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er Employment Size of Korea Coast Guard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4 no.8 = no.154, 2010년, pp.679 - 685  

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경찰조직에 적합한 표준정원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를 산출하기 위한 표준정원모형은 Y(인력수) = 상수 + (B$\times$범죄발생건수) + (B$\times$일반회계총결산액) + (B$\times$해양경찰 함정수) 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를 산출한 결과, 해양경찰청의 표준정원은 7,369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a proper size of Korea Coast Guard. To attain this goal, this study constructed an experimental standard quota model then calculated the proper number of employees of Korea Coast Guar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mula of the model con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객 제일주의의 해양치안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로서 경찰공무원법, 해양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임용령 및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등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2) 등의 관련법을 중심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적정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해양경찰조직에 적합한 표준정원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 해양경찰공무원 개인이 담당하는 업무를 적정하게 분담시켜 사기를 진작시키고, 뿐만 아니라 업무량에 부합한 인력을 배치하여 새로운 해양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탄력적이고 신축적인 정원관리가 필요하다(이, 1995).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객 제일주의의 해양치안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로서 경찰공무원법, 해양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임용령 및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등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2) 등의 관련법을 중심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적정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해양경찰조직에 적합한 표준정원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서론에서 밝혔듯이 고객 제일주의의 해양치안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경찰조직에 적합한 표준정원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경찰조직이 외부환경 속에서 적응 및 유지 발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처럼 오늘날 해양경찰조직을 둘러싼 외부환경과 해양관련 서비스 요구도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경찰조직도 외부환경 속에서 적응 및 유지 발전하기 위하여 경찰계급별 인력구조개선, 파출소 운영체제 개편 등의 조직과제들을 추진하고 있다(김 외 1인, 2010). 그러나 한정된 재정자원을 가지고서 어떻게 이러한 환경변화와 서비스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일본, 중국과 어업분쟁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4년 UN해양법의 발효 이후 해양을 접하고 있는 모든 나라는 더 많은 해양관할권과 해양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1996년에 선포된 배타적 경제수역은 200해리까지의 경제수역에서 주권적 권리를 연안국에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해당사국간에는 해양주권과 관련된 갈등과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3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어, 인접하고 있는 일본 및 중국과 어업분쟁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게다가 국민소득의 증가로 인해 해양레저 및 해양관광 수요가 급증하여 이로 인한 해안치안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박, 2010).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기본자료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객 제일주의의 해양치안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해양경찰청의 적정 인력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로서 경찰공무원법, 해양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임용령 및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등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2) 등의 관련법을 중심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적정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해양경찰조직에 적합한 표준정원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성철(1998), 부산광역시 자치구의 적정인력규모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2권, 제2호, pp.151-152. 

  2. 경찰청(2010), 경찰공무원법 

  3. 김렬·권영주·유근환·이정훈(2004), 경찰공무원 승진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사화와 행정연구, 제14권, 제4호, p.380. 

  4. 김병국(1988), 지방자치단체의 지방공무원정원모형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제31호, pp.14-15. 

  5. 김병국(1992),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정원관리 적정화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제73호, pp.23-24. 

  6. 김상구·박재홍(2010), 해양경찰 파출소 조직의 건강성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근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1호, p.83. 

  7. 박재홍(2010), 해양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8. 이명석(1998), 지방자치단체공무원 규모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2권 제2호, pp.187-188. 

  9. 이상호(1995),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정원관리에 관한 가치지향적 접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3. 

  10. 최순영(2006), 경찰공무원 인사제도 개혁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7권, 제2호, p.210. 

  11. 홍응우(1991), 중소도시정부의 부문별 적정정원의 결정 요인, 지방과 행정연구, 제3권, 제1호, pp.172-180. 

  12. 해양경찰청(2003), 해양경찰백서, pp. 231-232. 

  13. 해양경찰청(2005), 해양경찰백서, pp. 306-307. 

  14. 해양경찰청(2008), 해양경찰백서, pp. 402-403. 

  15. 해양경찰청(2009), 해양경찰백서, pp. 306-374. 

  16. 해양경찰청(2010), 해양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시행규칙 

  17. 해양경찰청(2010),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임용령 및 시행행규칙 

  18. 행정안전부(2010),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등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