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악 연주단복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Performance Uniform for Korean Classical Music Band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6, 2014년, pp.148 - 160  

김여경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김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 development of performance uniform for Korean classical music. To do this, we considered the state of the performance uniform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Band through photographic data. The research targeted the performers in Korean Classical Music Band, and condu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조사한 바와 같이 현재 대부분의 국악 연주단에서는 정악만 연주하기보다는 민속악, 창작악 등 다양한 장르를 연주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악공복의 전통을 따르기보다는 민속악 등을 연주할 때 착용하였던 포(袍)를 응용하여 연주단복을 디자인하였다. 국악 연주인에 대한 디자인 선호 조사 결과, 연주 악기에 따라 소매에 대한 선호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므로 포 중에서 소매의 길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답호(褡護)의 형태를 반영하여 국악연주단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성악 파트는 선호하는 옷의 길이 및 구성 등이 기악 파트와 확연히 차이를 보였는데 현재 국악 연주단에서도 기악 파트보다는 공연 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성악 파트는 선호하는 옷의 길이 및 구성 등이 기악 파트와 확연히 차이를 보였는데 현재 국악 연주단에서도 기악 파트보다는 공연 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체복에 중점을 두는 본 연구에서는 현악기와 관악기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표 8>과 같이 기본 도식화, 색상과 무늬 및 장식을 적용한 도식화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국악 공연 환경에 적합하고 연주자의 실질적 요구에 부응하는 국악 연주단체를 위한 연주단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일반적인 연주복에 대한 이론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국악 연주의 특성과 현재 국악 연주복의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악 연주환경과 연주복의 변화에 따른 연주단복을 개발하고자 실제 연주단체에서 착용하고 있는 연주단복의 현황을 고찰하고, 국악연주단에 속한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연주단복의 형태, 무늬, 장식, 색상, 소재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악 공연 환경에 적합하고, 연주자의 실질적 요구에 부합하는 연주단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표 1>과 같이 디자인 조사항목은 연주복의 형태, 무늬, 장식, 색상, 소재로 구성하였다. 색상과 소재에 대해서는 이해를 돕고자 스와치를 붙인 샘플북을 응답자들에게 제공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중 불성실 또는 부정확한 응답지를 제외한 70부를 유효 설문으로 처리하였다.
  • 이를 통하여 국악 공연 환경에 적합하고, 연주자의 실질적 요구에 부합하는 연주단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주단복이므로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한 외의(外衣)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과 같이 기본 도식화, 색상과 무늬 및 장식을 적용한 도식화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악 연주환경과 연주복의 변화에 따른 연주단복을 개발하고자 실제 연주단체에서 착용하고 있는 연주단복의 현황을 고찰하고, 국악연주단에 속한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연주단복의 형태, 무늬, 장식, 색상, 소재에 대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악 공연 환경에 적합하고, 연주자의 실질적 요구에 부합하는 연주단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주단복이므로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한 외의(外衣)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먼저 일반적인 연주복에 대한 이론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국악 연주의 특성과 현재 국악 연주복의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현재 국악 연주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주자를 대상으로 디자인 선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국악 연주단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전국 국ㆍ공립 국악 연주단 25개11) 중에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제공하는 15개 연주단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4년 4월 10일부터 25일까지이다. 홈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시각자료는 2차 자료로서 구체적인 정보제공에 한계가 있으나 다양한 국악단 연주복의 현황을 반영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홈페이지의 사진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분석한 국악 연주단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주복은 무엇인가? 연주복은 연주 공연을 위한 의복이다. 무대 위에 펼쳐지는 시각적인 요소의 하나로서 무대 위에서 움직이는 연주자가 착용함으로써 관객의 시선을 모으고 공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7) 또, 연주복은 방송이나 영화, 게임과 같은 비대면 문화산업분야와 달리 관객을 공연장이라는 무대를 통하여 현장에서 관객에게 직접 노출된다.
연주복 구비 방법은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가? 일반적으로 공연의상은 특정한 공연기간에 착용 되는 것으로 일회적인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8), 실제로는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연주복의 재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주복 구비 방법이 대여> 기성복 구매> 맞춤 순으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9) 구매나 맞춤의 경우에도 다양한 공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멀티유즈(multi-use)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연주단복의 경우에는 적절한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경제성이나 관리성을 고려한 기능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
연주복 디자인에 차별화가 요구되는 이유는? 연주복은 관객에게 곡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므로 곡의 내용은 연주복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잣대가 된다. 또 악기에 따라 연주방법이나 동작에 차이를 보이므로 디자인에 있어 차별화가 요구되며, 경제성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연의상은 특정한 공연기간에 착용 되는 것으로 일회적인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8), 실제로는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연주복의 재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이수정 (2007), 피아노 연주자의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 선호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변지현, 김미영 (2005), 클래식 음악 연주복에 대한 의복 태도와 디자인 선호도 연구, 복식, 55(8), pp. 99-111 

  3. 여승화, 정삼호 (2004), 악기 종류에 따른 기능적인 연주복 디자인 연구, 복식, 54(4), pp. 75-84 

  4. 윤지영 (2004), 원의 율동성을 응용한 파이프오르간 연주복 디자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성율, 홍정민 (2003), 연주복 선호 디자인에 따른 패턴 연구: 피아노와 성악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5), pp. 465-469 

  6. 이연희 (2000), 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의상 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소연 (2013), 종묘제례악 악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장영수 (1985), 樂學軌範에 나타난 樂人服飾의 溯源的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순자 (1981), 朝鮮王朝時代樂人服에 관한 硏究, 복식, (5), pp. 83-101. 

  10. 김예지 (2013), 근현대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유주연 (2007), 국악공연을 위한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가야금연주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영삼, 김성수 (2013), 창작 음악극의 무대의상 연구-국악칸타타 "나는 일어나리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5), pp. 730-738. 

  13. 오경아 (2008), 국악기 연주복 디자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연희, 최현숙 (2000), 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연구, 디자인포럼 21(3), p. 49. 

  15. 이연희, 최현숙 (2000), 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연구, 디자인포럼 21(3), p. 50. 

  16. 이수정, 이지연, 박명자 (2007), 피아노 연주자의 연주복 구매행동과 디자인선호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3), p. 120. 

  17. 변지현, 김미영 (2005), 클래식 음악 연주복에 대한 의복 태도와 디자인 선호도 연구, 복식, 55(8), pp. 103-104. 

  18. 김중현 (2010), 국악관현악단의 운영상 문제점과 발전 방안: 국.공립 단체를 기준으로, 음악과 문화, 23, p. 161. 

  19. 박가영 (2004),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16, pp. 31-26. 

  20. 자료검색일 2014. 4. 15, http://www.gugak.go.kr/site/gugak/menu/1498.do?configNo163&cmdread&contentNo56261 

  21. 김예지 (2013), 근현대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2. 

  22. 자료검색일 2014. 4. 15, http://www.gugak.go.kr/site/gugak/menu/1498.do?configNo163&cmdread&contentNo56224 

  23. 임수철 (1993), OK국악 정악편, 서울: 작은우리, p. 21. 

  24. 김예지 (2013), 근현대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20-24. 

  25. 자료검색일 2014. 4. 17, http://www.jpg.or.kr/bbs/board.php?bo_tablegallery&wr_id287&page23 

  26. 자료검색일 2014. 4. 15, http://www.gugak.go.kr/site/gugak/menu/1498.do?configNo163&cmdread&contentNo56258 

  27. 김예지 (2013), 근현대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1. 

  28. 자료검색일 2014. 4. 18, http://sjartgroups.or.kr/album/view.asp?currPage2&bcodePERFORM_SKETCH&seq14167&artGroupCode9&companyNametradition&orderbySEQ&skeyTITLE&sval 

  29. 자료검색일 2014. 4. 20, http://www.ntok.go.kr/user/jsp/board/view 

  30. "악기", 자료검색일 2014. 7. 20,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31. 오경아 (2008), 국악기 연주복 디자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36. 

  32. 이연희, 최현숙 (2000), 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연구, 디자인포럼 21(3), pp. 57-58. 

  33. 조효숙 (2008), 조선시대 직물의 시기감정을 위한 꽃무늬 조형특성 연구, 복식, 58(5), p. 89. 

  3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조선시대 피륙의 무늬,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97. 

  35. 권혜진 (2009), 활옷의 역사와 조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