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색거저리(밀웜)의 조리방법에 따른 기호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of Tenebrio molitor(Mealwor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100 - 115  

황수영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배금광 (미주리대학교 호스피탈러티 관리학과) ,  최수근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의 유충인 밀웜을 2가지 조리방법(소테, 오븐)에 따른 3가지의 다른 형태(원형, 다짐, 분말)에 대한 기호도 및 구매의도를 살펴봄에 따라 갈색거저리의 식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음식 혐오증(Food neophobia)이 높은 식용곤충을 활용한 시판품 개발시 타깃 시장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호도와 구매의도는 여성에 비해 남성,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건강 관여도가 높은 집단, 새로운 음식 혐오증이 낮은 집단일수록 기호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3가지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건강 관여도, 새로운 음식 혐오증 모두 소테와 오븐의 분말형태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품 개발자들에게 시장 타깃팅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using mealworm after examination of preferences and purchased intention according to two types of cooking methods (saute and oven) and three shapes (original, chapping, and powder) of cooked meal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갈색거저리의 식용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식용제품 개발 후 실제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 연구들을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식용곤충의 자원화 가능성이 큰 갈색거저리를 활용한 식용곤충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호도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식량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2가지 조리방법(소테, 오븐)과 3가지의 다른 형태(원형, 다짐, 분말)로 만들어진 갈색거저리에 대한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봄에 따라 갈색거저리의 식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식용곤충의 자원화 가능성이 큰 갈색거저리를 활용한 식용곤충에 대한 일반인들의 기호도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식량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2가지 조리방법(소테, 오븐)과 3가지의 다른 형태(원형, 다짐, 분말)로 만들어진 갈색거저리에 대한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봄에 따라 갈색거저리의 식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곤충은 새로운 음식 혐오증(Food neophobia)이 높아, 일반인들이 거부감을 느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갈색거저리 식품이 시판될 경우 타깃 시장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 향후 본 연구는 1차 조리(가열 처리)를 한 갈색거저리 활용 메뉴 이미지를 사용 하여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갈색거저리 메뉴에 대한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고 살펴봄으로써 식용곤충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갈색거저리 활용 메뉴에 대한 조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갈색거저리 메뉴에 대한 조리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갈색거저리 유충인 밀웜의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로써 시료를 조사 대상자들에게 직접 보여주고, 연구를 진행하는 것보다 실제 시판 시 사용될 이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사전조사에서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밝혀진 두가지 조리법(소테, 오븐)에 각각 3가지 형태(원형, 다짐, 분말)가 더해져 총 6가지 이미지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는 갈색거저리의 기호도와 구매의도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앞서 9가지 조리방법(소테, 삶기, 팬프라잉, 전자레인지, 찜, 튀김, 오븐, 그릴, 컨벡션 오븐)으로 1차 조리한 갈색거저리를 대상으로 기호도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 중인 식용곤충은 누에, 번데기, 굼벵이에 불과하며, 모두 다 약용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밀웜에 대한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조사함으로써 갈색거저리의 식용곤충으로써 이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곤충은 새로운 음식 혐오증(Food neophobia)이 높아, 일반인들이 거부감을 느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갈색거저리 식품이 시판될 경우 타깃 시장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건강관여도와 새로운 음식 혐오증)에 따른 잠재고객의 기호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봄으로써 갈색거저리의 시판품을 위한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방안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충사육이 가축 사육보다 질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이유는? 곤충의 식용화가 가축 의존적인 식량자원에 비해 긍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현재 사육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축 식량자원보다 훨씬 적은 양의 온실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대한 가능성이 낮으며, 가축사육과 달리 곤충사육에 필요한 땅을 개간할 필요가 없고, 사료만으로도 간편하게 많은 양의 곤충을 사육하여 보급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곤충사육 시 비교적 깨끗한 환경에서 사육을 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가축 사육 시 발생할 수 있는 광우병, 구제역 등의 질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Arnold van Huis et al 2013). 이처럼 식용곤충은 미래 식량자원으로써 여러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용곤충에 대한 식용 소재화 연구가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식용곤충의 영향학적 효과를 다룬 연구들로는 무엇이 있는가? 품질특성과 관련된 연구로는 누에 동충하초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변화 (Bang HY et al 2004), 누에분말 및 누에 동충하초 분말 함유 돈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Kim IS et al 2008), 누에분말을 첨가한 다식의 기호도 특성(Kim JE 2008), 눈꽃과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Jung MH․Park GS2002)등 대부분의 연구가 식품 첨가제로서 기존 제품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다. 식용곤충의 영향학적 효과를 다룬 연구들은 당뇨환자의 누에식품 복용에 따른 혈당의 변화(Yun SJ 2007), 누에분말 첨가빵이 Rat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에 미치는 영향(Kim YH 2008), 번데기를 활용한 단백질 식이가 흰쥐의 근육합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Ahn EY 2013)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식용 곤충을 활용한 조리특성학적 연구(Hyun SH 2010)가 진행되기 시작하였지만, 아직 연구가 많이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대표적 식용곤충 3가지는? 식용곤충(Edible insect)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곤충을 통칭하며, 나비목(Lepid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메뚜기목(Orthoptera), 흰개미목 (Isoptera)과 벌목(Hymenoptera) 등이 있다. 국외는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및 호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조리방법으로 조리한 식용곤충을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누에, 메뚜기, 번데기가 대표적으로 식용되고 있다(Bukkens SGF 1997).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식용곤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크게 품질특성에 관련된 연구와 영양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들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농촌진흥청 (2014) 식용곤충과 조리. RDA, 5-12, 전주. 

  2. 이학식, 안광호 (1992)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법문사, 43, 서울. 

  3. Arnold VH, Joost V, Itterbeeck H, Klunder E, Mertens A, Halloran, Giulia M, Paul V (2013) Edible Insect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9, Rome of Italy. 

  4. Choi YC, Song HS (2011) Mass rearing and application technique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Applied Entomolog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 Press, 14-22, Korea. 

  5. Van Huis A, Van Gorp H, Dicke M (2012) Het Insectenkookboek. Amsterdam, the Netherlands, Atlas. 

  6. Yoo SO, Choi YC, Song HS (2011) Breed and utilization of mealworm(Tenebrio molito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 RDA, 14-168, Suwon. 

  7. Aguilar-Miranda ED, Lopez MG, Escamilla-Santana C, Barba de la Rosa AP (2002). Characteristics of maize flour tortilla supplemented with ground Tenebrio molitor larvae.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50(1):192-195. 

  8. Ahn EY (2013). Effects of pupa protein diet on muscle synthesis protein expression in exercise trained rats. Master degree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9. Ayieko MA, Oriaro V, Nyambuga IA (2010). Processed products of termites and lake flies: improving entomophagy for food security within the Lake Victoria region. African Journal of Food, Agriculture, Nutrition and Development 10(2):2085-2098. 

  10. Armitage SAO, Thompson JJW, Rolff J, Siva-Jothy MT (2003). Examining costs of induced and constitutive immune investment in Tenebrio molitor. Journal Evol Biol 16(5):1038-1044. 

  11.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44-49. 

  12. Barnes AI, Siva-Jothy MT (2000). Density-dependent prophylaxis in the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 cuticular melanization is an indicator of investment in immunity. Proc R Soc Long B 267:177-182. 

  13. Bukkens SGF (1997). The nutritional value of edible insects. Ecol Food Nutr 36(2-4):287-319. 

  14. Carazo P, Sanchez E, Font E, Desfilis E (2004). Chemosensory cues allow male Tenebrio molitor. Animal Behaviour 68(1):123-129. 

  15. Chung MY, Kwon EY, Hwang JS, Goo TW, Yun EY (2013).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brio molito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Journal Seric Entomol Sci 51(1):9-14. 

  16. Chung SJ, Lee YH, Chung JH, Lee BR, Han DM (1995). Anti-fungal effect and activity spectrum of crude antifungal proteins from hemolymph of larvae of Tenebrio milotor in Korea. Kor Journal Mycol 23(3):232-237. 

  17. Drnevich JM, Papke RS, Rauser CL, Rutowski RL (2001). Material benefits from multiple mating in female mealworm beetles(Tenebrio molitor L.). Journal Insect Behavior 14(2):215-230. 

  18. Edstrom KM, Devine CM (2001). Consistency in women's orientation to food and nutrition in midlife and older age: a 10-year qualitative follow up.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33(4):215-223. 

  19. Furst T, Connors M, Bisogni CA, Sobal J, Falk W (1996). Food choice: a conceptual model of the process. Appetite 26(3):247-266. 

  20. Gaston KJ, Chown SL (1999). Elevation and climatic telerance: a test using dung beetles. Olikos 86(3):584-590. 

  21. Ghaly AE (2009). The use of insects as human food in Zambia. OJBS 9(4):93-104. 

  22. Greenberg S, Amos AR (1996). Effects of chronic hypoxia, normoxia and hyperoxia on larval development in the beetle Tenebrio molitor. Journal Insect Physiol 42(11-12):991-996. 

  23. Happ GM, Wheeler J (1969). Bioassay, preliminary purification, and effect of age, crowding, and mating on the release of sex pheromone by female Tenebrio molitor. Ann Entomol Soc Am 62(4):846-851. 

  24. Hwang JH, Lin Ting-Ning (2010). Effects of food neophobia, familiarity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consumer acceptance of Asian menu items.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nd Management 19(2):171-187. 

  25. Hyun SH (2010). Development of food applying Oxya japonica and composition analysis. Master degree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6. Jung MH, Park GS (2002). Effect of Paecili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Journal Korean Soc Food Sci Nutr 31(5):743-748. 

  27. Jung MY, Kwon EY, Hwang JS, Goo TW, Yun EY (2013).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ebrio molite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Journal Seric Entomol Sci 51(1):9-14. 

  28. Jung MY, Lee JY, Lee JC, Park KS, Jeong JP, Hwang JS, Goo TW, Yun EY (2014). Establishment of self-specification and shelf-life by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lyophilized Tenebrio molitor larvae. Journal Seric Entomol Sci 52(1):73-78. 

  29. Kang JH, Jeong HJ (2008 a). The effect of food neophobia on food choice motives and vegetable consumption. Journal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294-301. 

  30. Kang JH, Jeong HJ (2008 b). Measuring the moderating food involvement and food neophobia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egetable consumption and health concer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1):84-93. 

  31. Kearney M, Kelly A, Gibney MJ (1998). Attitudes toward and beliefs about nutrition and health amo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Irish adults: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modelling.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30(3):139-148. 

  32. Kim IS, Jin SK, Jo CR, Lee MH, Jang AR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containing silkworm powder and vegetable worm (Paecilomyces japonica)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5):821-528. 

  33. Kim JE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ith added silkworm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2):221-225. 

  34. Kim SJ, Lee GH (2012). Effect of Asian food neophobia scale and food involvement scale on food choice mot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2):199-207. 

  35. Kim YG, Kim DH (2013). The moderating effects of food neophibi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2(6):101-115. 

  36. Kim YH (2008). Effect of bread with added silkworm powder and cholesterol on lipid metabolism of rat. Korean J Food Nutr 21(3):306-311. 

  37. Koivisto H, Sjoden P (1997). Food and general neophobia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ported food choice: Familial resemblance in swedish families with children of ages 7-17 years. Appetite 29(1):89-103. 

  38. Ludwig D, Carl F (1960). Further studies on the realationship between parental age and the life cycle of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Ann Entomol Soc Am 53(5):595-600. 

  39. Nam JH, Kim YG (2012). Food involvement and food neophobia in tourists' experience of local food produc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1(5):121-138. 

  40. Svein Ottar Olsen (2003).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eafood consumption: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health involvement and convenience. Food Quality and Preferece 14(3):199-209. 

  41. Park JH, Jung CE (2013).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animal feed insect industry.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 17(1-2):9-13. 

  42. Park SY (2011). Traditional namul consumption and preference by food neophobia and bitterness sensitivity. Master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3. Park YK, Choi YC, Lee YB, Lee SH, Lee JS, Kang SH (2012). Fecundity, life span, developmental periods and pupal weigh of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 Journal Seric Entomol Sci 50(2):126-132. 

  44. Pemberton RW (1988). The ues of the Thai giant waterbut, Lethocerus indicus(Hemiptera: Belostomatidae), as human food in California. The Pan-Pacific Entomologist 64:81-82. 

  45. Pliner P, Hobden K (1992).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Appetite 19(2):105-120. 

  46. Richter CP (1953). Experimentally produced behavior reactions to food poisoning in wild and domesticated rats. Ann NY Acad Sci 56(1):225-239. 

  47. Roininen L, Lahteenma Ki L, Tuorila H (1999). Quantific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 health and hedonic chatacteristics of foods. Appetite 33(1):71-78. 

  48. Rozin P, Fallon AE (1987). A perspective on disgust. Phychological Review 94(1):23-41. 

  49. Rzoska JB (1953). Bait shyness, a study in rat behavior. British Journal of Animal Behaviour 1(4):128-135. 

  50. Rumpold BA, Schluter OK (2013).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afety aspects of edible insects. Molecular Nutrition and Food Research 57(5):802-823. 

  51. Tracey SKM (1958). Effects of parental age on the life cycle of the mealworm, Tenebrio molitor Linnaeus. Amm Entomol Soc Am 51(5):429-432. 

  52. Tuorila H, Lahteenmaki L, Pohjalainen L, Lotti L (2001). Food neophobia among the finns and related responses to familiar and unfamiliar food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2(1):29-37. 

  53. Wagner WE Jr, Harper CJ (2003). Female life sapn and fertility are increased by the ejaculates of preferred males. Evolution 57(9):2054-2066. 

  54. Worden BD, Parker PG (2001). Polyandry in grain beetles, Tenebrio molitor, leads to greater reproductive seccess: material or genetic benefits? Befavioral Ecology 12(6):761-767. 

  55. Yoon HJ, Lee KY, Lee SB, Park IG, Jang SJ, Choi YC, Choi YS, Lee GG (2008).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insect pollinator use in Korea. Korean J Apiculture 23(4):295-304. 

  56. Yoo JM, Hwang JS, Goo TW, Yun E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249-254. 

  57. Yun SJ (2007). Effect of blood sugar eating silkworm foods diabetes mellitusin clinical medicine. Master degree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