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 및 구성 요소 분석
Type and Component of Fashion Brand Concep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4, 2014년, pp.495 - 505  

김세희 (부산경상대학교 패션.뷰티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 of fashion brand concepts and derived the components of fashion brand concepts. A total of 125 brand concept texts of women's wear brands were collected from "2012/2013 Korea Fashion Brand Annual" (S. M. Kim, 2012).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과 구성 요소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는 만큼, 이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접근의 탐색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먼저 분석 대상이 될 패션 브랜드 컨셉은 S.
  • 본 연구는 그간 의류학 분야에서 부족했던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을 정성적으로 고찰하고 구성 요소 및 그 체계를 밝힘으로써 의류학 분야 브랜드 컨셉에 대한 관점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기존의 패션 브랜드 컨셉 관련 연구들이 일반 경영학 분야의 브랜드 컨셉 연구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로 분야를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을 살펴보고 패션 브랜드 컨셉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체계를 도출함으로써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한 상세한 고찰과 깊은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류학 분야에서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해 일반 제품 브랜드 컨셉과 비교하여 그 유형을 고찰해 보고, 패션 브랜드 컨셉의 구성 요소 및 그 체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한 통찰을 얻어 학문적으로는 후속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보다 체계적인 브랜드 컨셉 정립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치열해진 경쟁 시장 하에서 브랜드 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근간이 되는 브랜드 컨셉을 어떻게 정립하고 관리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류학 분야에서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해 일반 제품 브랜드 컨셉과 비교하여 그 유형을 고찰해 보고, 패션 브랜드 컨셉의 구성 요소 및 그 체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한 통찰을 얻어 학문적으로는 후속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보다 체계적인 브랜드 컨셉 정립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치열해진 경쟁 시장 하에서 브랜드 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근간이 되는 브랜드 컨셉을 어떻게 정립하고 관리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업계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을 고찰해 본 뒤, 패션 브랜드 컨셉의 구성 요소 및 그 체계를 구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 패션 브랜드 컨셉에 대한 연구 및 컨셉 유형 해석 기준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일반 제품군을 대상으로 한 컨셉 유형 개념을 기준으로 패션 브랜드 컨셉의 유형을 해석, 분류하였기에, 분류된 컨셉 유형별 명확한 빈도를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컨셉 유형별 전반적인 경향과 해당 사례들만 제시하고자 한다.
  • Strauss(1987)도 초기 코딩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서 많을수록 좋다는 생각으로 코딩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좋다는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세그멘팅된 자료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다소 엄격하게 판단하여 최대한 다양한 주제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 개방 코딩은 수집된 자료의 의미에 기초하여 귀납적으로 이루어지며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연구자가 직접 찾아내거나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논리적, 연역적 추론 대신 발견과 이론 발달에 초점을 맞추는 코딩 기법이다. 즉 자료를 읽고 추론하고 의미를 도출하려고 하면서 이 과정에서 반복적인 개념의 유형과 사고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그 결과로 모든 자료에 포함된 단어를 요약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한 가지 개념으로 특징화하려고 노력한다. 개방 코딩은 세그멘팅과 초기 코딩이라는 두 단계를 거친다(Y.
  • 한편, 본 연구는 그간 부족하였던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브랜드 컨셉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인 정성적 연구였기에, 특정 브랜드 컨셉이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 또는 특정 컨셉 내용이 어떤 구성 요소로 이루어졌는지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장치는 다소 부족하였다. 즉, 브랜드 컨셉의 유형 분류나 구성 요소 도출에 있어 시간차를 둔 반복 작업을 통해 신뢰성을 담보하고자 하였으나, 분류 작업에 있어 패널 구성을 통해 패널 간 공통된 결과 도출을 하고자 하였다면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컨셉의 기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브랜드 컨셉은 소비자 마음 속에 제품을 포지션시키고 다른 브랜드의 동일 제품으로부터 자사 제품을 차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기업으로 하여금 브랜드 이미지를 개발, 유지, 통제하기 위한 전략적 계획을 고안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전략적 계획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정교화, 강화시키고 브랜드의 핵심 성격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포지셔닝 노력을 일관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하였다. 또한 브랜드의 포지션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브랜드 컨셉은 브랜드 수명 주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하였다.
브랜드 컨셉은 유형별로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1986)의 브랜드 컨셉 유형 세 가지를 두 가지로 묶었다. 즉 브랜드 컨셉을 크게 다른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자면 기능 지향적 컨셉과 품위 지향적 컨셉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기능 지향적 컨셉은 주로 제품 성능과 관련된 브랜드 고유의 특징 측면이고, 품위 지향적 컨셉은 주로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 표현 측면이라고 하였다. 이후 Voss et al.
브랜드 컨셉이란 무엇인가? (1991)은 브랜드 컨셉에 대해 Park et al.(1986)이 제시한 개념과 맥을 같이 하여, 소비자 마음 속에 존재하는 브랜드 고유의 의미이며 제품의 특정 속성으로부터 파생되는 브랜드 고유의 추상적 의미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브랜드 컨셉을 속성, 혜택, 그리고 이러한 혜택들을 고차원의 컨셉으로 해석하는데 사용되는 마케팅 노력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독자적(unique)이고 추상적(abstract)인 의미(meaning)라고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K. H., Han, S. M., & Jun, S. Y. (2013). 전략적 브랜드 관리 [Strategic brand management]. Paju: Hakhyunsa. 

  2. Bae, J. H. (2010). The influences of consistency between brand name and product concept on the consumers'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3. Bogdan, R. C., & Biklen, S. K. (2003).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4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Group. 

  4. Eun, S., & Park, J. O. (2008). A study of clothing images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30-640. 

  5. Fennell, G. (1978).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product-use situation. Journal of Marketing, 42(2), 38-47. 

  6. Gutman, J. (1982).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46(2), 60-72. doi:10.2307/3203341 

  7. Jang, E. Y. (2008). Analysis of the brand concept of domestic apparel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and Beauty, 6(4), 221-228. 

  8.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doi:10.2307/1252054 

  9. Kim, J. R. (2003). Analysis of brand concept perceived on web sites for international and domestic young casual 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S. M. (2012). 2012/2013 한국패션브랜드연감 [2012/2013 Korea fashion brand annual]. Seoul: Apparel News Press. 

  11. Kim, Y. C. (2012).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1: Bricoleur]. Paju: Academy Press. 

  12. Lanseng, E. J., & Olsen, L. E. (2008). Evaluation of brand alliances: Product fit and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concept consistenc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5, 871-872. 

  13. Lee, H. J. (1999). 패션디자인 [Fashion design]. Seoul: Kyohakyongusa. 

  14. Moon, T. J. (2010). The effects of brand concept on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alliance and between-partner congru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Monga, A. B., & John, D. R. (2010). What makes brands elastic? The influence of brand concept and styles of thinking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74(3), 80-92. doi:10.1509/jmkg.74.3.80 

  16. Park, C. W., Jaworski, B. J., & Maclnnis, D. J. (1986).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50(4), 135-145. 

  17. Park, C. W., Milberg, S., & Lawson, R. (1991).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2), 185-193. 

  18. Strauss, A. L.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 Voss, K. E., Spangenberg, E. R., & Grohmann, B. (2003).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0(3), 310-320. doi:10.1509/jmkr.40.3.310.19238 

  21. Yu, J. H. (2004). A study on the position of young casual brands to propos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brands and those of the department stores-Focused on the L-department stor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8(4), 117-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