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장방추형 '홍로' 사과나무의 수관 부위별 수광상태와 잎 및 과실의 특성
Ligh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 at Different Canopy Positions in Slender-spindle 'Hongro' Apple Tree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4, 2014년, pp.440 - 447  

송주희 (장수군농업기술센터) ,  강인규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최동근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로'/M.9 세장방추형 수형에서 수관위치에 따른 광환경과 잎과 과실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관을 상부와 하부, 그리고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수관상단의 외부가 투광량이 가장 높았고, 광합성속도는 수관하단의 내부보다 약 4.5배 높게 나타났다. 잎의 생장은 수관 내부 잎이 외부 잎보다 더 넓고 얇았으며, 잎의 책상조직 첫번째 층의 두께는 수관외부($110.3{\mu}m$)가 수관내부($68.5{\mu}m$)보다 두꺼웠다. 과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도는 투광률이 높은 수관외부의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과실의 가용성 유리당 함량은 수관외부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수관내부의 과실은 숙기가 지연되었다. 과피는 수관내부 과실에서 더 두꺼웠고 왁스층의 발달도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수관내부의 광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수관 부위별로 숙기에 따른 분할 수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is analysis, canopies of slender-spindle 'Hongro'/M9 apple trees were divided into 4 positions: upper, lower, exterior, and interior parts. The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st in the external part of the upper canopy of the tree, where it was 4.5 times higher than in the internal part of th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로’/M.9 세장방추형 수형에서 수관내부의 무효공간을 줄이고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세환경이 다른 수관 위치에서의 투광량, 광합성 특성, 잎과 과실의 특징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관내부의 과실 착색이 지연되는 등 품질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균일한 착과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관내부 무효공간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하지만, 여름철 연중 강수량의 70%가 집중되는 고온 다습한 기후(Seo, 2010) 조건에서 습관적으로 적용하는 강한 절단 전정과 지나친 시비(Kim et al., 1996)는 영양생장을 촉진 및 연장시켜 수관 내부의 무효공간을 만든다. 이러한 이유로 수관내부의 과실 착색이 지연되는 등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Kim et al.
균일한 착과를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 2007). 균일한 착과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관내부 무효공간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하지만, 여름철 연중 강수량의 70%가 집중되는 고온 다습한 기후(Seo, 2010) 조건에서 습관적으로 적용하는 강한 절단 전정과 지나친 시비(Kim et al.
수관위치에 따른 과실 품질은 무엇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가? 수관위치에 따른 과실 품질은 투광량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투광량은 수관의 상부에서 하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그리고 수관이 복잡할수록 불량해진다(Park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ckermann, J., M. Fischer, and R. Amado. 1992. Changes in sugars, acids, and amino acids during ripening and storage of apples (cv. Glockenapfel). J. Agr. Food Chem. 40:1131-1134. 

  2. Auchter, E.C., A.L. Shrader, F.S. Lagasse, and W.W. Aldrich. 1926. The effect of shade on the growth, fruit bud form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pple trees. Proc. Amer. Soc. Hort. Sci. 23:368-382. 

  3. Barritt, B.H., C.R. Rom, K.R. Guelich, S.R. Drake, and M.A. Dilley. 1991. Light level influences spur quality and canopy development and light interception influence fruit production in apple. HortScience 26:993-999. 

  4. Beruter, J. 1985. Sugar accumulation and changes in activities of related enzymes during development of the apple fruit. J. Plant Physiol. 121:331-341. 

  5. Cowart, F.F. 1935. Apple leaf structure as related to position of the leaf upon the shoot and to type of growth. Proc. Amer. Soc. Hort. Sci. 33:145-148. 

  6. Doud, D.S. and D.C. Ferree. 1980. Influence of altered light levels on growth and fruiting of mature 'Delicious' apple trees. J. Amer. Soc. Hort. Sci. 105:325-328. 

  7. Forshey, C.G. 2000. Training and pruning apple trees. Cornell Cooperation Extension Publication. Info Bulletin #112. http://eap.mcgill.ca/CPTFP_7.htm. 

  8. Giuliani, R., F. Nerozzi, E. Magnanini, and L. Colrlli Grappadelli. 1997. Infuluence of environmental and plant factors on canopy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of apple trees. Tree Physiol. 17:637-645. 

  9. Han, S.G. and T.M. Yoon. 2001. Light distribution within the canopy and fruit quality in dwarf apple orchards. J. Kor. Soc. Hort. Sci. 42:78-82. 

  10. Jung, S.K. 2002. Effects of tree shape and light penetraion on tree shape and productivity for 'Fuji' apple trees on M. 26 rootstocks. M.A. Diss., Kongju Univ., Gongju, Korea. 

  11. Kim, K.R., Y.K. Kim, J.K. Byun, J.B. Kim, and T.M. Yoon. 1996. Development of high density apple orchard system in Korea. Proc. Intl. Symp. Dev. New Apple Orchard System in Kyungbuk, Office of Kyungbuk Province. p. 49-53. 

  12. Kim, M.S., J.K, Jeong, H.Y. Kim, S.I. Kwon, H.J. Kwon, B.R. Bark, M.Y. Park, and H.H. Seo. 2003. The growth character of apple tree and orchard man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25-60. 

  13. Lim, B.S., Y.W. Choi, and N.H. Song. 1993.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ethephon application on the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L.). RDA J. Agr. Sci. 35:800-805. 

  14. Luft, J.H. 1973. Compounding of Luft’s epon embedding medium for use in electron microscopy with reference to anhydride:Epoxide ratio adjustment. Mikroskopie 29:337-342. 

  15. Mika, A. and R. Antosqewski. 1972. Effect of leaf position and tree shape on the rate of photosynthesis in the apple tree. Photosynthesica 6:381-386. 

  16. Oh, S.D., D.G. Choi, and C.H. Cho. 1997. Effect of different light conditions within canopy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in apple tree. J. Kor. Soc. Hort. Sci. 38:391-395. 

  17. Park, M.Y., S.J. Yang, J.K. Park, D.G. Choi, and I.K. Kang. 2007. Influence of the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in slender spindle form on the tree growth an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J. Bio-Environ. Control 16:258-263. 

  18. Pavel, E.W. and T.M. Dejong. 1995. Seasonal patterns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of apple (Malus pumila Mill.) fruits:Relationship with relative growth rates and contribution to solute potential. J. Hort. Sci. 70:127-134. 

  19. Reyes, T., T.A. Nell, J.E. Barrett, and C.A. Conover. 1996. Testing the light acclimatization potential of Chrysalidocarpus iutescens Wendle. HortScience 31:1203-1206. 

  20. Seo, B.S. 2010.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ongro' apple trees at various altitude in Jangsu, Korea. PhD. Diss., Jeonbuk Natl. Univ., Jeonju, Korea. 

  21. Song, K.J., J.H. Hwang, and H.K. Yun. 2003. Changes of soluble sugar and starch concentrations in fruits of apple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 J. Kor. Soc. Hort. Sci. 44:207-210. 

  22. Wooge, K.C. and K.A. Barden. 1987. Seasonal changes in specific leaf weight and leaf anatomy of apple. HortScience 22:292-294. 

  23. Yamada, H., H. Ohmura, C. Arai, and M. Terui. 1994. Effect of preharvest fruit temperature on ripening, sugars, and watercore occurrence in apples. J. Amer. Soc. Hort. Sci. 119:1208-1214. 

  24. Yang, S.J. 2008. Study on high density apple orchard system with M.9 rootstock. PhD. Diss., Kyungpook Natl. Univ., Daeg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