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환경 개선 사업 - 마을 미술사업의 담을 중심으로 -
Villag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 - Focused on walls in village art projects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3, 2014년, pp.155 - 163  

박은영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orien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y establishing desirable aesthetical environments and reorganizing the residents' communal way of lif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illage art projects. To investigate how the implementation of village art projects in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미술사업의 시행으로 바람직한 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들의 공동체적 삶의 방식을 재구성하여 커뮤니티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마을 미술사업의 시행이 커뮤니티의 형성과 소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마을 미술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담의 변화가 나타나는 사례지를 대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란? 커뮤니티라는 것은 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가적인 공동의 유대를 통해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지는 것(Hillery, 1955)으로, 개별적인 의식보다는 집단의식이 중요시되고, 개인의 가치보다는 집단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삶의 협력체라 할 수 있다(최병두, 2000; 성희자와 전보경, 2006; 이원훈과 이창수, 2007). 공동을 의미하는 ‘common’과 공동자치제를 의미하는 ‘communal’과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의사소통의 의미를 지닌 ‘communication’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한다(김현진, 2010).
사전적 의미에서의 공공미술이란? 사전적 의미에서의 공공미술 개념은 퍼블릭 아트 (public arts) 즉, ‘공공의 예술’을 공공에게 개방된 장소에 설치된 미술품을 말한다. 공공미술이란 말 그대로의 해석을 본다면 ‘미술’ 또는 ‘예술’과 ‘공적인 가치’의 합성어이다.
기존 커뮤니티 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을 미술 사업은 무엇을 하는가? 마을환경 개선사업에 따른 기존 커뮤니티 와해 문제는 현시대의 주거문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마을 미술사업은 그것이 놓이는 장소의 맥락 중시와 함께 소통의 입장으로 삶의 근간이 되는 공동체의 의미를 읽어내고 지역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공동체의 문제를 표출한다. ‘주어진 바로 그 장소의 적합성(appropriate to the immediate)’과 ‘공동체의 풍부한 반응을 보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공주형,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H. J., 2010, A Study on the Publicity Understanding of Public Art and its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4(2): 371-396. 

  2. Cheon H.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o Promote Livability of Community. Housing Studies 9(1(): 143-172. 

  3. Choi B. D., 2000, Spatial Characterization of the Quality of Life and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80: 321-340. 

  4. Fang X. and M. H. Lee, 2011, Culture Contents Service Design for Regional Revitalization(2)-Focusing on Contests Development of Creative Community Design for Culture Village-.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4): 175-185. 

  5. Ha S. K. and J. I. Kim, 1997,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Policy Themes and Indicator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2(5): 155-168. 

  6. Hillery G. A., 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2): 112-123. 

  7. Hong I. S. and J. Y. Jung, 2004,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y Locality in the Urban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roceedings 24(2): 27-30. 

  8. Hong H. C., 2011, A Critical Study on the Public Art l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Maeul-misul Project Analysis. Institute of Humanities, Chosun university 42: 451-495. 

  9. Hong S. G., 2009,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partment Community with Online Community as a Medium.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9(1): 227-270. 

  10. Jo I. S. and H. K. Shin, 2010, A Study of the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21(10): 161-169. 

  11. Kim H. J., 2010, New Trend on the Types of Public Art Projects Since 2000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198-208. 

  12. Kim H. J., 2010,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the View of Community Activities. Ph D. Thesis, Hanyang Univ. 

  13. Kim J. J., 1991,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onsciousness of Inhabit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7(5): 261-268. 

  14. Kim Y. J. and N. H. Park, 2013,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Community Evaluation Indicator.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5): 81-105. 

  15. Kong J. H., 2011, Public Art as a Social Process.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3): 13-23. 

  16. Lee H. R., 2013, A Study on New Paradigm of Community Media Education. Ph D. Thesis, Chungang Univ. 

  17. Lee S. K., 2012, What Public Means in Public Art and the Changing Shapes of Genre in the Urban Setting. Art History 39: 333-366. 

  18. Lee W. H. and C. S. Lee, 2007,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Oriented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4): 95-113. 

  19. Lee Y. C. and K. H. Kim, 2013, A Comparative Case Study of Neighbourhood Making for Promoting a Local Amen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19(2): 129-138. 

  20. Lee Y. J., 2005,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ences and their Representation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 In the Case of the Korean Traditional Fences of Seoul, Korea. MS Thesis, Seoul Univ. 

  21. Nam K. B. and M. Y. Nam, 2013,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 Focused on the "Golden market, Golden Age" Public Art Project.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6(1): 118-134. 

  22. Oh S. H. and Y. H. Han, 2011, A Case Study of Public Art through Change and Expansion. Korean Institute Spatial Design 6(1): 75-82. 

  23. Park E. Y., 2008, A Study on Planning Rural Landscape Based on the Layer Technique-Focusing on Anhyun Village in Gochang, Guwau Village in Taebaek and Mulgeon-ri in Namha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11-19. 

  24. Sung H. J. and B. K. Jeon, 2006,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Rural Areas. Social Welfare Policy 27: 149-170. 

  25. http://blog.daum.net/nannadaero 

  26. http://s0899.blog.me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