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청소년에서 뇌파 이상
Electroencephalographic Abnormal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3, 2014년, pp.156 - 162  

김양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고태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염미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은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효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s of electroencephalographic (EEG) abnormalities and epileps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addition, we intended to identify demographic and clinical correlates of epilepsy in ASD. Methods : A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료를 보았던 전문의가 본인이 작성한 의료기록을 검토하여 진단을 확인하였다. DSM-IV-TR에서는 자폐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를 함께 진단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두 질환의 증상을 모두 보이는 경우 뇌파 및 뇌전증을 보인 ASD 아동청소년에서 ADHD가 더 흔히 나타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께 진단하였다.
  • 특히 기존 국내 연구에서 ASD 아동청소년의 뇌파 이상 및 뇌전증의 유병률은 해외 연구에 비해서 낮았는데, 이는 국내 연구에서는 13세 이상의 ASD 아동청소년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연구대상을 18세 이하로 확대하면 기존 해외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넓은 연령 범위의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파 이상 및 뇌전증의 유병률을 확인하고, 정신과적 동반 질환 및 약물 사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임상 정보를 이용하여 뇌파 이상 및 뇌전증의 발병과 관련된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전증을 동반하는 경우 연령이 더 많고 평균 IQ가 더 낮으며 항정신병 약물 사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보다 넓은 연령범위의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파 이상 소견 및 뇌전증의 유병률을 확인하고, 뇌전증의 발병과 관련된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SD 아동청소년에서 지적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특히 중등도 이상의 지적장애인 경우, 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경련유사행동은 근육톤이 증가되면서 움찔수축(twitching) 및 리듬성의 움직임을 보이는 불수의 운동으로,35) 경련유사행동을 보인 경우 이후에 뇌전증으로 확진된 경우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련유사행동을 보여 뇌파를 시행한 군과 기질성 질환의 평가를 위해 검사를 시행한 군에서 뇌파 및 뇌전증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 보다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전증이 있는 ASD 아동청소년에서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된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정신병약물은 모든 환자에서 자해행동, 상동행동 등 행동문제조절을 위하여 처방된 것이었다. ASD 아동청소년에서 약물 사용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는 나이가 많고 더 심한 행동증상을 보이고 중증 MR을 가지며 가족 이외 따로 사는 경우에 약물 사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중인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파 이상 빈도 및 뇌전증의 유병률을 살펴보았다. 140명의 ASD 아동청소년 중 약 3분의 2에서 뇌파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고, 약 3분의 1이 뇌전증을 동반된 것으로 진단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약 60%의 ASD 아동청소년에서 경련이 의심되는 증상이 없이 기질성 뇌질환의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뇌파를 시행하였다. 현재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및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등 각국의 임상 지침에서는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파는 임상적으로 뇌전증이 의심되거나 퇴행 등 증상이 있는 경우에 시행하고, 기본적인 검사로는 시행하지 않는 것을 추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제한된 관심사,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이다. ASD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SM-5)1)가 나오기 전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온 용어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DSM-IV-TR)2)에서자폐장애(autistic disorder), 레트장애(Rett’s disorder), 소아기 붕괴성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아스퍼거장애(Asperger’s disorder),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로 분류되었던 전반적 발달장애를 증상의 연속선상에 있는 질환으로 보았다.
ASD 아동청소년의 뇌파 이상 및 뇌전증 유병률은 일반인에 비해 얼마나 더 높은가? 9-12) 뇌전증으로 진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뇌파 이상이 흔히 관찰되는데 이전 연구들에서는 경련 증상이 없는 ASD 아동청소년의 뇌파에서 6-60% 정도가 뇌파 이상을 보였다.12-15) 이는 일반인에서 뇌파 이상 유병률인 1% 및 뇌전증 유병률인 2-3%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16)
ASD 아동청소년의 뇌파 이상 유병률 증가와 연관된 인자는 무엇인가? ASD 아동청소년에서 뇌파 이상 유병률 증가와 연관된 인자는 상동행동, 공격성, 퇴행, 지적장애 등이 있었다.10,17-19) 또한 여성이거나, 연령이 많은 경우, 지적장애가 동반된 경우, 적응이 어려운 경우, 언어능력이 높지 않은 경우, 이미 습득했던 능력의 퇴행(regression)이 있는 경우, 증후군성(syndromic) ASD인 경우 뇌전증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3. Volkmar FR, Lord C, Bailey A, Schultz RT, Klin A.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4;45:135-170. 

  4. Jang WS, Hong SD, Shin SH. The Effect of Donepezil on Language Function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64-68. 

  5. Baird G, Simonoff E, Pickles A, Chandler S, Loucas T, Meldrum D, et al. Prevalence of disorders of the autism spectrum in a population cohort of children in South Thames: the Special Needs and Autism Project (SNAP). Lancet 2006;368:210-215. 

  6. Fombonne E. Epidemiology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ediatr Res 2009;65:591-598. 

  7. Kim YS, Leventhal BL, Koh YJ, Fombonne E, Laska E, Lim EC, et al.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total population sample. Am J Psychiatry 2011;168:904-912. 

  8. Aman MG.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 Clin Psychiatry 2005;66 Suppl 10:38-45. 

  9. Kawamura Y, Takahashi O, Ishii T. Reevaluating the incidence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mpact of elevated rates of detec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of screening in Toyota, Japan. Psychiatry Clin Neurosci 2008;62:152-159. 

  10. Danielsson S, Gillberg IC, Billstedt E, Gillberg C, Olsson I. Epilepsy in young adults with autism: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of 120 individuals diagnosed in childhood. Epilepsia 2005;46:918-923. 

  11. Fombonne E. Is the prevalence of autism increasing? J Autism Dev Disord 1996;26:673-676. 

  12. Hughes JR, Melyn M. EEG and seizures in autistic children and adolescents: further findings with therapeutic implications. Clin EEG Neurosci 2005;36:15-20. 

  13. Mandell DS.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 Autism Dev Disord 2008;38:1059-1065. 

  14. Canitano R, Luchetti A, Zappella M. Epilepsy, electroencephalographic abnormalities, and regression in children with autism. J Child Neurol 2005;20:27-31. 

  15. Chez MG, Chang M, Krasne V, Coughlan C, Kominsky M, Schwartz A. Frequency of epileptiform EEG abnormalities in a sequential screening of autistic patients with no known clinical epilepsy from 1996 to 2005. Epilepsy Behav 2006;8:267-271. 

  16. Tuchman R, Rapin I. Epilepsy in autism. Lancet Neurol 2002;1:352-358. 

  17. Hashimoto T, Sasaki M, Sugai K, Hanaoka S, Fukumizu M, Kato T. Paroxysmal discharges on EEG in young autistic patients are frequent in frontal regions. J Med Invest 2001;48:175-180. 

  18. Mulligan CK, Trauner DA. Incidence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epileptiform abnormaliti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J Autism Dev Disord 2014;44:452-458. 

  19. Tuchman RF, Rapin I. Regression i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seizures and epileptiform electroencephalogram correlates. Pediatrics 1997;99:560-566. 

  20. Miles JH, Takahashi TN, Bagby S, Sahota PK, Vaslow DF, Wang CH, et al. Essential versus complex autism: definition of fundamental prognostic subtypes. Am J Med Genet A 2005;135:171-180. 

  21. Hara H. Autism and epilepsy: a retrospective follow-up study. Brain Dev 2007;29:486-490. 

  22. Viscidi EW, Triche EW, Pescosolido MF, McLean RL, Joseph RM, Spence SJ,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occurring epilepsy. PLoS One 2013;8: e67797. 

  23. Amiet C, Gourfinkel-An I, Bouzamondo A, Tordjman S, Baulac M, Lechat P, et al. Epilepsy in autism is associat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der: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Biol Psychiatry 2008;64:577-582. 

  24. Spence SJ, Schneider MT. The role of epilepsy and epileptiform EEG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Pediatr Res 2009;65:599-606. 

  25. Blatt GJ. The neuropathology of autism. Scientifica (Cairo) 2012; 2012:703675. 

  26. Rapin I, Katzman R. Neurobiology of autism. Ann Neurol 1998;43: 7-14. 

  27. DeLong GR, Heinz ER. The clinical syndrome of early-life bilateral hippocampal sclerosis. Ann Neurol 1997;42:11-17. 

  28. Sutcliffe JS. Genetics.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autism. Science 2008;321:208-209. 

  29. Ogawa S, Kwon CH, Zhou J, Koovakkattu D, Parada LF, Sinton CM. A seizure-prone phenotype is associated with altered free-running rhythm in Pten mutant mice. Brain Res 2007;1168:112-123. 

  30. Sharma A, Hoeffer CA, Takayasu Y, Miyawaki T, McBride SM, Klann E, et al. Dysregulation of mTOR signaling in fragile X syndrome. J Neurosci 2010;30:694-702. 

  31. Just MA, Cherkassky VL, Keller TA, Kana RK, Minshew NJ. Functional and anatomical cortical underconnectivity in autism: evidence from an FMRI study of an executive function task and corpus callosum morphometry. Cereb Cortex 2007;17:951-961. 

  32. Stafstrom CE, Hagerman PJ, Pessah IN. Pathophysiology of epilepsy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Noebels JL, Avoli M, Rogawski MA, Olsen RW, Delgado-Escueta AV, editors. Jasper's Basic Mechanisms of the Epilepsies. 4th ed. Bethesda, MD: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2012. 

  33. Kim MA, Kim SW, Kim YK, Chung HJ. Epilepsy, EEG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9;17:58-69. 

  34. Lee H, Kang HC, Kim SW, Kim YK, Chung HJ. Characteristics of late-onset epilepsy and EEG finding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Korean J Pediatr 2011;54:22-28. 

  35. Walder B, Tramer MR, Seeck M. Seizure-like phenomena and propofol: a systematic review. Neurology 2002;58:1327-1332. 

  36. Volkmar FR, Nelson DS. Seizure disorders in autism.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0;29:127-129. 

  37. Rossi PG, Parmeggiani A, Bach V, Santucci M, Visconti P. EEG features and epilepsy in patients with autism. Brain Dev 1995;17: 169-174. 

  38. Kawasaki Y, Yokota K, Shinomiya M, Shimizu Y, Niwa S. Brief report: electroencephalographic paroxysmal activities in the frontal area emerged in middle childhood and during adolescence in a follow-up study of autism. J Autism Dev Disord 1997;27:605-620. 

  39. Filipek PA, Accardo PJ, Ashwal S, Baranek GT, Cook EH Jr, Dawson G, et al. Practice parameter: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m: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Child Neurology Society. Neurology 2000;55:468-479. 

  40. Johnson CP, Myers SM;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uncil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ediatrics 2007;120:1183-1215. 

  41.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Autism: recognition, referr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s on the autism spectrum (Clinical guideline 142) 2012. Lond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updated 2012 Jun; cited 2014 Jun 11]. Available from URL: http://guidance.nice.org.uk/CG142 

  42. Kanemura H, Sano F, Tando T, Sugita K, Aihara M. Can EEG characteristics predict development of epilepsy in autistic children? Eur J Paediatr Neurol 2013;17:232-237. 

  43. Tuchman R, Cuccaro M, Alessandri M. Autism and epilepsy: historical perspective. Brain Dev 2010;32:709-718. 

  44. Saemundsen E, Ludvigsson P, Rafnsson V.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fter infantile spasms: a population-based study nested in a cohort with seizures in the first year of life. Epilepsia 2008;49: 1865-1870. 

  45. Unal O, Ozcan O, Oner O, Akcakin M, Aysev A, Deda G. EEG and MRI findings and their relati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World J Pediatr 2009;5:196-200. 

  46. Hrdlicka M, Komarek V, Propper L, Kulisek R, Zumrova A, Faladova L, et al. Not EEG abnormalities but epilepsy is associated with autistic regression and mental functioning in childhood autism.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13:209-213. 

  47. Howlin P, Goode S, Hutton J, Rutter M. Adult outcome for children with autism.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4;45:212-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