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면산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경향
Distribution Pattern of Ageratina altissima Along Trails at Mt. Umyeon in Seoul,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3, 2014년, pp.227 - 232  

김현욱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장유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필선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은 우리나라의 육상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외래종으로 알려져 있다. 교란 지역으로부터 그늘이 지는 숲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한국에서 나타나는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특성에 대해서는 양지와 음지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우면산을 대상으로 광도 및 토양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의 관계,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양등골나물의 분포는 상대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낙엽층이 깊어지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서양등골나물은 우면산에서 주로 등산로 주변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특히 등산로로부터 숲으로 10m 이내에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었는데(p < 0.01), 이 지역은 빛과 임상 상태가 서양등골나물에게 유리한 지역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은 계곡보다는 능선에서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형에 따른 차이는 등산로로부터의 거리 10m를 전후로 한 9m, 12m 위치에서 가장 컸다(p < 0.05). 토양의 수분함량, 석력함량, pH 등은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양등골나물이 다양한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본 연구는 등산로가 외래종의 침입에 취약한 지역임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등산로 관리에서 외래종의 침입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eratina altissima is an invasive plant species known to threaten native plant communities in Korea. A. altissima is thought to invade shady forests from disturbed open areas; however, uncertainty remains as to how shade and litter depth might affect establishment. A study of A. altissima distrib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was aimed to documen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 altissima around trails and valleys at Mt. Umyeon and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to affect the distribution of A. altissima.
  • 교란지역으로부터 그늘이 지는 숲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한국에서 나타나는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특성에 대해서는 양지와 음지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우면산을 대상으로 광도 및 토양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의 관계, 등산로 주변 서양등골나물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양등골나물의 분포는 상대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낙엽층이 깊어지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 Y. J.,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netic structure of Ageratina altissima population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3 p. 

  2. Constan-Navaa, S., A. Boneta, E. Pastora, and M. J. Lledoa, 2010: Long-term control of the invasive tree Ailanthus altissima: Insights from Mediterranean protected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0, 1058-1064. 

  3.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10: Invasive Alien Species. http://www.cbd.int/invasive/WhatareIAS.shtml (Accessed on 4 January 2011) 

  4. Curtis, J. 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76-496. 

  5. Drake, J. A., 1988: Biological invasions into nature reserve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3, 186-187. 

  6. Hamilton, E. S., and A. Limbard, 1982: Selective occurrence of arborescent species on soils in a drainage toposequence, Ottawa County, Ohio. Ohio Journal of Science 82, 282-292. 

  7. Jeong, S. H., 2005: Responses of Ageratina altissima to light and nutrient gradien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Kil, J. H., 2003.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Eupatorium rugosum.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9. Kil, J. H., K. C. Shim, Y.M. Jeon, and H.J. Lee, 2004: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in various forest types and soils in Mt. Namsa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7(5), 291-300. 

  10. Kim, Y. O., J. Y. Park, and H. J. Lee, 2003: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Eupatorium rugosum: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and phenolic compound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6(1), 5-12. 

  11. Koh, K. S., I. G. Kang, M. H. Suh, J. H. Kim, K. D. Kim, J. H. Kil, H. I. Ryu, D. S. Kong, E. B. Lee, and E. S. Jeo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Research Report (I), NIER, Incheon. 57 p. 

  12. Lee, H. J., Y. M. Chun, H. L. Chung, J. H. Kil, M. P. Hong, Y. O. Kim, and I. D. Jang, 1998: Syntaxonomy and soil condition of Mt. Nam Nature Park.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5-3), 633-648. 

  13. Lee, K. J., S. H. Hong, J. Y. Kim, and B. H. Han, 200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in Gangbuk area,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4), 351-358. 

  14. Lee, K.S., and D.S. Cho, 2000: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microenvironment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umbong biosphere reserve area,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3(3), 241-253. 

  15. Lee, W. C. and Y. 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1-31.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mended by Act No. 8467, May 17,2007.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Protection of Wild Fauna and Flora Act. Amended by Act No. 8467, May 17, 2007. 

  18.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1973: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http://asis.rda.go.kr/ (Accessed on 4 January 2011). 

  19.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308-309, 312-313. 

  20. Park, Y. M., P. S. Park, J. E. Sohng, S. K. Lee, and M-J. Kim, 2010: Changes in growth and reproductive strategy of Disporum smilacinum in canopy gap and closed canopy area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1(5), 463-469. 

  21. Parendes, L. A., and J. A. Jones,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ation Biology 14, 64-75. 

  22. Smith, L. M., and H. L. Reynolds, 2014: Light, allelopathy, and post-mortem invasive impact on native forest understory species. Biological Invasions 16, 1131-1144. 

  23. Suh, M. H., Y.M. Lee, J. H. Kil, and K. D. Kim, 1997: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at Mt. Namsan in Seoul.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0(4), 285-291. 

  24. Williamson, M. 1996: Biological Invasions. Chapman & Hall, Cornwall, U.K. 245 p. 

  25. Zar, J.H. 2009: Biostatistical Analysis, 5th ed. Prentice Hall, NJ. 960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