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정보프레임워크 기반의 토목구조물 정보모델링 표준화방안
Standardization of Infrastructure Information Modeling based on BIM Information Framework 원문보기

한국CAD/CAM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v.19 no.3, 2014년, pp.281 - 293  

남정용 ((주)고려소프트웨어) ,  조찬원 ((사)빌딩스마트협회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BIM R&Ds in the civil engineering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real projects, BIM in the field is still known to be behind the other area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should be that the civil projects is generally too public for private participants to try new 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사비는 설계단가와 공사입찰에 의한 입찰단가 그리고 시공단계의 공정관리와 연계한 기성단가 등 여건의 변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적단가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Table 4의 제시내용은 앞으로 다양한 연구개발에 의하여 검토 및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서 아직 공식적으로 공표되거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ISO 12006과 미국유럽의 통합적 정보분류체계 모델을 기반으로 제시된 것이고 토목분야에서는 별도의 정보프레임워크에 대한 방향제시 사례가 없으므로 본 제시안을 토대로 토목구조물을 대상으로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토목분야의 BIM 정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통합적 BIM 정보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표준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차원 정보통합을 위한 정보프레임워크에 대한 기반이 취약하여 건축분야에서 제시된 정보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토목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정보프레임워크 요소 외에 WBS, CBS 및 MBS를 수용할 수 있는 정보체계로의 확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건축분야에서 제시된 9개 부문별 항목은 일반적으로 모든 분야의 시설물의 건설과정에서 필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구조물에 적용함에 있어 일반적인 항목, 예를 들면 용어나 약어와 같은 요소는 공통적으로 작용이 가능하다고 전제하고 토목 고유의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토대로 충족성을 검토하였다.
  • 이러한 문제는 업무, 기술구현 및 관리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특히 그 핵심인 정보 분류체계의 문제는 부분적이 아닌 총체적 관점에서 다루어 져야 할 문제로서 본 연구를 통해 표준에 관한 정보프레임워크의 개념도입을 위한 실무 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상세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 Fig. 11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BIM 정보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토목분야의 BIM 정보 표준화 방안과 그 기술적 가능성을 검증하여 토목구조물 분야의 원활한 BIM 도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품목록번호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조달청 물품번호체계는 물품의 분류체계를 통일하고, 물품의 생산·수급(需給)·관리 및 운용 등 모든 분야에서 경제적·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달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물품목록번호는 2자리씩 4단계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8자리 숫자의 물품분류번호와 차례로 배열된 8자리 숫자의 물품식별번호로 구성된다.
국토해양부의 지방국토관리청 국도건설공사의 내역항목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국토해양부의 지방국토관리청 국도건설공사의 내역항목체계(CBS)는 내역번호, 코드, 공종, 규격, 단위, 수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적공사코드와 연계 구성되어 있으며, 내역코드는 건설정보분류체계의 공종코드(W+6자리+4자리확장)를 기반으로 부여하고 발주기관마다 상이하며, 자재코드는 과거의 11자리 조달청 물품번호체계를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현재 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Fig.
BIM에 관한 다양한 연구개발 및 실무적용의 시도가 타 분야에 비해 늦은 이유는? 토목분야에도 이러한 추이가 도입되어 BIM에 관한 다양한 연구개발 및 실무적용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 분야에 비하여 늦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토목사업이 주로 국가공공발주의 성격이 강하여 민간자체적인 기술도입의 시도가 많지 않은 요인도 있으나 무엇보다 토목사업의 규모가 크고 복잡하여 체계적인 정보의 공유나 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정보표준환경의 미흡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an, J.-H., Nam, S.-H., Kim, S.-H. and Kim, Y.-H., 2011,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Module Library for the Application of BIM Technology, Journal of COSEIK, pp.107-110. 

  2. Han, J.-H. and Nam, S.-H., 2011, A Study on the Automated Estimating System using BIM based Library, Journal of KIBIM, pp.12-18. 

  3. Jung, G.-Y., Woo, J.-W., Kang, K.-D., and Shin, J.-C., 2013, Reliability Analysis and Utilization of BIM-based Highway Construction Output Volume, Journal of KIBIM, v.3 n.3, pp.09-10. 

  4. Jung, D. and Baek, Y., 2008, BIM based Integration Method of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Journal of KICEM, pp.321-325. 

  5. Cho, H., Cho, Y.-R. and Kim, H.-S., 2011,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based on BIM in Civil Engineering Project, Journal of Harmony of the Nature and Civilization, pp.36-42. 

  6. Jo, C.W., 2012, A Study on Developing Standard Framework for Implementing Open BIM, ph D Thesis Kyunghee Univ., pp.51-55 

  7. Kwon, S.-H., Lee, W.-J. and Jo, C.W., 2013, Study for Architectural Standard Details Based On BIM Information Framework,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CAD/CAM Engineers, 18(2), pp.99-103. 

  8.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1, Digital QDB(Quantity DataBase) in Construction v1.0, pp.6. 

  9.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7, Developement and Operation of '07 Construction CALS Standards, pp.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