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among Pregnant Women in the Late Stag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3, 2014년, pp.195 - 203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in women during late stage of pregna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13 healthy pregnant women at gestational age greater than 27 weeks who were registe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신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피로, 수면장애,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이들의 신체적 · 정신적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신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임신 27주 이상의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신후기 여성의 신체적 · 정신적 적응을 돕는 산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장애가 있는 임신후기 여성을 위한 수면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수면장애가 있는 임신후기 여성의 경우 우울 수준이 높아지고[9] 분만 후 산후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쉬우며 조산을 초래하기도 한다[4]. 이 같은 상황은 임부와 태아의 애착관계에 악영향을 주어 태아의 인지 및 정서의 발달은 영향을 받게 되고 심지어 태아의 수면장애도 초래되므로[11] 임신후기 여성의 건강관리 차원에서 수면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임부의 피로는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6%에 비해 높다[1]. 또한 임부의 피로는 적절히 관리되어 해소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있고[3] 자간전증, 조산, 난산의 증가와 태아 유병률 증가 등[4] 임부와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전관리에서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임신후기에는 자궁-태반-태아 단위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하고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 BMR)의 증가에 따른 심혈관계 부담이 늘어 산소 소모량이 높아지므로 피로를 더욱 심하게 느낀다[1,5].
임신후기 여성이 불편감을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은 무엇인가? 임신은 여성의 생애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임신동안 초래되는 신체의 변화는 여성에게 상당한 정서적 ․ 사회적 적응을 요구한다. 임신후기 여성이 많은 불편감을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은 피로, 다뇨와 수면장애였으며[1], 25%에서 얼마 남지 않은 출산에 대한 높은 수준의 두려움을 나타내어 이는 불안, 피로를 가중시킬 뿐 아니라 수면 감소, 매일의 스트레스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zik E, Eryilmaz G. Incidence of pregnancy-related discomfort and management approaches to relieve them among pregnant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1-12):1736- 1750. 

  2. Hall WA, Hauck YL, Carty EM, Hutton EK, Fenwick J, Stoll K. Childbirth fear, anxiety, fatigue, and sleep deprivation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9;38(5):567-576. 

  3. Balendran J, Champion D, Jaaniste T, Welsh A. A common sleep disorder in pregnancy: Restless legs syndrome and its predictors. The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2011;51(3):262-264. 

  4. Okun ML, Hanusa BH, Hall M, Wisner KL. Sleep complaints in late pregnancy and the recurr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Behavioral Sleep Medicine. 2009;7(2):106-117. 

  5. Leung PL, Hui DS, Leung TN, Yuen PM, Lau TK. Sleep disturbances in Chinese pregnant women.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5;112(11):1568-1571. 

  6. Kim YH, Cho OH.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1):80-88. 

  7. Ko H, Shin J, Kim MY, Kim YH, Lee J, Kil KC, et al. Sleep disturbances in Korea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12;33(2): 85-90. 

  8. Lopes EA, Carvalho LB, Seguro PB, Mattar R, Silva AB, Prado LB, et al. Sleep disorders in pregnancy. Arquivos de Neuro- Psiquiatria. 2004;62(2A):217-221. 

  9. Kızılırmak A, Timur S, Kartal B. Insomnia in pregnancy and factors related to insomnia.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2; 2012:197093. 

  10. Kamysheva E, Skouteris H, Wertheim EH, Paxton SJ, Milgrom J.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leep quality,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3(1-3):317-320. 

  11. Do?rheim SK, Bjorvatn B, Eberhard-Gran M. Can insomnia in pregnancy predict postpartum depression? a longitudinal, population- based study. PLoS One. 2014;9(4):e94674. 

  12. Ahn HR.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13. Chou FH, Kuo SH, Wang RH. A longitudinal study of nausea and vomiting,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in, and social support for, pregnant women through the three trimesters.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08;24(6):306-314. 

  14. Parcells DA. Women's mental health nurs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during pregnancy.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7(9):813-820. 

  15. Jeong GH, Kim SJ. Differences of women's perception of fatigu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gna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3):731-740. 

  16. Hong SH, Kim KH. A study on the stress of pregnant and the coping of pregna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1; 6(2):115-128. 

  17.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18. Tack B. Dimensions and correlated of fatigue in older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dissertation]. San Francisco: University of California; 1991. 

  19. Lee KS. Prediction model of fatigue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20.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 193-213. 

  21. Kim GD. A study on quality of sleep and emotional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8. 

  22. Kim JS, Lee YS. Study on fatigue, stress and burnout of pregnant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3):208-217. 

  23. Kim YA.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and neonatal stress response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24. Gaston A, Prapavessis H. Tired, moody and pregnant? exercise may be the answer. Psychology & Health. 2013;28(12): 1353-1369. 

  25. Hung HM, Tsai PS, Ko SH, Chen CH. Patterns and predictors of sleep quality in Taiwaneses pregnant women. Maternal Child Nursing,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13;38(2):95-101. 

  26. Ko SH, Chang SC, Chen CH. A comparative study of sleep quality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Taiwanese wome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0;42(1):23-30. 

  27. Lee KA, Zaffke ME, McEnany G. Parity and sleep patterns dur ing and after pregnancy. Obstetrics & Gynecology. 2000;95(1):14-18. 

  28. Tsubouchi H, Shimoya K, Hayashi S, Toda M, Morimoto K, Murata Y. Effect of coffee intake on blood flow and maternal stress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2006;92(1):19-22. 

  29. Diego M, Field T, Hernandez-Reif M, Vera Y, Gil K, Gonzalez- Garcia A. Caffeine use affects pregnancy outcome.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Substance Abuse. 2007;17(2):41-49. 

  30. Fairbrother N, Hutton EK, Stoll K, Hall W, Kluka S.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scale for use with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Psychological Assessment. 2008;20(2):150-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