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수업 운영 실태조사
An Examination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Converged Science Introduced by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s well as its Actual Implementa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7 no.2, 2014년, pp.203 - 213  

엄희숙 (부산대학교) ,  문성배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rged Science, and what teachers and students think of it in order to understand how it is taking root in schools. The results identify ways in which the new curriculum can establish itself in schools. One hundred and two science teachers, who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을 진단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융합형 과학 교육의 정착화를 위해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나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급하게 학교에 도입되어 낮은 호응도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의 결과로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융합형 과학 교과의 정착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낮은 호응도로 시작된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정착되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인식과 수업 운영 실태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융합형 과학이 도입되기 전(C)과 후 (A), (B) 그리고 융합형 과학 교과를 지도한 교사(A)와 그렇지 않은 교사(B)의 경우에 융합형 과학 교과의 통합 정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융합형 과학이 도입된 1년 후 융합형 과학을 지도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해보고 아울러 융합형 ‘과학’이 도입되기 전과 도입 된 후에 교사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의 결과로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융합형 과학 교과의 정착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융합형 ‘과학’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신영옥과 최병순, 2013; 김홍종 등, 2013; 송신철 등, 2012; 하혜정 등, 2012)은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 도입된 이후의 교사 및 학생의 인식 조사를 주로 다루었다.

가설 설정

  • 두 집단의 학생들은 모두 10학년 때 과학 수업을 들었고, 동일한 교사들에게 수업을 받았다. 별도의 동질성 검사를 하지 않았지만 학생들은 동일한 입학 전형을 거쳤으며 대부분 동일 계열의 진학을 희망하였고, 또한 같은 교사에게 과학 수업을 이수하여 동질집단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7차 교육과정의 개발이유는? 이러한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과학교육은 과학자 양성에 필요한 지나친 개념 중심의 교육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학생들에게 인위적인 과목 구분의 벽을 뛰어넘는 융합교육을 통한 진정한 창의‧인성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미래를 주도해 나갈 능력과 교양을 갖춘 새로운 가치창조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적용과정에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의 한계, 10학년 과학의 이수 단위수의 부족, 이공계 기피 심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교원대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교육이 융합교육을 통한 진정한 창의‧인성 교육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는? 저탄소 녹색 성장의 실현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합리적이고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인성을 모두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과학교육은 과학자 양성에 필요한 지나친 개념 중심의 교육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학생들에게 인위적인 과목 구분의 벽을 뛰어넘는 융합교육을 통한 진정한 창의‧인성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미래를 주도해 나갈 능력과 교양을 갖춘 새로운 가치창조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 실제로 도입되기 전과 후의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서 통합형 과학을 이수한 학생과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융합형 과학을 이수한 학생들의 과학 과목에 대한 인식 비교도 함께 조사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첫째, 융합형 과학을 지도한 과학 교사들의 과학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본다. 또한 융합형 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기 전과 후, 그리고 융합형 과학 시행 후 융합형 과학을 지도한 교사와 지도하지 않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다. 둘째, 2011년 융합형 과학 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의 융합형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다. 그리고 2011년 융합형 과학을 이수한 학생과 2010년에 통합형 과학을 이수한 학생의 과학 교과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Institute for Advanced Study(2009). The Opportunity Equation, New York: Carnegie Corporation. 

  2. Ha, Hye-jeong, Park, Hyun-ju, Kim, Jong-hee, Son, Jeongwoo & Kim, Yong-jin(2012). Biology Education, 40(2), 267-277. 

  3.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2010). Remote Study Textbook of High School Converged Science, Chungbu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ess. 

  4. Jaw, Hye-jeong(2010).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07 Science Curriculum,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5. Kim, Yoon-ki(2012). Converged Science Education and Narrative, Chemworld, 2, 56-57. 

  6. Kim, Hong-jeong, Lee, Jin-woo & Im, Sung-min(2013). An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7-21. 

  7. Lee, Hwa-sung, Shin, IL-young, Shim, Jae-ho, Choi, Hyukjun, Kim, Dong-young. & Ahn, Jong-jae(2008). High School Curriculum Commentary (6)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Seoul: Daehan textbook. 

  8. Lee, Min-soo(2007).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ience in academic high school,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Lee, Yong-kyu(2007). Studies on Teachers' Response for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1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Daehan textbook. 

  11. National Science Board(2007). A National Action Plan for Addressing the Critical Needs of the U.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2. Shin, Young-ok & Choi, Byung-soon(2013).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0), 1599-1612. 

  13. Song, Shin-cheol, Hong, Bora, Lim, Nam-Hui, Han, Hwajeong & Shim, Kew-cheol (2012),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130-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