA, Claridge TD, Lowe G.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 inhibitor. Biochemistry 35: 9090-9096. 

  28. Reissig JL, Storminger JL, Leloir LF. 1995. A modifie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N-acetylamino sugars. J Biol Chem 217: 959-966. 

  29. Kwon JH, Chung HW, Kim BK, Ahn JJ, Kim GR, Jo DJ, An KA. 2011. Research and application of identification methods for irradiated foods. Safe Food 6: 11-27. 

  30. Kim BK, Lim SY, Song HP, Yun HJ, Kwon JH, Kim DH. 2006.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aloe vera by the analysis of PSL, TL and ESR. Korean J Food Preserv 13: 61-65. 

  31. Kwon JH, Jeong J, Chung HW. 2002. Therm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minerals from irradiated potatoes of different origins of production. Radiat Phys Chem 63: 415-418. 

  32. Huang MT, HO CT, Lee C.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series 50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54-71. 

  33. Kang MA, Kim MB, Kim JH, Ko YH, Lim SB. 2010.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49-1256. 

  34. Das M, Soffer RL. 1975. Pulmonary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J Biol Chem 250: 6762-6768. 

  35. Bolormaa Z, Song JH, Seo GS, Noh HJ, Yoo YB, Lee JS. 2010. Screening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from mushrooms. Korean J Mycol 38: 85-87. 

  36. Jeong HJ, Lee SG, Lee EJ, Park W, Kim JB, Kim HJ.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medicinal herbal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71-577. 

  37. Lim SH, Park YH, Kwon CJ, Ham HJ, Jeong HN, Kim KH, Ahn YS. 2010. Anti-diabetic and hypoglycemic effect of Eleutherococcus sp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61-1768. 

  38. Standl E, Baumgartl HJ, Fuchtenbusch M, Stemplinger J. 1999. Effect of acarbose on additional insulin therap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ate failure of sulphonylurea therapy. Diabetes Obes Metab 1: 215-220. 

  39.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40. Park JH, Baek MR, Lee BH, Yon GH, Ryu SY, Kim YS, Park SU, Hong KS. 2009.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compounds from roots extract of Pueraria thunbergia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357-362. 

  41. Kwon SC, Jeon TW, Park JS, Kwak JS, Kim TY. 201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91-1196. 

  42. Kim JW, Kim DK, Park JS, Lee YK, Beik KY, Kim SD.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6: 419-426. 

  43. Jeon YS, Jo BS, Park HJ, Kang SA, Cho YJ. 2012.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11-1219. 

  44. Park GH, Lee JY, Kim DH, Cho YJ, An BJ.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J Life Sci 21: 1120-1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