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2, 2020년, pp.189 - 197  

윤현정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secondary data, middle school student p...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기의 복합적인 변화양상을 체계적이고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개별 대면면접으로 조사된 2018년도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24]의 중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청소년의 우울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성별, 학업성적, 학교생활 만족, 경제수준, 스마트폰 사용 시간, 운동시간[20,25-27] 등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중학교 청소년의 우울에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8년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중학교 자료를 이용하여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중학교 청소년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청소년과 그 부모로부터 대면조사를 통해 조사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신뢰도와 대표성을 지닌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초기 청소년기인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시간, 수면의 질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청소년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 중학교 청소년의 수면시간은 8시간 미만인 경우가 57.
  • 본 연구는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로,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적의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것은? 적당한 수면은 일생에 걸쳐서 최적의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1]. 특히 청소년기는 빠른 신체 성장과 증가된 활동에 의한 피로감으로 수면 요구가 크게 증가되는 시기로 충분한 양과 질의 수면은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있어 필수적이다[1,2].
청소년의 수면상태과 밀접한 관련된 것은? 청소년의 수면상태는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적정 수면량을 가진 청소년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고, 주관적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
적정 수면량을 가진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상태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청소년의 수면상태는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적정 수면량을 가진 청소년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고, 주관적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 또한 수면의 질이 낮은 비숙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이 숙면을 취하는 청소년들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기분 및 자살 영역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ixon GM, Thompson JM, Han DY, Becroft DM, Clark PM, Robinson E, et. al. Short sleep duration in middle childhood: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Sleep. 2008;31(1):71-78. https://doi.org/10.1093/sleep/31.1.71 

  2. Kim YH, Kwon BS, Nam HK, An MS, Yang YO, Oh SE. Wong's essentials pediatric nursing. Seoul: Hyunmoon Co; 2010. p. 669-670. 

  3. You MA, Kang NG, Lee HJ. Relationships between sleep habits, daytime sleepiness and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5):305-315. https://doi.org/10.14400/JDC.2017.15.5.305 

  4. Carskadon MA.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of adolescents. In: Carskadon MA, ed. Adolescent sleep patterns: b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p. 4-26. 

  5. Joe SK, Lee SY. A study of longitudinal chang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2020;31(1):5-32. http://doi.org/10.14816/sky.2020.31.1.5 

  6. Choi CU, Hwang SY, Yoo MS, Lee MH, Kim JH, Moon JH.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comprehensive report for human rights statu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8 December. Report No. : 18-R12. 

  7. Zhang J, Paksarian D, Lamers F, Hickie IB, He J, Merikangas KR. Sleep patterns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in US adolescents.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7;182:137-143. https://doi.org/10.1016/j.jpeds.2016.11.007 

  8. Hirshkowitz M, Whiton K, Alessi C, Bruni O, DonCarlos L, Neubauer DN, et al. National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Sleep Health. 2015;1(1):40-43. https://doi.org/10.1016/j.sleh.2014.12.010 

  9. Park HS, Kim GD, Kim KH, Chung BY. Comparison of quality of sleep and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sleep among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0;9(4):429-439. 

  10. Lee SS, Kim BN, Park S, Park MH.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 in Seou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7;56(2):78-83. https://doi.org/10.4306/jknpa.2017.56.2.78 

  11. Kim SJ, Chung IJ.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youth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paren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6;37(3):13-26. https://doi.org/10.5723/kjcs.2016.37.3.13 

  12. Lee J, Kang J, Rhie S, Chae KY.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013;21(3):100-110. 

  13. Yun HJ. Effect of stress and sleep quality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6;29(2):98-10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2.98 

  14. Park HJ. Effect of sleep durat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1):1-9. https://doi.org/10.15434/kssh.2015.28.1.1 

  15. Saluja G, Iachan R, Scheidt PC, Overpeck MD, Sun W, Giedd JN.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04;158(8):760-765. https://doi.org/10.1001/archpedi.158.8.760 

  16. Choi JH, Jeon JA.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its relationship with health behavio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245:72-83. 

  17. Kim MS. The study of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school adjust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y. 2009;1(2):53-67. 

  18. Ha YH. Effect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4;12(2):42-52. 

  19. Akerstedt T, Hume K, Minors D, Waterhouse J. The meaning of good sleep: a longitudinal study of polysomnography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Journal of Sleep Research. 1994;3(3):152-158. http://doi.org/10.1111/j.1365-2869.1994.tb00122.x 

  20. Lee EJ, Ma RW.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time and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4):533-542. http://doi.org/10.35873/ajmahs.2018.8.4.048 

  21. Raniti MB, Allen NB, Schwartz O, Waloszek JM, Byrne ML, Woods MJ, et al.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associ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across adolescence. Behavioral sleep medicine. 2017;15(3):198-215. https://doi.org/10.1080/15402002.2015.1120198 

  22. Stice E. Risk and maintenance factors for eating pathology: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2002;128(5):825-848. http://doi.org/10.1037/0033-2909.128.5.825 

  23. Twenge JM, Nolen-Hoeksema S. Age, gender,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birth cohort difference on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meta-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2002;111(4):578. http://doi.org/10.1037//0021-843x.111.4.578 

  24.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User's Guide. National Sejong: Youth Policy Institute;2019 [cited 2020 February 7]. Available from:http://www.nypi.re.kr/archive 

  25. Yun HJ. Effect of body image distortion o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8;43(3):191-199. https://doi.org/10.21032/jhis.2018.43.3.191 

  26. Kang MJ, Lee MS.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s with smartphon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5):147-158. http://doi.org/10.14367/kjhep.2014.31.5.147 

  27. Lim YB, Kim JW, Hong SB, Kim JW. Association between BDNF and antidepressant effects of exercise in youth: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6;27(1):72-81. https://doi.org/10.5765/jkacap.2016.27.1.72 

  28. Kim KI, Kim JH, Won HT.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Jung Ang Juk Sung Publisher;1984. p. 10. 

  29. Kim KH. Mediating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on sleep length through depression and school mal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5;32(1):87-114. http://doi.org/10.20993/SSW.32.4 

  30. Chung EH, Lee S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Studies on Korean Youth. 2017;28(3):119-146. http://doi.org/10.14816/sky.2017.28.3.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