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의 제조공정 표준화에 따른 자가규격 및 유통기한 설정
Establishment of self-specification and shelf-life by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lyophilized Tenebrio molitor larvae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2 no.1, 2014년, pp.73 - 78  

정미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정용 ((주)월드웨이) ,  이진채 ((주)월드웨이) ,  박길수 ((주)월드웨이) ,  정준표 ((주)월드웨이) ,  황재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구태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윤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식품등록 후 산업화에 대비하여 대량생산 시설에 적용 가능한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곤충의 제조공정을 확립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을 1 ~ 2일간 절식시킨 후 식용을 목적으로 하므로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분변제거 및 세척한 후 고온 고압 살균법으로 살균하였다. 살균시 용기 내에 부직포($48cm{\times}55cm$)를 깔고 갈색거저리 투입량은 1 kg(3 cm)이하로 하는 것이 세균 및 진균의 제거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단식 살균기를 사용하여 각 단 사이의 공간을 10 cm 이상 확보하여 $115^{\circ}C$, $1kgf/cm^2$에서 10분간 고온 고압 살균한 경우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살균한 갈색거저리 유충 동결건조를 위해 동결은 $-35^{\circ}C$ 이하에서 용기[$W(63cm){\times}L(57cm){\times}H(3cm)$]별 4 kg씩(두께 1.5 cm 이하) 투입하여 실시하고, 건조는 $-15^{\circ}C$ 이하, 0.5 torr 이하에서 최소 30시간 이상 건조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의 자가규격으로 수분 5% 이하, 산가 3 mg/g 이하, 과산화물가 30 meq/g 이하, 조단백 45% 이상, 조지방 25% 이상, 올레산 11 ~ 16%를 허용범위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 미생물학적 지표 조사를 통한 유통기한 설정 결과 PET 재질 용기로 포장될 경우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의 최종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2개월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대량생산 시설에 적용 가능한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의 제조공정을 통해 식품등록 후 산업화시 보다 위생적이며 균일한 제품 제조가 가능할 것이고, 자가규격 및 유통기한은 제품 관리에 응용되어 보다 안전성 및 안정성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self-specification and shelf-life by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Tenebrio molitor larvae. First,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T. molitor was set up. Sterilization for larvae placed on a multistage shelf with intervals of 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갈색거저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식품으로 등록되지 않아 식용으로 제조 및 판매가 불가하므로 식용 갈색거저리의 제조 및 판매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연구를 통한 식약처에 식품등록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2011년부터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에서는 갈색거저리를 새로운 식품으로 등록하기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식품 등록 후 산업화에 대비하기 위해 대량생산 조건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제조를 위한 표준화 공정을 확립하였다(그림 1).
  •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식품등록 후 산업화에 대비하여 대량생산 시설에 적용 가능한 동결건조 갈색거저리 유충곤충의 제조공정을 확립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을 1~2일간 절식시킨 후 식용을 목적으로 하므로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분변제거 및 세척한 후 고온·고압 살균법으로 살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충을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국의 식약처 식품공전에 등록된 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곤충은 식용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이하 식약처)의 식품공전에 등록되어 식용으로 유통 및 판매가 가능한 곤충은 누에(Bombyx mori) 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Cho et al. 1989, Cha et al.
갈색거저리란 무엇인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갈색쌀거저리로도 불린다. 갈색거저리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캐나다 등지에서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소스 개발, 견과류 제조 등에 관한 레시피를 보고한 바 있다(Ghaly 2009).
곤충은 영양소를 어떻게 함유하여 영양적 가치가 매우 우수한가? 예로부터 곤충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용으로 먹어 왔으며 현재에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많은 종류의 곤충들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곤충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및 탄수화물 등 대부분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영양적 가치가 매우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Chung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 JY, Kim YS, Ahn HY, Eom KE, Park BK, Jun BS, Cho YS (2009)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J Life Sci 19(10), 1468-1477. 

  2. Cho CH, Cha WS, Kim JS (1989) Effect of temperature, time and pH on the extraction of protein in a chrysalis of silkworm.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65-68. 

  3. Chung SJ, Lee YH, Chung JH, Lee BR, Han DM (1995) Antifungal effect and activity spectrum of crude antifungal proteins from hemolymph of larvae of Tenebrio molitor in Korea. Kor J Mycol 23(3), 232-237. 

  4. Chung MY, Kwon EY, Hwang JS, Goo TW, Yun EY (2013)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brio molito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J Seric Entomol Sci 51(1), 9-14. 

  5. Ghaly AE (2009) The use of insects as human food in Zambia. OJBS 9(4), 93-104. 

  6. Huis A, Vanltterbeeck J, Mertens E, Halloran A, Muir G (2013)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7. Kim TS, Lee JH, Choi BD, Byu HS (1987) Nutritional value of dried paddy grasshopper, Oxya chinensis formosana. J Korean Soc Food Nutr 16(2), 98-104. 

  8. Lee JH, Kim TS, Choi BD, Kim GE, Lee KH (1987a) Effects of containing pigments of dried grasshopper on the lipid deterior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6, 294-299. 

  9. Lee JH, Kim TS, Choi BD, Kim GE, Lee KH (1987b) Effects of containing pigments of dried grasshopper on the lipid deterior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6, 300-305. 

  10. MFDS (2011)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11. Park JH, Kim SY, Kang M, Yoon M, Lee YI, Park E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 41-48. 

  12. Yoo JM, Hwang JS, Goo TW, Yun E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 24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