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환경에서 온라인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미지와 쇼핑가치,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Personality Image, Shopping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he IT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9 no.8, 2014년, pp.945 - 953  

김경희 (신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미지요인을 도출하여 브랜드 개성과 쇼핑가치,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은 '활기', '친숙함', '신뢰성', '유능함', '세련성' 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쇼핑가치는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셋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은 쇼핑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쇼핑가치는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시장에서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nnectivity among brand personality, shopping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by deriving brand personality image factors of online shopping mal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rand personality of shopping malls wer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 이미지 요인과 쇼핑가치의 영향력 파악과 함께 고객만족도 및 추천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 차별화된 세분시장을 개발, 제시하는데 기본적인 시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1%성장한 48조원을 기록하면서 10년 넘게 매출 1위를 유지해온 대형마트 규모를 넘어 1위 업태로 처음 올라설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시장에서 차별화전략의 일환으로 브랜드 개성이미지를 도출하여 쇼핑가치와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개성이미지를 도출하여 쇼핑가치와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어떠한가?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쇼핑가치는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요인은 활기, 친숙함, 신뢰성, 유능함, 세련성 등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신뢰성은 모두 α=0.8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쾌락적 쇼핑가치에는 브랜드 개성이미지 요인 중에서 활기요인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용적 쇼핑가치에서는 친숙함과 신뢰성, 세련성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쾌락적 쇼핑가치는 추천의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으며, 실용적 가치는 고객만족과 추천의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은 소비자의 쇼핑몰의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개성이란 무엇인가?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은 소비자들의 브랜드에 대한 독특한 연상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자사의 브랜드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며, 전략적으로 잘 관리된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에 대한 선호를 높이고 충성도를 증가시킨다[6]. 즉 브랜드개성은 브랜드에 인간적인 특징들을 부여한 것으로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인간적인 이미지를 의미한다[7-9]. 
실용적인 가치는 결과에 대한 수단을 의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실용적인 가치는 소비행위를 통해 목적지향적이고 실용지향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가치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가치는 결과에 대한 수단을 의미한다[20]. 이에 쾌락적인 가치는 실용적인 가치에 비해 주관적이며 재미와 즐거움과 관련된 것으로 자극, 높은 관여도, 자유로움, 환상적 경험, 현실도피 등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 Jung, J. Kim, and Y.-H. Park, "The study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s on the internet-based,"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3, 2013, pp. 479-486. 

  2. S.-Y. Park and H.-J. Lee, "Determinants of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Korea Youth,"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2, 2013, pp. 291-299. 

  3. C.-J. Yoo and H.-E. Jung, "Study of the Effects of Shopping Experiences on Behavioral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 Classification between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J. of Consumer Studies, vol. 13, no. 4, 2002, pp. 77-100. 

  4. H.-J. Cho,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Realtionship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sing on Internet Shopping," J.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 14, no. 4, 2009, pp. 1-18. 

  5. K. Kim,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1, 2014, pp. 1-9. 

  6. S. Founier, "customers and their brands :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ustomer research," J. of customer Research, vol. 24, 1998, pp. 343-373. 

  7. J. T. Plummer, "How personality marker a difference,"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 20, 1984, pp. 27-31. 

  8. A. Azoulay and J. N. Kapferer, "Do Brand Personality Scales Really Measure Brand Personality?," J. of Brand Management, vol. 11, no. 2, 2003, pp. 143-155. 

  9. T. H. Freling and L. P. Forbes, "An examination of brand Personality and Application of Positioning Strategy," Korean J. of Advertising, vol. 3, no. 2, 2005, pp. 148-162. 

  10. K.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on the equity," J. of Marketing, vol. 57, Jan. 1993, pp. 1-22. 

  11.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 The Free Press, 1991, pp. 121-132. 

  12. D.-H. Ahn and K.-P. Lee, "Effects of Brand Personaliti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ity on the Family Restaurant," J.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vol. 18, 2005, pp. 148-163. 

  13. H.-Y. Won, "The Effet of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lity and Self-image on the Customer's Attitud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J. of Foodservice Management, vol. 11, no. 1, 2008, pp. 7-31. 

  14. Y.-K. Lee, J.-J. Yoon, and E.-J. Kim,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Customers' Emo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Family Restaurant Setting : A Comparison of Outback and VIP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vol. 11, no. 3, 2008, pp. 193-216. 

  15. S.-M. Lee and Y.-J. Yoo, "Brand Personalities in Restaurant Business-Korean and Foreign Brand Restaura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6, no. 10, 2008, pp. 72-79. 

  16. J.-A. Ahn, "The Brand Personality Factor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Loyalty," ADVERTISING RESEARCH, no. 67, 2005, pp. 59-83. 

  17. S.-K. Lee, K.-S. Kim, and S.-M. Oh, "A Study of e-Brand Personaltity," The Korean J. of Advertising, vol. 18, no. 1, 2007, pp. 87-109. 

  18. S.-H. Jung and Y.-R. Lee, "The Impect of Parent Company Attributes on e-Brand Personaliti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61, no. 5, 2011, pp. 64-76. 

  19. B. J. Babin, W. R. Darden, and M. Griffin, "Work and/or Fun :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 of Consumer Research, vol. 29, no. 4, 1994, pp. 644-656. 

  20. E. Fischer and S. J. Arnold, "More than a Labor of Love : Gender Roles and Christmas Shopping," J. of Consumer Research, vol. 17, no. 3, 1990, pp. 333-345. 

  21. J. F. Sherry, M. A. McGrath, and S. J. Levy, "The Dark of the Gift," J. of Business Research, 28, 1993, pp. 225-244. 

  22. G.-H. Ahn, B.-H. Im, and S.-T. Jung, "The Study of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ual Purchase Behavior," ASIA MARKETING J., vol. 10, no. 2, 2008, pp. 99-123. 

  23. J. Sweeny, and G. Soutar, "Consumer perceived value :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 of Retailing, 77, 2001, pp. 203-220. 

  24. J. M. Carpenter and M. Moore,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 in the US Discount sector,"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6, 2009, pp. 68-74. 

  25. D. L. Hoffman and T. 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onceptual Foundations," J. of Marketing, vol. 60, 1996, pp. 50-68. 

  26. K.-H. Ahn and Y.-J. Lee,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variables and On-lin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J. of Consumer Studies, vol. 13, no.4, 2002, pp. 101-122. 

  27. C. Park, "Online Hedonic-Experiential Value in Internet Shopping : Antecedents and Consequence," Asia Pacific J. of Information Systems, vol. 13, no. 4, 2003, pp. 73-96. 

  28. H.-G. Ju and H.-S. Suh, "The effects of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on shopping value and relationship retention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mall," The e-business studies, vol. 15, no. 1, pp. 143-164. 

  29. S.-Y. Jung and C. Park, "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of online shopping," The e-business studies, vol. 11, no. 1, 2010, pp. 6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