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및 수학적 능력 구성 요소
Relationships between thinking styles and the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of the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7 no.2, 2014년, pp.77 - 93  

홍혜진 (서울용암초등학교) ,  강완 (서울교육대학교) ,  임다원 (서울청구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사고양식 및 수학적 능력의 특성을 밝혀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사고양식과 수학적 능력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두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학영재교육대상자가 일반학생에 비해 입법형, 사법형, 위계형, 전체형, 부분형 내부지향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계산력, 추론 능력, 가역성, 일반화, 공간, 기억력의 수학적 능력 또한 수학영재교육대상자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기분석 결과, 사고양식과 수학적 능력 간에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nking styles and the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of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The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j...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rutetskii는 수학적 능력을 어떻게 나누었는가? 수학적 능력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로 대표적인 것은 Krutetskii(1976)에 의한 연구이다. Krutetskii는 수학적 능력을 크게 수학적 대상관계 및 연산을 일반화 하는 능력, 추론을 단축시키는 능력, 사고과정의 유연성, 우아한 해법을 얻으려는 노력, 사고 과정의 가역성 5가지로 나누었다. 이러한 사고 중 수학영재들이 주로 더 많이 사용하는 수학적 능력이 어떤 것인지 밝혀내고 수학적 능력 중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여 맞춤형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영재의 수학적 능력을 고루 신장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고양식이란 무엇인가? 수학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려해야할 특성으로는 사고양식과 수학적 능력을 들 수 있다. 이중 사고양식이란 하나의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능력이라기보다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사용할때 선호하는 방식을 의미한다(Sternberg, 1997, p. 8).
기능 차원에서 입법적 사고 양식을 가진 사람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입법적 기능이란 새롭게 만드는 창조 작업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고 양식을 지닌 사람들은 자신의 방식으로 일하기를 좋아하며, 일을 만들고 구상하고 계획하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창의성을 요구하는 과제에 종사하는 것을 즐긴다. 예를 들면 글짓기에서 제목과 내용을 스스로 결정하고 자기 방식대로 글을 쓰는 것을 선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선모 (2005). 성격유형과 창의적 성향 및 좌우뇌 선호도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Kang, S. M. (2005).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ical types and brain preference. Master's thesis, PNU.) 

  2. 강완 (1984). 수학적 능력 및 발견.발명의 사고과정과 수학교육.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Kang, W. (1984). A study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and discovery/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Master's thesis, SNU.) 

  3. 강완.김상미.박만구.백석윤.오영렬 (2009).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Kang, W.; Kim, S. M.; Park, M. G.; Baek, S. Y. & O, Y. R. (2009).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 Publishers.) 

  4. 고혜진 (2003). Ster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GO, H. J. (2003). (Thinking styles of gifted and nongifted studensts in elementary school using sternberg's thinking styles classification. Master's thesis, KU.) 

  5. 김병조 (2002). DESK 모형에 의한 창의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의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Kim, B. J. (2002).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training program by DESK model : for the creativ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power of 6th grader. Master's thesis, KHU.) 

  6. 김소연 (2000). Sternberg의 지능 및 사고 양식 이론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Kim, S. Y. (2000). (A study on the construct validation of Sternberg's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Master's thesis, SWU.) 

  7. 김진철 (2004). 영재성.사고양식.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Kim, J. C. (200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giftedness,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s. Ph.D. thesis, JBNU.) 

  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Song, S. H. (1998).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discrimination of the mathematical giftedness. Ph.D. thesis, SNU.) 

  9. 윤미선 (2003).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Yun, M. S. (2003). Effects of thinking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media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Ph.D. thesis, KU.) 

  10. 윤소정 (2001).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 양식과 학습유형 차이.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Yun, S. J. (2001).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thinking and learning styl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Master's thesis, PNU.) 

  11. 이희종 (2003). 과학고등학교 '중학생 영재반'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에 관한 연구 : 수학적 능력에 관한 Krutetskii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Lee, H. J. (2003). A study of mathematical abiliti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based on the analysis of Krutetskii's mathematical abilities. Master's thesis, KNUE.) 

  12. 조규태 (2008). Sternberg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및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Jo, G. T. (2008). Relations with Sternberg's thinking styles, learning styles, and problem solving. Ph.D. thesis, CAU.) 

  13. 한기순.김희정 (2010).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 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탐색. 영재교육연구, 20(1), 289-316. (Han, G. S. & Kim, H.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learning styles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 289-316.) 

  14. Krutetskii, V. A. (1969).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In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Sternberg, R. J. (1994).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52(3), 36-40. 

  17. Sternberg, R. J. (1997). Thinking Styl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Sternberg, R. J. (1998). Mental self-governmne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 31, 197-224. 

  19.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1993). Thinking styles and the gifted. Roeper Review, 16(2), 122-130. 

  20. Winebrenner, S. (2001). Teaching Gifted Kids in the Regular Classroom. Minneapolis: Free Spirit Publishing Inc. 

  21. Zhang, L. F. & Sachs, J. (1997). Assessing thinking styles in the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 Hong Kong validity study. Psychological Reports, 81, 915-9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