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553 - 5563  

김안나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적 관계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AMOS 18.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ole performance with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00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working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직무스트레스 요인 규명의 자료로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교사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탐색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역할수행에 영향을 받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의 영향을 받는다는 경로를 가설로 세워볼 수 있다. 여기서 교사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살펴보고자하는 것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해도 교사효능감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할 수행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란 무엇인가? 특히 유아교사는 어린 영유아를 대상으로 장시간 교육하고 보호하는 일로 인해 초x중등교사보다 더 다양하고 복잡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으며(강문숙, 황해익, 2008; 오선균, 2001), 그로인해 직무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여기서 직무란 직책 또는 법령에 의해 정해진 직업상의 사무, 책임을 지고 담당하는 맡아보는 사무(한국어사전, 1984)로서 역할, 과업, 임무 또는 책임 등의 개념과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으나 그 의미에 강조점이 약간씩 다르다. 즉, 직무는 한 조직 구성원 개인에 할당되어 개인이 수행해야 할 의무를 가진 일정한 종류와 책임 및 범위의 일로서 직위에 부여된 일을 의미한다(이완정, 1995).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적 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무엇인가? 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겪는 직무스트레스가 가져오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교사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이나 성질뿐만 아니라 교사가 역할을 수행하는 학교 조직 내의 직무 관련 요인 및 직무 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그 사람의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조건을 변화시켜 정상적인 기능으로부터 이탈하는 상태이다(박영운, 1996). 교사가 겪는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열의와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성영혜, 이은진, 1999), 정상적인 기능을 이탈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의 자존심, 안녕, 건강, 책무성, 업무수행 등을 위협하고 적응 장애를 초래한다(강혜경, 2001). 뿐만 아니라 교사가 직무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직무만족도가 떨어지며, 직무수행도 낮아진다(Blase,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M. S. & Hwang, H. I. (2008). Analysis Job Contents of Child Car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4(2), 57-80. 

  2. Oh, S. K. (2001).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in Korea.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University. 

  3. Lee, Y. J. (1995).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Journal of Student Life Research, 16, 59-108. 

  4. Mcfadden, (1980). Study guide for the third edition of Keeton's biological science. New York : Norton. 

  5. Park, Y. W. Fitting Effects of Hearing Aids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6. Seong, Y. H. & Lee, E. J. (1999). Nursery teachers' stress at work and its effects on nursing activities. The Journal of Life Science Research, 14(1), 143-159. 

  7. Kang, H. K. (2001). Study on the Effects of Daycare Teachers' Job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8. Blase, J. J. (1982), 'A Social-Psychological Grounded Theory of Teacher Stress and Burno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18, 93-113. DOI: http://dx.doi.org/10.1177/0013161X82018004008 

  9. Kang, J. W. (2006). The Effects of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s on Teaching Str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7(1), 17-30. 

  10. Moon, S. L. (2008). A Child Behavior Instruction takes place in a kindergarten classroom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11. Parkay (1990) Becoming a teacher : accepting the challenge of a profession. Montpelier, VT ; Boston : Allyn and Bacon. 

  12. Lee, H. R. & Kim, A. Y. & Cha, E. J. (2011).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and Teaching Flow. Th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25(3), 671-691. 

  13. Yeo, E. J. & Lee, K. O. (2004). Examining Varibles related to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c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4), 175-192. 

  14. Cheon, H. J. (2010). The Effects of Nursery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5. Kim, H. J. (2002).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6. Lee, H. M. (2009).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 on Job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6, 187-208. 

  17. Lim, J. H. (1999). Relations Among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8. Jung, M. (2002). A Relation between the efficiency of children's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role erforming ability.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5, 194-206. 

  19. Jung, H. J. (2008).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Role Execu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A University. 

  20. Jung, E. A. (200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Job Stress of Kindergarte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21. Cheon, H. S. & Cho, E. J.(2011). An Analysi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s Perceiv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Variables Affecting Such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2(4), 167-183.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1.32.4.167 

  22. Saracho, O. N. (1988).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3.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 (8), 695-706. 

  24. Kim, Y. H & Song, S. M. (2005). A Study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Their Efficacy on Job Performa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c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5(6), 1-24. 

  25. Clark, C. L.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perceived by public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26. D'Arienzo, R. V., Moraco, J. C., & Krajewski, R. J. (1982). Stress in 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7. Kim, J. H.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stre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28. Kim, S. Y. & Lee, K. O. (2005).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fficacy and Its Measurement Structure.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5(3), 267-288. 

  29. Han, S. S. & Lim, M. H. (2003). A Study on Identifying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 207-240. 

  30. Ryu, Y. S. (2008). A Study on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2, 42-61. 

  31. Greebwood, G. E., Olejnik, S. F., & Parkay, F. W. (1990). Relationship between four teacher efficacy belief patterns and selected teach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Research & Development in Education, 23, 102-106. 

  32. Van Dick, R., & Wagner, U. (2001). Stress and strain in teaching: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243-259. DOI: http://dx.doi.org/10.1348/000709901158505 

  33. Park, E. J. & Moon, T. H. (2001). The influence of perceived job stress,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1(2), 75-96. 

  34. Jorde-Bloom, P. (1988).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 107-122. DOI: http://dx.doi.org/10.1080/02568548809594933 

  35. Lee, H. J. (2010). A Study of influence of variable that affects upon th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professional.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36. Lee, J. H. & Ahn, H. J.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3(4), 129-141.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2.33.4.1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