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적조생물의 이동·확산에 관한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n the Drift Diffusion of Harmful Algal Bloom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4 = no.63, 2014년, pp.335 - 344  

서호산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김동선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남해 연안에서 하계에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유해적조생물의 이동과 확산에 관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3차원 해수유동모델(POM)을 이용하여 조석의 효과, 수온 염분, 바람 효과 및 쓰시마난류를 고려한 잔차류를 계산하였다. 잔차류에 의해 부유 이동하는 적조생물의 시간에 따른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적조속보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남해안에서 유해적조의 최다 발생한 3개 지역 가막만(Case 1), 미조연안(Case 2), 미륵도연안(Case 3)을 선정하여 적조발생을 유형별로 수치실험을 하였다. 가막만 남부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1)는 발생지점으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나로도주변해역과 여자만으로 주로 이동 확산하였다. 미조연안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Case 2)는 발생해역의 북동측에 위치한 해역으로 입자들이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륵도 주변해역에서 입자가 발생한 경우(Case 3)는 욕지도주변해역과 자란만-사량도 주변해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특히 Case 3의 경우 확산된 입자가 연구 해역의 남동쪽에서 북동향하여 진행하는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거제도 남부와 동부해역에 분포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drift-diffusion of HAB(Harmful Algal Bloom) in this paper, we used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POM(Pringceton Ocean Model) and Lagrangian particle track module. First, the results of residual flow that considered tide, wind, temperature, salinity, and TWC(Tsushima Warm C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에서 물리적인 환경요인을 고려한 적조 생물을 직접적으로 수송하는 해수유동을 파악하기 위해 해수 유동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실제 적조생물에 의해 큰 피해를 입는 해역이 다양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가 큰 해역을 대상으로 blooming이 크게 발생할 경우 주변해역으로 어떻게 이동·확산되는지 알아보고자 입자 추적자 모델을 이용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적조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해역을 정방 10 km 간격으로 분할(가로15×세로9)하였고, 격자 1개의 입자가 포함되면 그 격자에서 C. polykrikoides 의 농도가 15 cell/ml3 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변해역의 해수유동이 유해 적조 생물의 이동 속도 및 방향성을 결정하는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연안 어장과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 적조를 발생시키는 생물의 특성 중 하나는 유영능력이 없거나 미약하므로 해수유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주변해역의 해수유동은 수동적으로 부유 이동하는 유해 적조 생물의 이동 속도 및 방향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유해적조의 악영향은 무엇인가? 유해적조(HAB; harmful algal bloom)가 발생하면 연안어장의 어·패류를 폐사시키는 등 해양생물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와편모조류로 1982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양식어장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우리나라 적조발생 원인종은 무엇인가? 특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와편모조류로 1982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하는 양식어장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처럼 우리나라 적조발생 원인종은 대체로 편모조류이며, 발생기간이 장기화 및 고밀도화되어 수산피해도 매년 증가해 왔다(Park and Choi, 1998). 2008 2011까지 국내의 현저한 피해는 없었지만, 2012년 7월 27일부터 통영시 미륵도 서남측 해역과 전남 봇돌바다 북부 해역에서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10월 24일까지 3달가량 확산되어 우리나라 연안 양식업에 큰 피해를 입혔다(NFRDI, 1995-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ton, A., Teoh, P. L. Mohd-Shaleh, S. R. and Mohammad-Noor, N.(2008),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Harmful Algae, Vol. 7, pp. 331-336. 

  2. Bae, S. W.(2011), A study on the fate of anchovy egg-larvae by numerical simulation. Ph D thesi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pp. 42-52. 

  3. Blumberg, A. F. and G. L. Mellor(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 Three dimensional Coastal Models (N. S. heaps, ed.),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pp. 1-16. 

  4. Chio, S. W., K. D. Cho and H. J. Yoon(1998), Application of the Convolution Method on the Fast Prediction of the Wind -Driven Current in a Small Bay.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8, No. 3, pp. 299-307. 

  5. Crowford, D. W., D. A. Purdie, A. P. A. Lockwood and P. Weissman(1997), Recurrent Red-tides in the Southampton Water Estuary Caused by the phototrophic Ciliate Mesodiuium rubrum.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5, pp. 799-812. 

  6. Garate Lizarraga, L., J. J. Bustilos, I. Morquecho and Lechuga Deveze.(2000), "First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Gulf of California". Harmful Algae News. p. 7. 

  7. Gobler, C. J., D. L. Berry, O. R. Anderson, A. Burson, F. Koch, B. S. Rodgers, L. L. Moore, J. A. Goleski, B. Allam, P. Bowser, Y. Tang and R. Nuzzi(2008), " Characteriz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inpacts of harmful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n eastern Long Island, NY, USA", Harnful Algae, Vol. 7, pp. 293-307. 

  8. Han, M. Y., Y. T. Kim and D. J. Kim(2001),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Clay Spreading Method as a Remedy for Algal Blooms in Natural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15, No. 3, pp. 217-221. 

  9. Kim, C. H. and J. B. Shin(1997), Harmful and toxic red tide algal development and toxins production in Korean coastal waters. Algae, 12, (in Korean), pp. 269-276. 

  10. Kim, H. C, C. K. Lee, S. G. Lee, H. G. Kim and C. K. Park(2001), Physico - Chemical Factors on the Growth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Nutrient Utilization, Korean. J. Korean Fish. Soc., Vol. 35, No. 5, pp. 445-456. 

  11. Kim, H. G., K. Matsuoka, S. G. Lee and K. H. an(1996), The occurrence of a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from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9, pp. 837-842. 

  12. Kim, S. J(2000), Removal of Red Tide Organisms Flocculation of Red Tide Organisms by Using Loess.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33(5), pp. 455-462. 

  13. KORDI(1996), Harmonic constants of Tide around the Korea Peninsula. pp. 411-444. 

  14. Kudela, R. M., J. P. Ryan, M. D. Blakely, J. Q. Lane and T. D. Peterson(2008), "Link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Cochlodinium to better understand harmful algal bloom events; A comparative approach", Harmful Algae, Vol. 7, pp. 278-292. 

  15. Kwoun, C. H and K. D. Cho(2002), Numerical Model for Spreading of Cochlodinium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Korea. Korean. J. Korean Fish. Soc., Vol. 35, pp. 568-577. 

  16. Lee C. K., H. C. Kim, S. G. Lee, C. S. Jung, H. G. Kim and W. A. Lim(2001), Abundance of Harmful Algae,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and Gymnodinium catenatum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of Korea and Their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Irradiance and Nutrient on the Growth in Culture. Korean. J. Korean Fish. Soc., Vol. 34, pp. 536-544. 

  17. Na K. H., J. B. Nam, K. D. Park and J. A. Lee(1998), Experimental Elimination of Blue - green Algae Microcystis sp. by Loess Suspension in Colum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14, No. 4, pp. 399-404. 

  18. NFRDI(1995-2013), Red-tide forecast. (http://www.nfrdi.re.kr/redtideInfo) 

  19. NFRDI(2002-2008a),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easurements. (http://portal.nfrdi.re.kr/page?idaq_env_coss_01_01) 

  20. NFRDI(2002-2008b), Station for korea oceanographic observation. (http://portal.nfrdi.re.kr/page?idaq_env_coss_02_01) 

  21. NOAA NCEP (2002-2008),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Earth System Research Laboratory. (http://www.esrl.noaa.gov/psd/data/gridded/data.ncep.reanalysis.derived.surfaceflux.html) 

  22. Park, C. and J. K. Choi(1998),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the East Sea of Korea(the Sea of Japan) : 1. Species List, Distribution of Dominant Taxa, and Species Association. Korean. J. Korean Fish. Soc. Vol. 30, No. 2, pp. 225-238. 

  23. Teague, W. J., H. T. Jacobs, Perkins, and J. W. Book(2003), Low-Frequency Current Observation in the Korea/Tsushima Strait.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pp. 162-1641. 

  24. Whyte J. N. C., Nicola Haigh, Norman G. Ginther and Laurie J. Keddy.(2000), "First record of Cochlodinium sp. causing mortality of net-pen reared salmon on the west coast of Canad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ful Algal Blooms. Ninth Conference Tasmania, p. 66. 

  25. Yanagi, T., T. Yamamoto, Y. Koizuni, T. Ikeda, M. Kamizono and H. Tanori(1995), A numerical simulation of red tide formation. J. Marine Systems, 6, pp. 269-285. 

  26. Yang H. S., C. H. Kim, J. C. Kang and M. S. Kim(1997), The Science of Red Tid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320-330. 

  27. Zhou, M. J., Z. L. Shen and R. C. Yu(2007), "Respoonses of a coastal phytoplankton community to increased nutrient input form the Changjiang(Yangtze) River", Continental Shelf Reserch(i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