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칭) 해양경찰기본법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islation Directions of FRAMEWORK ACT ON KOREA COAST GUARD(tentative name)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3 = no.25, 2014년, pp.396 - 407  

Son, Yeongtae (Marine Safety Office,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초록

정부에서는 최근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의 구조조치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해양경찰청 해체를 2014년 5월 19일 발표했다. 그러나 정치계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 일각에서는 일본 등 주요 해양국가의 해양경찰기관과 비교해서 그 위상 저하로 인해 우리영해 해양주권 수호 및 해양경비 기능의 약화를 거론하고 있다. 1953년 창설된 해양경찰은 우리나라 해양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중 가장 체계적인 인프라구축 및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찰이 담당하고 있는 해양에서의 각종 임무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무조건적인 해체보다는 해양경찰 기능을 충실히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좀 더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대안으로 해양경찰 업무 전반을 반영할 수 있는 통합된 법률인 가칭 '해양경찰기본법'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해양경찰이 직면한 현 주소를 통해 해양경찰에 있어서의 가장 이상적인 법체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th May 2014,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KCG(Korea Coast Guard) is dissolved regarding responsibility for recently accident which is Sewol ferry disaster. But KCG, a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maritime sovereignty of South Korea; the most basic and indispens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월호 침몰사고의 책임으로 무엇이 결정되었는가? 2014년 4월 16일 300여명의 희생자를 낸 세월호 침몰사고는 우리나라 해양재난 대응능력의 현실을 여지없이 보여주었으며,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는 해양경찰의 미흡한 구조조치의 책임을 물어 해양경찰 해체를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정부에서는 강력한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구축을 통해 종합적이고 신속한 재난안전 대응 및 수습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안전처 신설 및 해양경찰청 폐지 등을 주요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이다.
해양경찰의 문제는 무엇인가? 한편, 이번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서 일각에서는 해양경찰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해양경찰은 본연의 해양안전 및 구조 임무를 등한시 하고 정보․수사 분야에 편중하는 등 조직의 몸집 부풀리기에 치우쳤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이와 같은 해양경찰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다음의 사례에서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직설립의 근거가 되는 별도의 개별 조직법의 부재로 야기할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또한 제도적 측면에 있어서의 해양경찰은 동법 이외 조직설립의 근거가 되는 별도의 개별 조직법을 두고 있지 못하고 있는 반면, 육상경찰은 조직설립의 근거를 「경찰법」에 두고 있는 것과 비교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해양경찰조직과 관련된 법률의 부재는 조직기능의 정체성 및 신분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해양경찰은 제도적으로 불안정한 외부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알리기에 중점을 둔 다양한 정책 추진을 통해서 보다 안정적인 조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CG. (2013). "Korea Coast Guard White Paper.", pp. 335-345. 

  2. Park Yeong Do. (1993). "Position on the Legislation of the FRAMEWORK ACT."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No. 5, pp. 274-275; 283-284. 

  3. Son Yeong Tae. (2011). "The Research on the Police Organization Act Legislation Directions of Korea Coast Guard." the Institute of Comparative Law and Legal Culture of College of Law, Dongguk University, Vol. 11, No. 2, pp. 255-260. 

  4. Song Byeong Ho.Choi Kwan. (2006). "A Study on Transnational Maritime Crime in South Korea : The Actual Condition of Maritime Police Response Analysis." The Journal of Police Science, Vol. 6, No. 3, pp. 37-40. 

  5. Kim Sang Ho et al. (2005).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Bobmun Sa Publishing, Seoul. 

  6. Kim Yeong Hwan. (2000). Police Laws Explanation. Hyun Nam Publishing, Gwangju. 

  7. Korea Coast Guard Academy. (2007). Japan Coast Guard Law Explanation. KCG, Yeosu. 

  8. Lee Sang Yeol et al. (2005). Police Administration. Bobmun Sa Publishing, Seoul. 

  9. Son Yeong Tae. (2014). Legal System in Korea Coast Guard Relevant Laws. jisikin Publishing, Seoul. 

  10. Kim Hyun (2005). A Study of the Restructuring of Korea Maritime Police Function.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1. Kim Tae Jin. (2005). A Study of the Improvement Measure of Korean Police Legal System. LL.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12. Koh Young Wan.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Integration of Police Legal System in Korea : Focusing on the Police Act and Police Office Executive Act. LL.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13. Hong Jun Hyeong et al. (1997). A Study on the Police Integration Act. Police Science Institute, 97-03, Yongin. 

  14. Japan Coast Guard (http://www.kaiho.mlit.go.jp) 

  15. Korea Coast Guard (http://www.kcg.go.kr) 

  1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law.go.kr) 

  17.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http://www.gpo.gov)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