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보건의료이용 실태
Immigrant Women'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2, 2014년, pp.200 - 210  

정진영 (옥천군 보건소) ,  심문숙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i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etween immigrant women and domestic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Research subjects comprised of 62 immigrant women living in a rural area of South Korea' extracted from a surve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다문화여성과 국내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보건의료이용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다문화여성이 국내여성보다 취약한 보건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내, 그들의 보건요구에 맞는 보건사업을 기획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이 연구는 다문화여성과 국내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보건의료이용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다문화여성의 실제적 보건요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이 연구는 다문화여성과 국내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보건의료이용에 대한 실태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 연구는 다문화여성의 실제적 보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다문화여성과 국내여성의 대부분 건강상태는 차이가 없었지만 다문화여성이 영구치 우식수가 많아 구강건강관리의 문제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여성은 국가별로 어느정도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가? 다문화여성은 한국의 언어, 문화, 사회, 정치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민을 왔으며 (Jeong & Lee, 2010), 국가별로는 중국(한국계) 31.5%, 중국 24.1%, 베트남 22.1%, 필리핀 6.3%, 일본 4.6% 등의 출신 국적 순으로 분포하고, 출신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학력 수준도 낮은 편이다(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또한, 다문화여성의 배우자는 80%가 도시에, 20%가 농촌에 거주하며 농촌지역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남성의 34%가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다(Lim, 2011).
다문화가족이란 무엇인가? 다문화가족은 우리와 다른 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족을 총칭하는 용어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서로 다른 국적, 인종이나 문화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다문화 가족을 형성하는 국제결혼은 전체 결혼건수 대비 2002년 5.
다문화여성의 건강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인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다문화여성의 배우자는 80%가 도시에, 20%가 농촌에 거주하며 농촌지역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남성의 34%가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다(Lim, 2011). 이들 다문화여성은 이주 초기 언어와 문화장벽에 의해 의료 접근성이 낮고(Lai & Surood, 2013; Song et el., 2010), 가족 중 만성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중증 장애가 있는 경우가 많아, 다문화여성 가구 대다수가 우리나라 일반 가구보다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계층에 속한다(Cho, Lee & Jang, 2012; Yun, Lee, & Choi, 2012).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지위일수록 불건 강한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Kim, 2004), 다문화여 성의 증가는 우리나라 여성 전체의 건강뿐 아니라, 출산으로 인한 자녀수의 증가로 국민 전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Cho et el., 2012; Jeon, Kim, Kim, & 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O. H., Hwang, Y. Y., Jeon, M, S., Kim, K. A., & Youn, M, S. (2010). An analysis of articl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related to health.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5(2), 134-150. 

  2. Ahn, Y. H. (2008).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1), 18-26. 

  3. Bodenmann, P., Cornuz, J., Vaucher, P., Ghali, W., Daeppen, J.B., & Favrat, B. (2010). A health behaviour cross-sectional study of immigrants and non-immigrants in a swiss urban general-practice setting.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2, 24-32. 

  4. Cha, S. J. (2011). Unmet health care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Cho, K. S., Lee, S. Y., & Jang, J.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al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y via Korean women - with focused on Asan-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mparative government. 16(1), 323-340. 

  6. Cho, W. S. (2011). Oral healthcar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Gyungsangnam-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imhae. 

  7. Choi, H. J. (2011). Medical facility visit among cross-border married women-Rural area in Kyungp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gnam University, Daegu. 

  8. Dias, S., Gama, A., & Martins, M. O. (2013). Health status and preventative behaviors of immigrants by gender and origin: A Portuguese cross-sectional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5, 309-317. 

  9. Ewha Woman University,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09). Health concept,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or marital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0. Jeon, M. Y., Kim, H. S., Kim, H. J., & Lee, H. J. (201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homeland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Chungbuk.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8), 3500-3512. http://dx.doi.org/10.5762/KAIS.2012. 13.8.3500 

  11. Jeong, N. O., & Lee, M. H. (2010). A predictive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women who immigrate for marri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0(5), 695-704. 

  12. Kim, C. Y. (2004).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 Health-welfare Policy Forum. 92, 18-25. 

  13. Kim, D. H., Park, H. S., & Bae, K. E. (2010). Obstetrical & gynecological health status and body composi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Journal of Life Science. 20(6), 894-901. 

  14. Kim, Y. K. (2013).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Welfare Issue & Focuse. 35, 1-8.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guidelines. Retrieved December 1, 2013,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6.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2013, January). A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Issue Brief No. 2012-59).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17. Lai, D.W.L., & Surood, S. (2013). Effect of service barriers on health status of aging south Asian immigrants in calgary, Canada. Health & Social Work. 38(1), 41-50. 

  18. Lee, H. L., Lee, K. H., La, J. Y., An, S. Y., & Kim, Y. H. (2012). Oral health behaviors of mothers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Pediatric Dentistry. 39(2), 111-119. http://dx.doi.org/10.5933/JKAPD.2012.39.2.111 

  19. Lee, H. O., Yang, C. H., Kim. J., & Kim, Y. I. (2009). Do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9(5), 593-600. 

  20. Lim, H. S. (2011).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3), 243-255.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43 

  21. Muggah, E., Dahrouge, S., & Hogg, W. (2012). Access to primary health care for immigrants: results of a patient survey conducted in 37 primary care practices in Ontario, Canada. BMC Family Practice. 128(13), 1471-2296. 

  22. Seo, I. J., & Park, J. S. (2013).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blem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4), 369-382. 

  23. Setia, M. S., Quesnel-Vallee, A., Abrahamowicz, M., Tousignant, O., & Lynch, J.(2011). Access to health-care in Canadian immigrant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9(1), 70-79. 

  24. Song, H. J., Han, H. R., Lee, J. E., Kim, J. Y., Kim, K. B., Ryu, J. O., & Kim, M. Y. (2010). Does access to care still affect health care utilization by immigrants testing of an empirical explanatory model of health care utilization by Korean American Immigrants with high blood pressure.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2, 513-519. 

  25. Song, K. S.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6. Statistics Korea. (2013). 2012 Marriage divorce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 2013,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 bmoderead&bSeq&aSeq286676&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ED%98%BC%EC%9D%B8 

  27. Yih, B. S. (2010). The health-related experiences of foreign wiv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5), 477-487. 

  28. Yun, H. K., Lee, S. H., & Choi, G. Y.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oral health status in populati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2), 678-684. http://dx.doi.org/10.5762/KAIS.2012.13.2.6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