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Chang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7 no.2, 2014년, pp.151 - 158  

김윤지 (금정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57명의 고등학생들이 환경의 변화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그리기 활동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현재의 환경을 순수한 자연 공간으로, 미래의 환경을 인공적 요소들이 포함된 공간으로 표현하여 과학기술의 발달을 그림속에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은 현재의 환경 상태를 인간에 의해 오염된 공간으로 표현하여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었다. 미래의 환경 상태에 대해서는 절반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나머지 절반의 학생들은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학교 현장에서 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드높이고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change through drawing.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showed the present environment as a pure natural space, and they represented the future environment as a space which includes the artificial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과학 교육계에서도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설문지와 그리기 활동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연구되고 있으나, 가까운 미래에 사회인이 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현재의 환경과 미래의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에서 미래로 어떻게 변화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가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환경 관련 내용을 다루는데 있어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분석 기준은 Kim, Cheong(2007)이 중학생의 그림을 분석한 방법을 참조하였으나, 선행 연구에서 전체적인 사례수를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항목을 변화로 두고 사례수를 분석하였으므로 분석 항목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는 연구자 이외에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이 참여하여 삼각 검토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합의에 도달해 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과학교육에서는 STS 교육을 중요하게 다루면서 과학적 소양을 강조하므로 인간과 과학 ․ 기술 ․ 사회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관 관계를 교수학습 소재로 적용하면서 환경과 직접 연관되는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Sin, Lee, 2003), 지구계 교육은 지구계와 연관시켜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 내용을 다루고 있는 한편으로 환경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활동에 대한 책임 의식과 지구 환경에 대한 감사 의식 및 가치 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Lee et al., 2004), 과학 교육계에서 학생들의 환경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의 한 방향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환경교육에서 강조하는 것은? 과학교육에서는 STS 교육을 중요하게 다루면서 과학적 소양을 강조하므로 인간과 과학 ․ 기술 ․ 사회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관 관계를 교수학습 소재로 적용하면서 환경과 직접 연관되는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Sin, Lee, 2003), 지구계 교육은 지구계와 연관시켜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 내용을 다루고 있는 한편으로 환경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활동에 대한 책임 의식과 지구 환경에 대한 감사 의식 및 가치 등을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Lee et al., 2004), 과학 교육계에서 학생들의 환경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의 한 방향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이미지로 표현한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 방법 2가지는? 학생들이 이미지로 표현한 환경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분석 방법은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자연적인가 인공적인가를 기준으로 두고 현재와 미래의 환경을 자연적 요소로 표현하는가 아니면 인공적 요소로 표현하는가 그도 아니면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를 복합적으로 표현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자연→ 자연, 자연→인공, 인공→인공, 인공→자연, 자연/인공→자연/인공, 자연/인공→자연, 자연/인공→인공, 자연→자연/인공, 인공→자연/인공]으로 구분하여 9가지 항목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두 번째 분석 방법은 환경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를 기준으로 두고 쾌적한 환경으로 표현하는가 아니면 오염된 환경으로 표현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쾌적→쾌적, 쾌적→오염, 오염→오염, 오염→쾌적, 판단 불가]으로 구분하여 5가지 항목으로 분석하였는데, 판단 불가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는 긍정 또는 부정의 인식이 표출되지 않고 기술 발전에 집중하여 환경을 표현한 일부 사례였다. 분석 기준은 Kim, Cheong(2007)이 중학생의 그림을 분석한 방법을 참조하였으나, 선행 연구에서 전체적인 사례수를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항목을 변화로 두고 사례수를 분석하였으므로 분석 항목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lerby, E.(2000). A way of visualizing children's and young people's thoughts about the environment: a study of drawing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6, 205-222. 

  2.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3. Cheol Cheong(2003).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273-280. 

  4. Cheol Cheong, Myung-Gyun Kim, Hae-Kyeong Park(2005).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in drawing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 Technology of the Future, 1(2), 37-42. 

  5. Dove, J. E., Everett, L. A., & Preece, P. F. W. (1999). Exploring a hydrological concept through children's draw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485-497. 

  6. Dong-Hee Shin, Je-Seon Lee(2003). Effect of NIE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at titude, an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6), 599-608. 

  7. Hyo-Nyeong Lee, Fortner, R. W., Mayer, V. J. (2004). Earth systems education: an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construct for Korea. The Secondary Education Institute, 52(1), 397-426. 

  8. Jin-Woo Jeong, Dong-Young Lee, Yun-Ji Kim, Cheol Cheong (2009). The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third grad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5(2), 375-389. 

  9. Littledyke, M.(2004). Primary children's views on science and environmental issues: examples of environmental cognitive and moral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0, 217-235. 

  10. Loughland, T., Reid, A., & Petocz, P.(2002). Young people's conceptions of environment: a phenomenographic analysi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 187-197. 

  11. Myung-Gyun Kim, Cheol Cheong(2007). The study for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with drawing activity about environment.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4), 479-485.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2), 171-187. 

  12. Scherz, Z., & Oren, M. (2006). How to change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Education, 90(9), 965-985. 

  13.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2007).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14. Soo-Meen Wee, Seung-Cheul Lee, Yun-Ji Kim, Hyeon-Jeong Kim(2008).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drawing activities. 

  15. Yun-Ji Kim, Jin-Woo Jeong(2007). The perception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5(3). 45-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