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26 - 133  

문명화 (남곡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직의식,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 동료애, 보상이 높을수록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부담이 높을수록 언어적 상호작용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다. 즉,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정적인 유의한 관계가 있다. 셋째, 교사- 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삶의 만족도(β= .24), 발전성(β= .22), 동료애(β= .16) 순이고, 그 설명변량은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in kindergarten teachers. The tests of Job satisfaction scale, Life Satisfaction scale,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scale were administered to 320 public and private k...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밀접하고 직접적인 변인임에도 함께 다룬 연구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개인 내적 변인으로 영역특수적인 직무만족도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대인관계의 하나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밝히고자한다.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 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전략의 이론적, 경험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어떤 것을 표방하는가?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으로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아 주도적 놀이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한다. 교수·학습에서 유아가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교사가 지원해야하며, 놀이를 통해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유아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 밀접히 능동적으로 일어나도록 해야한다[4].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면?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들을 향후 연구에서는 종합적이고 구조적인 방법으로 통계적 검증을 하여 구조적 관계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경기도와 강원도 공·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표집이 이루어져 표집의 대표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고하자는 하는 주관적인 평정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유치원에서 높은 수준의 교사 자질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유치원은 가정의 대체재로서사회적 기능을 해야 하기에 높은 수준의 교사 자질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유아교육은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적합한 지도방법의 특수성으로 인해 그 교육의 성과 역시 교사의 자질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L. Lim. (1995). Reinventing Student Teaching Program. Research in education, 4, 77-97. 

  2. J. A. Ohm. (2001). Exploring the direction in Linking play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5(3), 1-25. 

  3. M. H. Lee. (2003). The Effect of dialogic picture book r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oddler.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4.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9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5. C. Howes. (1997). Children's experiences in center-based childcare as a function of teacher background and adult:child ratio. Merrill-Palmer Quarterly, 43, 404-425. 

  6. S. H. Birch & G. W. Ladd.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1-79. 

  7. M. J. Song. (2015). Development Psychology, Hakjisa. 

  8. S. Bredekamp. (198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9. R. C. Pianta, S. L. Nimetz & E. Bennett. (1997). Mother-Child Relationship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263-80. 

  10. H. S. Cho. (2000). The Effects of Teacher Intervention on Young Children's Narration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4), 5-35. 

  11. M. A. Choi. (2000). A Study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the Kindergartens. Master's thesis of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2. C. E. Park & S. Y. Hwang. (2012). A study of the Chang for the Nonsocial Behavio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er Relationship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1), 325-349. 

  13. S. Y. Ahn (2000). A Study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ren-children interaction in free choice activity.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14. J. S. Lee. (2003). An Analysis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based teacher career and child years.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Keimyung University. 

  15. Y. H. Joo. (2004). 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beginn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16. S. Y, Heo & H. A. Seo. (2014).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relative to the Level of their view of teaching as a profess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34(4), 423-440. 

  17. S. Y. KIM. (2014). Analysis of the Structur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Sence of Happiness, Enthusiasm for the Teaching Profession,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Efficacy, and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Doctoral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18. E. Diener.(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9. E. Diener & F. Fujita. (2005). Resources, personal strivings, and subjective well-being: A nomothetic and idiographic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926-935. 

  20. S. M. Oh.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Gachon University 

  21. M. S. KIM. (2015).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22. K. Y. KIM. (2014). Effect of empowerment and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on interac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infants.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Kyonggi University. 

  23. J, H. Ro. (2001).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Journal of Esucational Administration, 19(2), 163-181. 

  24. M. H. Cho & K. H. Cha. (1998). International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 

  25. K. H. Cha. (2004).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321-338. 

  26. E. H. LEE. (1995).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Child Development. Seoul: Gyomoon 

  27. G. M. LEE. (2005).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Chungnam University. 

  28. J. Y. PARK. (2012).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P Educational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up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Chungang University. 

  29. J. H. AN. (2014).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nce of happiness of child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oongsil University. 

  30. E. J. Park. (2016).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Children.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oongsil University. 

  31. Y. H. Han. (2015). The influence of teacher empowerment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children teacher interaction.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Distance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