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비만도,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수준별 결합효과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2, 2014년, pp.241 - 257  

라진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조윤희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2013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수준별 결합효과를 확인하고자 2013년 제 9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결과,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의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7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청소년과 수면시간과 상관없이 4시간 이상의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을 하는 청소년은 2시간 미만의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7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하는 청소년에 비하여 과체중 또는 비만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제 9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 청소년의 비만도,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결합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4시간 이상의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7시간 미만의 수면은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 및 수면시간을 확인하고, 비만도 및 우울과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개별효과와 수준별 결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개별효과와 수준별 결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선행연구에서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하여 우울과 자살생각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Lee, 2014), 성별에 따른 비만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개별효과와 수준별 결합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서적 부분에서 많은 변화와 발달이 이루어지며, 건강관련 행위가 결정되는 중요한 발달단계이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보이는 올바른 건강 관련 행위의 패턴은 성인기의 건강생활습관과 신체적, 정서・사회적 건강을 예측하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Hardy, Bass, & Booth, 2007).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수면부족이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6%에 불과하였다 (Lim & Kim, 2012). 이는 입시를 앞두고 학업에 몰두하면서는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겨지며, 중학생의 수면 시간이 하루 평균 7시간 18분인데 비하여 고등학생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7분으로 나타나 고등학생의 수면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생각된다(Lim & Kim, 2012).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의 증가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불어,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의 증가는 수면박탈과 수면패턴의 변화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수면시간 감소 및 수면 관련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Costigan, Barnett, Plotnikoff, & Lubans, 2013). TV 시청시간의 증가는 수면시간 감소 및 늦게 잠자리에 드는 수면습관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하루 평균 컴퓨터 사용 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면장애 발생 위험이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berga, S., Sigal, R. J., Goldfield, S. G., Prud'home, D., & Kenny, G. P. (2012). Overweight and obese teenagers: why is adolescence a critical period? Pediatric Obesity, 7(4), 261-273. http://dx.doi.org/10.1111/j.2047-6310.2011.00046.x 

  2. Baglioni, C., Battagliese, G., Feige, B., Spiegelhalder, K., Nissen, C. Voderholzer, U., Lombardo, C., & Riemann, D. (2011). Insomnia as a predictor of depression: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longitudinal epidemiological studi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35(1-3), 10-19. http://dx.doi.org/10.1016/j.jad.2011.01.011 

  3. Brunet, J., Sabiston, C. M., O'Loughlin, E., Chation, M., Low, N. C. P., & O' Loughlin, J. L. (2014). Symptoms of depression are longitudinally associated with sedentary behaviors among young men but not among young women. Preventive Medicine, 60(1), 16-20. http://dx.doi.org/10.1016/j.ypmed.2013.12.003 

  4. Buman, M. P., Winkler, E. A. H., Kurka, J. M., Hekler, E. B., Baldwin, C. M., Owen, N., Ainsworth, B. E., Healy, G. N., & Gardiner, P. A. (2014). Reallocating time to sleep, sedentary behaviors, or active behaviors: Association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biomarkers, NHANES 2005-2006.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9(3), 323-334. http://dx.doi.org/10.1093/aje/kwt292 

  5. Buxton, O. M., Pavlova, M., Reid, E. W., Wang, W., Simonson, D. C., & Adler, G. K. (2010). Sleep restriction for one week reduces insulin sensitivity in healthy men. Diabetes, 59(9), 2126-2133. http://dx.doi.org/10.2337/db09-0699 

  6. Committee on Communication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Straburger, V. C. (2006). Children, adolescents and advertising. Pediatrics, 118(6), 2563-2569. http://dx.doi.org/10.1542/peds.2006-2698 

  7. Costigan, S. A., Barnett, L., Plotnikoff, R. C., & Lubans, D. R. (2013). The health indicators associated with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mong adolescent girl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2(4), 382-392.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12.07.018 

  8. Eisenmann, J. C., Bartee, R. T., Smith, D. T., Weik, G. J., & Fu, Q. (2008). Combined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television viewing on the risk of overweight in US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4), 613-618. http://dx.doi.org/10.1038/sj.ijo.0803800 

  9. Gradisar, M., Gardner, G., & Dohnt, H. (2011). Recent worldwide sleep patterns and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age, region, and sleep. Sleep Medicine, 12(2), 110-118. http://dx.doi.org/10.1016/j.sleep.2010.11.008 

  10. Hardy, L. L., Bass, S. L., & Booth, M. L. (2007). Changes in sedentary behavior among adolescent girls: a 2.5-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0(2), 158-165.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06.09.009 

  11. Kang, S. G., Lee, Y. J., Kim, S. J., Lim, W., Lee, H. J., Park, Y. M., Cho, I. H., Cho, S. J., & Hong, J. P. (2014). Weekend catch-up sleep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and self-injury in Korean adolescents. Comprehensive Psychiatry, 55(2), 319-325. http://dx.doi.org/10.1016/j.comppsych.2013.08.023 

  12. Kim, H. J., & Lee, K. M. (2010). A study on the impact of computer use on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th volunteering.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2(4), 117-13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4. Lee, J., Kang, J., Lee, S., & Chae, K. Y. (2013).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21(3), 100-110. 

  15. Lee, Y. J., Cho, S. J., Cho, I. H., & Kim, S. J. (2012). Insufficient sleep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Sleep, 35(4), 455-460. http://dx.doi.org/10.5665/sleep.1722 

  16. Lee, S. Y. (2014).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8(1), 71-86. http://dx.doi.org/ 10.5932/JKPHN.2014.28.1.71 

  17. Lim, H. J., & Kim. (2012). Korean Youth Human Right Research I: 2011 children, adolescent human right investigation. Seoul: Korea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8. Mark, A. E., & Janssen, I. (2008). Relationship between screen time and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Journal of Public Health, 30(2), 153-160. http://dx.doi.org/10.1093/pubmed/fdn022 

  19. Mitchell, J. A., Rodriguez, D., Schmitz, K. H., & Audrain-McGovern, J. (2013). Sleep duration and adolescent obesity. Pediatrics, 131(5), e1428-e1434. http://dx.doi.org/10.1542/peds.2012.-2368 

  20. Must, A., & Parisi, S. M. (2009).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paradoxical effects in association with childhood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3(1), S82-S86. http://dx.doi.org/10.1038/ijo.2009.23 

  21. Park, H. S., & Park, J. (2013). Korean high school students' health behaviors and the relation to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6), 955-962. 

  22. Park, S. (2011). Association between short sleep duration and obes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3(2), 207-223. http://dx.doi.org/10.1117/0193945910371317 

  23. Rey-Lopez, J. P. 1., Vicente-Rodriguez, G., Repasy, J., Mesana, M. I., Ruiz, J. R., Ortega, F. B., Kafatos, A., Huybrechts, I., Cuenca-Garcia, M., Leon, J. F., Gonzalez-Gross, M., Sjostrom, M., de Bourdeaudhuij, I., & Moreno, L. A. (2011). Food and drink intake during television viewing in adolescents: the Healthy Lifestyle in Europe by Nutrition in Adolescence (HELENA) study. Public Health Nutrition, 14(9), 1563-1569. http://dx.doi.org/10.1017/S1368980011000383 

  24. Taylor, A. W., Winefield, H., Kettler, L., Roberts, R., & Gill, T. K. (2012). A population study of 5 to 15 year olds: full time maternal employment not associated with high BMI. The importance of screen-based activity, reading for pleasure and sleep duration in children's BMI.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6(3), 587-599. http://dx.doi.org/10.1007/s10995-011-0792-y 

  25.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Standard growth ch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ce in 2007. Chungbuk: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6. Thomee, S., Harenstam, A., & Hagberg, M. (2012). Computer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12(1), 176-189. http://dx.doi.org/10.1186/1471-244x-12-176 

  27. Tremblay, M. S., LeBlanc, A. G., Kho, M. E., Saunders, T. J., Larouche, R., Colley, R. C., Goldfield, G., & Conner-Gober, S. (2011). Systematic review of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 indicators in school-aged children and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Physical Activity, 8(1), 98-119. http://dx.doi.org/10.1186/1479-5868-8-98 

  28. Ussher, M. H., Owen, C. G., Cook, D. G., & Whincup, P.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u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2(10), 851-856. http://dx.doi.org/10.1007/s00127-007-0232-x 

  29. Yang, C. K., Kim, J. K., Patel, S. R., & Lee, J. H. (2005). Age-related changes in sleep wake patterns among Korean teenagers. Pediatrics, 115(1), 250-256. http://dx.doi.org/10.1542/peds.2004-0815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