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진료과별 낙상특성 및 위험요인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3, 2014년, pp.264 - 274  

장인실 (서울아산병원) ,  이순교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inpatient fall rat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and to explore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and standardized fall reports of 416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2 wer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상군의 낙상 시 일반적 상태는 의식상태, 정서장애, 인지장애, 어지러움, 전신쇠약, 마비, 시력장애, 청력장애, 평형장애, 보행장애, 수면장애, 체위성 저혈압, 배설장애, 배뇨장애, 활동기능, 보조기구, 1년 이내 낙상 경험, 낙상 발생 일시, 낙상 장소, 낙상 유형, 낙상 발생 상황을 확인하였다. 낙상 결과 및 낙상 후 처치는 낙상 예방 활동 여부, 낙상 교육 시행 여부 및 안내문 제공 여부, 검사 시행 여부, 낙상의 결과 신체적 손상 여부 및 치료 내용 항목을 조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중증 환자들에게 있어 환자의 질병 특성은 낙상의 위험 요인 예측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종합병원 진료과별 입원 환자의 낙상 발생 현황 및 낙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낙상 위험도 평가 결과와 낙상 발생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낙상 위험 예측 요인의 규명과 낙상 위험 예측 도구 개발, 진료과별 특성에 따른 낙상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현황과 진료과별 낙상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임상적 특성, 낙상 위험 요인 및 낙상 위험도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의 진료과별 특성을 반영한 낙상 위험 예측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낙상 예방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진료과별 특성에 따른 낙상발생률, 낙상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위험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환자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낙상 관리를 위해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중증 환자들에게 있어 환자의 질병 특성은 낙상의 위험 요인 예측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종합병원 진료과별 입원 환자의 낙상 발생 현황 및 낙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낙상 위험도 평가 결과와 낙상 발생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낙상 위험 예측 요인의 규명과 낙상 위험 예측 도구 개발, 진료과별 특성에 따른 낙상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병원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환자안전 사고 중 하나인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낙상의 현황과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요양시설, 노인병원 등의 현황을 조사한 지금까지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급성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의 진료과별 특성 및 관련 요인을 규명하여 진료과별 낙상 환자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환자 특성에 맞는 낙상예방중재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바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의 위험요인 중 내재적 요인은 무엇인가? 낙상은 미끄러지거나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급격한 체위 이동으로 인해 신체에 상해를 입는 것을 뜻하며, 낙상의 위험요인으로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나누어진다. 내재적 요인은 생리학적인 문제로 연령, 질환, 약물의 복용, 인지기능의 저하, 보행이상, 균형감 감소, 전신쇠약, 우울, 낙상의 과거력 등이며, 외재적 요인은 환경적 위험으로 신발, 조명, 바닥, 장애물 등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낙상발생은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Kim, Lee, & Eom, 2008; Evans, Hodgkinson, Lambert, & Wood, 2001; Sohng, Moon, & Lee, 2004).
입원환자의 낙상의 특징은? 입원환자의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심각한 위해 사건 중의 하나이며 (Hendrich, Bender, & Nyhuis, 2003), 환자안전 문제와 직결되는 지표로서 낙상은 세계적으로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질 지표이다. 입원환자의 낙상은 1,000 재원일당 1.
입원환자의 낙상은 1000 재원일당 몇 건이 발생되는가? 입원환자의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심각한 위해 사건 중의 하나이며 (Hendrich, Bender, & Nyhuis, 2003), 환자안전 문제와 직결되는 지표로서 낙상은 세계적으로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질 지표이다. 입원환자의 낙상은 1,000 재원일당 1.7̃͂~25건이 발생되며, 병원 환경 및 고위험 환자군 등에 따라 발생률에 차이가 있다(Currie & Hughes, 2008). 미국간호사협회(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11)의 간호 질 지표 데이터베이스(National Database of Nursing Quality Indicators, NDNQI)에 따르면, 2011년 낙상 발생률은 1,000 재원일당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Nurses Association(2011). NDNQI indicators and reported rates. Retrieved November 5, 2012, from http://www.nursingquality.org/data,aspx 

  2. Aranda-Gallardo, M., Morales-Asencio, J. M., Canca-Sanchez, J. C., Barrero-Sojo, S., Perez-Jimenez, C., Morales-Fernandez, A., et al. (2013). Instruments for assessing the risk of falls in acute hospitalized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Med Central Health Services Research, 13, 122. http://dx.doi.org/10.1186/1472-6963-13-122 

  3. Bergland, A., & Wyller, T. B. (2004). Risk factors for serious fall related injury in elderly women living at home. Injury Prevention, 10, 308-313. http://dx.doi.org/10.1136/ip.2003.004721 

  4. Browne, J. A., Covington, B. G., & Davila, Y. (2004).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assist in redesign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9, 218-225. http://dx.doi.org/10.1097/00001786-200407000-00008 

  5. Currie, L., & Hughes, R. G. (Eds.). (2008).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Chapter 10. Fall and injury prevention.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6.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 38-45. 

  7. Gu, M. O., Jeon, M. Y., Kim, H. J., & Eun, Y. (2005). A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01-1112. 

  8. Hendrich, A. L., Bender, P. S., & Nyhuis, A. (2003).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6, 9-21. http://dx.doi.org/10.1053/apnr.2003.yapnr2 

  9. Hitcho, E. B., Krauss, M. J., Birge, S., Dunagan, W. C., Fischer, I., Johnson, S., et al. (2004).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falls in a hospital sett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 732-739.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4.30387.x 

  10. Fischer, I. D., Krauss, M. J., Dunagan, W. C., Birge, S., Hitcho, E., Johnson, S., et al. (2005).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patient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a large academic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6, 822-827. http://dx.doi.org/10.1086/502500 

  11. Kim, C. G. (2002). Analysis of all incidence rate and the related factors of all in hospitaliz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E. K., Lee, J. C., & Eom, M. R. (2008).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76-684. 

  13. Kim, K. S., Kim, J. A., Choi, Y. K., Kim, Y. J., Park, M. H., Kim, H. Y., et al.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5, 28-37. http://dx.doi.org/10.1016/s1976-1317(11)60011-x 

  14. Kim, Y. S., & Choi-Kwon, S. (2013).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74-82. 

  15. Kwon, I. G., & Kim, K. H. (2007).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elderly inpatients' fal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59-68. 

  16. Morse, J. M. (1997). Preventing patient falls. Thousand Oaks, CA: Sage. 

  17. Morse, J. M., Morse, R. M., & Tylko, S. J. (1989).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8, 366-377. http://dx.doi.org/10.1017/s0714980800008576 

  18.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2007). Slips, trips and falls in hospital, London: NPSA 2007. Retrieved October 5, 2012, from http://www.npsa.nhs.uk 

  19. Schwendimann, R., De Geest, S., & Milisen, K. (2006). Evaluation of the Morse Fall Scale in hospitalised patients. Age and Ageing, 35, 311-313. http://dx.doi.org/10.1093/ageing/afj066 

  20. Schwendimann, R., Buhler, H., De Geest, S., & Milisen, K. (2008). Characteristics of hospital inpatient fall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Gerontology, 54, 342-348. http://dx.doi.org/10.1159/000129954 

  21. Shin, K. R., Shin, S. J., Kim, J. S., & Kim, J. Y. (2005).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4-112. 

  22. Sohng, K. Y., Moon, J. S., & Lee, K. S. (2004).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mong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081-1091. 

  23. Sung, Y. H., Kwon, I. G., & Kim, K. H. (2006). Factors influencing falls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200-207. 

  24. Tinetti, M. F., Speechley, M., & Ginter, S. 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 1701-1707. http://dx.doi.org/10.1056/nejm198812293192604 

  25. Vassallo, M., Stockdale, R., Sharma, J. C., Briggs, R., & Allen, S. (2005).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four fall risk assessment tools on acute medical ward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1034-10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53316.x 

  26. Yang, H. M. (2009). Fall incid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