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Korea Coast Guard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1 = no.66, 2015년, pp.64 - 71  

정순도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최응렬 (동국대학교(서울)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검토하여 리더십 유형과 제도적 환경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사회자본의 구성요인으로 신뢰, 참여, 네트워크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신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는 제도적 환경으로서 제도 공정성과 성과관리가 높을수록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참여를 형성하는데는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며, 이를 근거로 해양경찰의 사회자본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리더십의 변화와 제도적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Korea Coast Guar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leadership type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were set as tr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 축적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체 해양경찰관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표본선정은 지역적인 분포를 고려하기 위하여 비확률표집 중 목적표집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동해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의 속초해양경비안전서, 동해해양경비안전서와 포항해양경비안전서,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의 군산해양경비안전서와 평택해양경비안전서, 남해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의 여수해양경비안전서에서 각각 50부씩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경찰에게 중요한 것은? 해양경찰은 생명과 신체를 직접적으로 위협당하고, 해상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조직구성원간의 신뢰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을 측정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에 대한 중요성조차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을 측정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이유는? 해양경찰은 생명과 신체를 직접적으로 위협당하고, 해상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조직구성원간의 신뢰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을 측정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에 대한 중요성조차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여, 해양경찰의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 는데 의의가 있다.
사회자본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구조적 요인의 예는? 사회자본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개인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개인적 요인으로 앞에서 살펴본 리더십을 들 수 있다면 구조적 요인으로는 제도적 환경에 해당하는 조직의 공정성과 성과관리 측면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volio, B. J. and B. M. Bass(1995), Individual consideration view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A multi-leve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diffus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6(2), pp. 199-218. 

  2. Bass, B. M.(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pp. 1-256. 

  3. Burns, J. M.(1978),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4. Ha, S. G.(2011), Police, social capital and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pact,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161. 

  5. Ha. S. G.(2013),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y Region on the relation between Police social capital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 The Police Science Journal, 8(2), pp. 33-61. 

  6. Jeon, S. H. and C. D. Koo(2013),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romotion Satisfaction to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 Focusing on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7(4), pp. 113-144. 

  7. Kim, D. H.(2010),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Du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187. 

  8. Kim, M. S. and K. S. Hong(2013), The Impact of Organization Justice o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6(5), pp. 1123-1148. 

  9. Kim, M. S., H. Y. Bang and C. J. Park(2010),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Affective Commitment: A Case of Vietnamese Employees of Korean FDI Firms, International Management Review, 14(2), pp. 105-141. 

  10. Kim, N. S. and Y. S. Won(200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Leadership of Private Organization,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13(1), pp. 171-207. 

  11. Kim, W. S.(2008), Leadership and Trust,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30(2), pp. 167-190. 

  12. Lee, B. D.(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Korean police,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188. 

  13. Lee, H. C., H. B. Park and J. Y. Chun(2007),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ocial Capital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Local Government,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1(3), pp. 127-151. 

  14. Lee, J. and Y. C. Chang(2004), A Study o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8(1), pp. 137-172. 

  15. Moon, Y. S., Y. H. Huh and H. S. Kim(2009), A Study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35, pp. 101-136. 

  16. Nam, S. H. and H. C. Lee(2009), The Effect of Perceived Fairness on Performance Management: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Responsive Attitude,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9(2), pp. 137-159. 

  17. Park, H. B., J. S. Kang and S. M. Kim(2003),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2(1), pp. 3-35. 

  18. Park, J. P. and S. I. Choi(2009), The Study on the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and Trust Levels of Team Leader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Focused on the Officials in Gyeonggi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3(3), pp. 87-111. 

  19. Putnam, R.(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Spring), Vol. 4. Available online: http://www.prospect.org/print/vol/13 (accessed 7 April 2003). 

  20. Seo, J. H. and W. S. Yun(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rus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3(2), pp. 41-67. 

  21. Yukl, G. and D. D. Van Fleet(1992), Theory and research on leadership in organization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p. 1-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