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기온에 미치는 냉수대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d Water Mass on Observed Air Temperature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132 - 146  

박명희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이준수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안지숙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서영상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김해동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  배헌균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산(Busan)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망(AWS)과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관측하는 부산(Busan)과 기장(Gijang)지점의 해수면온도(SST)자료를 활용하여 부산(Busan)지역의 연안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냉수대에 의해 형성된 차가워진 냉기가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냉수대가 발생한 날(cold water)은 연안지역과 도심지역의 기온차가 약 $1^{\circ}C$이상 나타났으며, 냉수대가 발생하지 않은 날(non cold water)은 연안지역과 도심지역의 기온차가 약 $0.5^{\circ}C$로 냉수대가 발생한 날(cold water)보다 낮은 기온차를 보였다. 둘째, 주간의 경우 냉수대가 발생한 날(cold water)은 연안지역이 도심에 비해 약 $1^{\circ}C$ 정도 낮았다. 반면 냉수대가 발생하지 않은 날(non cold water)은 연안지역과 도심의 기온차가 약 $0.4^{\circ}C$로 냉수대가 발생한 날(cold water)에 비해 낮은 분포 차를 보였다. 반면 야간의 경우는 냉수대가 발생한 날(cold water)의 연안지역이 도심에 비해 약 $1.2^{\circ}C$, 냉수대가 발생하지 않은 날(non cold water)은 연안지역이 도심에 비해 약 $0.9^{\circ}C$ 낮았다. 야간의 기온은 주간의 기온에 비해 냉수대 발생 유 무에 상관없이 높은 기온차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cold air generated from large cold water mass at the coastal area on observed air temperature in Busan were investigated using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at the Busan area operated by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and SST(Sea Surface Temperature) data at the Gija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Busan)지역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망(이하 AWS(Automatic Weather System)로 표기)자료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표면수온(SST: Sea Surface Temperature, 이하 수온으로 표기) 자료를 활용하여 냉수대 발생 유무에 따른 부산(Busan) 지역 기온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지적으로 발현한 냉수대가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해인 2010년을 대상으로 부산(Busan)에 설치된 AWS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온자료를 활용하여 부산(Busan)지역의 연안을 따라서 매년 거의 6월~8월중에 발생하는 대규모 냉수대가 부산(Busan)지역 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정지관측자료의 수온을 바탕으로,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발령하는 것은? 이 자료는 연안정지관측지점에서 매일 오전 10시에 관측된 수온 자료이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립수산과학원 에서는 주변해역에 비해 5℃ 내외의 온도 차이가 나타나는 해역을 대상으로 냉수대 발생에 대한 주의보와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냉수대가 도시의 열적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온자료와 같은 기간을 대상으로 부산 (Busan)지역에 설치된 AWS(9개 지점)의 기온, 풍향, 풍속, 운량, 일사량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토지피복 분류를 수행한 7개 항목은 무엇인가? 자료처리를 위하여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래의 7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산출하였다(그림 2와 표 2 참고). 토지피복 분류는 수변지역(Water), 도시 화지역(Urban and built-up), 나지(Bare soil), 초지(Grassland), 산림지역(Mountain and forests), 논(Paddy field)과 밭(Dry field) 등 7개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나, 표 2의 항복별 토지피복비율에서는 논과 밭을 농경지로 합하여 제시하였다.
냉수대가 나타나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냉수대가 나타나면 연안역의 표층수온이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짙은 안개가 발생하여 선박의 항해에 많은 지장을 주고 인근 해역의 해륙풍의 강도변화에 영향을 미쳐 국지적인 기상변화를 초래한다. 냉수대의 출현 요인 중 특히 바람의 원인을 보면, 3∼4m/s의 남풍 또는 남서풍이 3일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 (Lee, 1983), 저층으로부터 저온의 냉수가 표층으로 상승함으로써 발현되는 특징이 있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J.S., J.D. Hwang, M.H. Park and Y.S. Suh. 2012. Estimation of urban heat island potential based on land cover type in Busan using Landsat-7 ETM+ and AW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65-77 (안지숙, 황재동, 박명희, 서영상. 2012. Landsat-7 ETM+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부산(Busan)의 토지피복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섬포텐셜 산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65-77) 

  2. Asakura, T. 1990. ABC of Industry and Weather. Seizando Shoten Publishing Co., Ltd., Japan (朝倉 正. 1990. 産業と氣象のABC. 成山堂書店, 日本). 

  3. Dourado, M. and A.P. Oliveira. 2008.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atmosphere-ocean thermal contrast on the PBL short-term variation over the coastal upwelling region of Cabo Frio. Atmosfera(Mexico) 21(1):13-34. 

  4. Grossman, R.L. and A.K. Betts. 1990. Air-sea interaction during an extreme cold air outbreak from the ea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Meteorology and Climatology 118:324-342. 

  5. Kim. D.H. 2012. Wave characteristics due to the path of typhoon in Suyeong bay.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pp (김동환. 2012. 태풍경로에 따른 수영만(Suyeongman)의 파랑특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쪽). 

  6. Kim, D.S. and D.H. Kim. 2008. Numerical simulation of upwelling appearance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4(1):1-7 (김동선, 김대현. 2008. 한국 남동연안역의 용승 현상에 관한 수치실험.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4(1):1-7). 

  7. Kim, D.S., S.H. Choi, K.H. Kim and C.H. Kim. 2009. The distribution and inter annual variation in suspended soli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Ocean and Polar research 31(2):219-229. 

  8. Kim, Y.K., H.W. Lee and J.H. Hong. 200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ind field at ground level around P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0(2):135-142 (김유근, 이화운, 홍정혜. 2001. 부산(Busan)지역 지표 바람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0(2) :135-142). 

  9. Kraus, E.B. and J.A. Businger. 1994. Atmosphere-Ocean Interaction. Oxford Press. 362 pp. 

  10. Lee, H.W., H.E. Ji and S.H. Lee. 2009. A study of interrelatioships between the effect of the upwelling cold watera and sea breeze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6):481-492 (이화운, 지효은, 이순환. 2009. 한반도 동남연안지역의 냉수대 영향과 해풍의 상호관련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6):481-492). 

  11. Lee, H.W., W.S. Jung, H.H. Leem, K.O. Lee, H.J. Choi, H.E. Ji, H.J. Lee, K.H. Sung and W.G. Do. 2006. Analysis of local wind in Busan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wind section division-part 1 : coarse division of wind sector us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9):835-846 (이화운, 정우식, 임헌호, 이귀옥, 최현정, 지효은, 이현주, 성경희, 도우곤. 2006. 바람권역 구분을 통한 부산 (Busan)지역 국지바람 분석 - Part I :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바람권역 대분류-. 한국환경과학회지 15(9):835-846). 

  12. Lee, J.C. 1983. Variation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al of Korea in summer.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8(2):149-160 (이재철. 1983. 夏季 韓國南東海域에서 湧昇과 關聯된 바람, 海水面 및 表層水溫의 變化. 한국해양학회 18(2): 149-160). 

  13. Lee, S.H. and C.S. Ryu. 2010. Influence of continuous satellite based SST distribution on heavy snowfall ev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1(11): 2853-2883. 

  14. Lee, S.H., H.W., Lee and H.E. Ji, 2008. Effect of meso-scale meteorological field to the upwelling cold 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Proceeding of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pp364-365 (이순환, 이화운, 지효은. 2008. 동남지역 연안 냉수대가 중규모 기상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64-365쪽). 

  15. Oh, H.J. Y.S. Suh and S. Heo,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upwelling cold water in the easterb coast of the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4):166-173 (오현주, 서영상, 허승. 2004. 동해남부연안 냉수대 변동과 관련된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166-173). 

  16. Park, S.Y. and H.M., Tak. 2013. Land use changes and climate patterns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47-64 (박선엽, 탁한명. 2013.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이용과 기후패턴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6(2):47-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