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9, 2014년, pp.255 - 266  

염소림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최유석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가정내 사회적 자본과 우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YPS) 초등학교 4학년 3차-5차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2,30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해 부모-자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정내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부모-자녀 관계의 친밀감과 신뢰,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ies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It also examines whether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ies and depression. This study uses 2,306 adolescents drawn from the $3^{r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세계 10대 청소년의 질병과 장애 원인 1위는?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세계 10대 청소년의 질병과 장애 원인 1위가 우울증인 것으로 나타났다[2]. 정신질환을 지닌 사람의 절반 이상은 14세 무렵에 첫 증세가 나타났다.
청소년 우울에 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그동안 청소년 우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건강, 종교, 과외활동, 학대 및 가정폭력 등 우울의 원인에 관한 연구[3-7], 학교생활 부적응, 학업중단 등 우울의 결과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8-10].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는 주로 청소년의 개인적 속성에 초점을 두었다.
청소년의 우울함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 6%가 울적하거나 불행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1]. 학업부담, 교우 관계 등 스트레스로 인해 일반 청소년의 상당수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 백서, pp.173-174, 2008. 

  2. WHO, "Health for the world's adolescents" report,2014, http://www.who.int/mediacentre/ news/releases/2014/focus-adolescent-health/en/ 

  3. 박경희, "소아, 청소년 비만 예방을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 중재", 가정의학회지, 제25권, pp.519-526, 2004. 

  4. 통계청, 성. 연령.종교별 인구, 2005 인구총조사, www.nso.go.kr, 2005. 

  5. 이선환, 김영희,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아동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복지상담학연구, 제2권, 제2호, pp.85-98, 2007. 

  6. D. Rachel, D. Stephanie, G. David, and K. Harold, Religio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6, No.3, pp.247-251, 2008. 

  7. 윤명숙, 조혜정, "청소년의 폭력경험유형이 우울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 학교폭력, 중복폭력 피해경험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제8호, pp.295-329, 2008. 

  8. 하은혜, 곽진영,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제7권, 제2호, pp.315-331, 2010. 

  9. 이준기, "학업중단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0.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438-446, 2012. 

  11.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S95-S120, 1998. 

  12. 이정선,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 연구, 제4권, 제2호, pp.147-181, 2001. 

  13.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4.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33-341, 2013. 

  15. J. K Yang and C. K. Kim, "Relationships among delinquent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recidivism of juvenile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10, No.2, pp.101-121, 2002. 

  16. 조성은, 여고생의 우울과 자살관념 감소를 위한 인지적 집단상담의 효과, 전남대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91. 

  17. APA, Diagnostic and Statist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IV), 1994. 

  18. Lee, E. S.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002. 

  19. 김명식, "일 도시의 남녀 중학생 우울증 유별율과 우울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645-958, 2008. 

  20. 김기정, 고등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요인.취약요인.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1. 손병덕,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적 변인에 관한 고찰", 한국 아동권리학회, 제13권, 제4호, pp.481-510, 2009. 

  22. 김현순,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203-225, 2009. 

  23. D. L. Evans and L. W. Andrews, If your adolescent has depression or bipolar disorder,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M. Empfield and N. Bakalar, Understanding teenage depression,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2001. 

  25.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 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986. 

  26.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G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93. 

  27. F. Fukuyama, 구승희역, 1996, 트러스트: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한국경제신문사, 1995. 

  28. V. E. Lee and R. G. Croninger, Social capital and children's development: The case of education, ED pp.412-629, 1996. 

  29. 서혜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0. 김연희, 김선숙, "사회자본이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33권, pp.103-127, 2008. 

  31. 신원영,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회, 제32권, pp.7-32, 2010. 

  32. 김경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교육사회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1-40, 2000. 

  33. 김은정,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연구", 가족과 문화, 제18권, 제3호, pp.33-61, 2006. 

  34. 김태균,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의 관계- ARCL모델을 적용한 종단연구", 제4회 한국 청소년 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010. 

  35.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 1967. 

  36. 이미자, 모둠일기 활동이 중학생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7. 임수경,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8. Harter,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53, pp.87-97, 1982. 

  39. Harter, Manual for the self 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 Denver, CO: University of Denver, 1988. 

  40. 권현수, 양성은, 오종은, 이미경, 정안나, 최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연구", 부학, 제26권, pp.89-92, 1993. 

  41. 이정선, 이형실, "청소년의 우울 관련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4권, 제4호, pp.77-89, 2012. 

  42. J. S. Lee, Study o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in childhood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neung, Korea, 1998. 

  43. Y. K. Oh,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on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08. 

  44. A. K. Kim, Social behavior i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relationships to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2, No.3, pp.271-285, 2001. 

  45. 윤경희, "영재의 가정환경, 자아개념, 학업성적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제17권, 제2호, pp.331-353, 2003. 

  46. 손진희, 김안국, "가정환경, 자아개념, 자기학습량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고용패널학술대회, pp.385-409, 2005. 

  47. N. H. Chubb, C. I. Fertman, and J. L. Ross, Adolescent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a longitudinal study of gender and age differences, Adolescence, 1997. 

  48.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49. Beck, Cognitive therapy and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 sities Press, 1967. 

  50. 이경님,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인과모형", 생활과학 연구논집, 제10권, pp.41-56, 2002. 

  51. 김연, 우울증의 귀인모형에 관한 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5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VI- 초등 5차 설문지, 2010. 

  53.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9-129, 1974. 

  54. 노충래, 김설희,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연구, 제39권, pp.39-68, 2012. 

  55. Baron and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6. 정선아, 하양숙,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27-23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