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derson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을 이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 목표 분석
Analysis about Learning Objective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High School using Anderson's and Full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9, 2014년, pp.185 - 196  

최현종 (서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과 프로그래밍 수업목표에 적용할 수 있는 Fuller의 분류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출판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Anderson 분류법에 의하면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uller 분류법으로 동종의 교과서 6종을 분석해 보니 프로그램 코드의 해석과 생산 영역이 대체로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만의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this year i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Fuller's taxonomy that was presented for programming act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올해 출판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의 수업목표를 분류하고, 정보 교과의 목표에 부합하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학습의 수업목표가 균형 있게 기술되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 교육과정의 시작은 교과의 목표 설정이고, 수업의 시작은 수업목표의 제시이다. 수업목표를 분석하고 진술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교육목표 분류법에 대한 이번 연구를 통해 수업목표를 다양한 지식의 유형과 인지 과정을 포괄할 수 있는 목표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W 교육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활동에서 제시될 수업목표도 프로그램 코드의 해석과 생산 영역에 적절히 안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2014년에 출판된 6종의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제시된 수업 목표를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Anderson의 분류법이 현재 사용 중인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 분류 체계로 적절한지를 판단해 보고,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을 통한 계산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수업목표가 어느 정도 진술되어 있는지를 Fuller의 분류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교육목표 분류법과 이와 관련된 배경 연구들을 조사하였고,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과 과정을 제시하고 Anderson과 Fuller의 분류법에 의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의 수업목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 교과 및 교과서 차원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과학 교과[15-17]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외에 기술․가정[18-19], 국어[20] 등이 있다. 이 연구들은 교과서의 수업목표를 Anderson의 분류법으로 통계내어, 지식의 유형과 인지 과정에서 어떤 영역에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한 예로 과학 교과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실험 목표는 지식의 유형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인지 과정에서는 ‘이해하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7].
  • 교과서에는 각 단원별, 혹은 차시별로 수업목표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 수업목표를 분석해 보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의 지식 영역과 인지 과정, 또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학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올해 고등학교에서 처음 사용하는 정보 교과서 6종의 수업목표를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과 Fuller의 프로그래밍 수업목표 분류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2014년에 출판된 6종의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제시된 수업 목표를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Anderson의 분류법이 현재 사용 중인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 분류 체계로 적절한지를 판단해 보고,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을 통한 계산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수업목표가 어느 정도 진술되어 있는지를 Fuller의 분류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oom은 교육목표를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Bloom은 교육목표가 적용되는 학습자의 발달 범위 또는 용어와 개념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교육목표의 명확한 체계와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는 교육목표를 학생의 발달 영역에 따라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심체적 영역(psychomotor domain)으로 분류하였는데, 1956년에 인지적 영역의 교육 목표 분류법을 발표하였고, 그 후 정의적 영역과 심체적 영역에 관한 분류법을 발표하였다[6][7].
교육이란? 교육은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성장과 발달을 어떤 목적이나 가치 기준에 의해 통제하거나 조력하는 일련의 인위적 과정이다[1]. 즉, 교육은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사람이나 사회의 목적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시작되고 진행되며 마지막에는 평가의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Bloom의 분류법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하지만 Bloom의 분류법은 용어의 진술이 일반적이고, 상위 영역으로 올라갈수록 추상적 표현이 사용됨에 따라 영역간의 위계가 명확히 분리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빈번하게 있었고[9], 하위 영역 몇 가지만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25], 맨 하위 영역에 사용된 ‘지식’이라는 용어가 단순히 외운 것을 회상하는 수준으로 표현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하위 영역을 학습하지 않고도, 상위 영역을 학습할 수 있다는 문제점 등도 제기되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Online dictionary, 'education',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0035&cid42126&categoryId42126 

  2. Online dictionary, 'instructional objectives',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44124&cid41989&categoryId41989 

  3. S.B.Park, et al., "Effective Teaching", Academy Press, 2006. 

  4. D. R. Krathwohl, "A Revision Bloom's Taxonomy :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pp. 212-218, 2002. 

  5. B. S. Bloom,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Handbook I : Cognitive Domain", Longman, 1956. 

  6. D. R. Krathwohl, et al., "Taxonomy for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2: Affective Domain", David McKay Co., 1964. 

  7. A. J. Harrow, "A Taxonomy of the Psychomotor Domain", David McKay Co., 1972. 

  8. C.H.Lim, "Analysis of Objectives and Contents of Natur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10, 1997. 

  9. G. M. Seddon, "The Properties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 for the Cognitive Domai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8, No.2, pp. 303-323, 1978. 

  10. C. G. Johnson and U. Fuller, "Is Bloom's Taxonomy Appropriate for Computer Science", '06 Proceedings of the 6th Baltic Sea Conference on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New York, ACM, 2006. 

  11. A. D. Hauenstein,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 A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8. 

  12. R. J. Marzano,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2001. 

  13. L. W. Anderson and D. R. Krathwohl, et al.,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llyn & Bacon, 2001. 

  14. U. Fuller, et al., "Developing a Computer Science-Specific Learning Taxonomy". ACM SIGCSE Bulletin, Vol.39, No.4, pp. 152-170, 2007. 

  15. H.S.Kim, et al.,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ol.26, No.5, pp. 570-579, 2007. 

  16. Y.H.Kim, et al.,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Research about Science Education, Vol.34, No.1, pp. 164-174, 2010. 

  17. C.G.Park,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Laboratory Work in Korean and U. S.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15, No.1, pp. 27-43, 2011. 

  18. G. Y. Lee and T. M. You,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es Education Association, Vol.23, No.3, pp. 53-68, 2011. 

  19. M.J.Lee, et al.,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17, No.2, pp. 149-176, 2011. 

  20. M. O. Kim and H. S. Kang,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30, No.1, pp. 27-58, 2012. 

  21. H. J. Jin, "Analysis and Standar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Informatic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2, No.2, pp. 47-59, 2009. 

  22. H. J. Choe, "Study of Analysis About Learning Objective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1, pp. 51-63, 2014. 

  23.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cs Subject of 2007 Revised Curriculum", 2007. 

  24.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cs Subject of 2009 Revised Curriculum", 2011. 

  25. D. E. Biling and B. S. Furniss, "Aims, Methods and Assessment in Advanced Science Education". Heyden, 1973. 

  26. E. A. Lahtinen, "A Categorization of Novice Programmers: A Cluster Analysis Study", Proceedings of the 19th annual Workshop of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 Interest Group, Joensuu, Finland, pp. 32-41, 2007. 

  27. C. Andrew, "Bloom's Digital Taxonomy", http://edorigami.wikispaces.com/Bloom%27s+Digital+Taxonom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