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주요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Health Issues and Job Stress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7 no.2, 2018년, pp.121 - 130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박지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조은정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정명희 (두원공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health issues and job stress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226 clinical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March 3 to April 15, 2017, and analyzed their resp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건강상태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임상간호사의 주요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주요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상간호사의 건강문제를 조기에 관리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뿐만 아니라 병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에 종사하고 있는 임상간호사의 주요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임상간호사의 건강문제로 인한 프리젠티즘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간호사 개인의 건강 및 안녕뿐만 아니라 간호 서비스의 질, 나아가 병원 전체의 생산성 증가를 통해 병원 조직체의 성장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간호사의 장시간 근무가 임상간호사의 건강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한국의 종합병원 및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의 일평균 근로시간은 9.8시간이고 주당 근로시간은 47.9시간으로 나타나 법정 주당 근로시간인 40시간을 초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장시간 근무는 교대근무 사이에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빠르게 다음 근무로 복귀하게 되어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iatime, 2018). 선행연구에서 임상간호사의 장시간 근무는 수면장애와 육체적 피로도를 증가시켜 회복되는 시간을 지연시키게 되고 밤 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를 하는 근로자들은 정규시간 근로자에 비해서 우울의 증상이 높다고 확인되었다(Adams, Kirzinger, &Martinez, 2012).
프리젠티즘은 무엇인가? 건강과 관련한 생산성의 손실은 프리젠티즘(Presenteeism)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프리젠티즘이란 근로자들이 건강문제가 생겨 쉬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출근함으로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Johns, 2010). 임상간호사의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 병원조직에서는 프리젠티즘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는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근무 의욕을 저하시키고 업무수행능률을 감소시켜 간호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환자의 생명과 연결될 수 있어 그 의미가 중요하다(Shin & Kang, 2011). 그리고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간호조직 구성원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간호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능력 발휘에 장애가 되거나, 주요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직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이직은 단순한 개인적 의미가 아니라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원의 손실로 인해 결국에는 병원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많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Woo,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ams, P. F., Kirzinger, W. K., & Martinez, M. E. (2012). Summary health statistics for the U.S. populatio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11,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Vital Health Stat 10(255). Washington, DC, USA. 

  2. Allen, S. S., McBride, C. M., & Pirie, P. L. (1991).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The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36(11), 769-772. 

  3. Asiatime. (2018, March 5). Nurse hard to work long hours. Retrieved April 4, 2018, from http://www.asiat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359 

  4. Gun, M. S., Choi, Y. H., & Park, K. H. (2011).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163-171. https://doi.org/10.5807/kjohn.2011.20.2.163 

  5. Halbreich, U., Endicott, J., Schacht, S., & Nee, J. (1982). The diversity of premenstrual changes as reflected in the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5(1), 46-65. 

  6. Hong, H. J. (2011).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staff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7. Huff, J., & Ablah, E. (2016). Stress and presenteeism among Kansas hospital employees: What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s might hospitals benefit from offering to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11), 368-369. 

  8. Hwang, J. H., & Sung, M. H. (2016). Impacts of menstrual attitudes, premenstrual syndrome and stress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2(4), 233-240. https://doi.org/10.4069/kjwhn.2016.22.4.233 

  9. Jang, E. H. (2013). Development of fatigue scale for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0. Jo, Y. W., Jang, K. S., Park, S. H., Yun, H. K., Noh, K. S., Kim, S. P., et al. (2012).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tion distress and coping method among 3-shift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3),170-179. https://doi.org/10.4069/kjwhn.2012.18.3.170. 

  11. Johns, G. (2010). Presenteeism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1(4), 519-542. https://doi.org/10.1002/job.630 

  12. Jung, M. H., & Jung, H. S. (2015). A study on the presenteeism of call center workers in the customer sercive busin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142-151. https://doi.org/10.5807/kjohn.2015.24.2.142 

  13. Kim, M. H. (2016). A study on the fatigue, sleep quality, and menstrual patterns of nurses according to their work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4. Kim, M. J., Choi, H. O., & Ryu, E. J. (2014). Predictors of clinical nurses' presenteeis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134-145. https://doi.org/10.5807/kjohn.2014.23.3.134 

  15. Kwon, M. S. (2009). Work stress and presenteeism of nurses with shift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Kwon, M., & Kim, S. L. (2010).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59-169. 

  17. Lee, M. H., Kim, J. W., Lee, J. H., & Kim, D. M. (2002).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applicability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1), 159-167. 

  18. Lenore, S. R.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19.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20. Park, S. M. (2008). The study o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public officials in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Park, Y. H., Jeong, B. S., Kim, C. Y., & Lee, C. (2001).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e disorder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a nurse group.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5), 832-841. 

  22. Shin, M. K., & Kang, H. L. (2011).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158-167.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158 

  23. Shin, S. C., Kim, M. K., Yun, K. S., Kim, J. H., Lee, M. S., Moon, S. J., et al. (1991).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Its u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0(4).752-767 

  24. Turpin, R. S., Ozminkowski, R. J., Sharda, C. E., Collins, J. J., Berger, M. L., Billotti, G. M., et al. (2004). The association of medical conditions and presenteeism.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6),38-45. 

  25. Winwood, P. C., Winefield, A. H., & Lushington, K. (2006). Work related fatigue and recovery: The contribution of age, domestic responsibilities and shift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4),438-449. 

  26. Woo, J. S. (2012).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7. Yeo, A. R., Lee, H. J., & Jin, H. K.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customer orienta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 167-175.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67 

  28. Yeom, E. Y., Jeong, G. S., & Kim, K. A. (2015). Influencing factors on presenteeism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302-312.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02 

  29. You, S. J. (2013). Comparisons of the nursing workforce with Japan, and the U.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6), 275-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