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균활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Friend Additive Using Antibacterial Natural Product for Reducing Enteric Rumen Methane Emission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3, 2014년, pp.491 - 502  

이아름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양진호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조상범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나종삼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  심관섭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  김영훈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배귀석 (중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장문백 (중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최빛나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신수진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최낙진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반추위 메탄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을 위해 각기 다른 종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세신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접종된 균주들의 성장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측정 결과 L. curvatus NJ40 균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균주성장을 나타냈다(p<0.05). 항균활성측정 결과는 대조구 대비 L. curvatus NJ40 및 L. plantarum NJ45 균주와 발효된 세신 추출물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실험에 세신 및 발효 세신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대비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반추위 미생물 활력 및 사료이용 효율을 대표할 수 있는 휘발성 지방산 생성효율에 대한 부정적 효과 없이, 오히려 휘발성지방산 생성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반추위 메탄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ive starter culture to improve biological activity of Asarum sieboldii.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reduction of enteric rumen methane production were used as criterions for biological activity. Ground A. sieboldii was add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반추위 메탄 저감용 친환경 첨가제 개발을 위해 각기 다른 종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세신추출물의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접종된 균주들의 성장 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 측정 결과 L.
  •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세신을 발효시키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및 반추위 메탄저감 효과를 조사함으로서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 천연 유기농 첨가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신은 전통한약재로써 어떤 효과가 있는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세신(Asarum sieboldii)은 주로 한국과 중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식물이다(Quang 등, 2012). 주로 해열, 진통 및 항 알레르기에 효과가 있어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온 주요한 전통한약재이다(Hashimoto 등, 1994; Quang 등, 2012). 여러 연구를 통해 세신의 높은 항균활성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Ji 등, 2007; Choi 등, 2009).
농가에서 메탄저감기술적용에 소극적인 이유는? 따라서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장내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저감시 키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반추동물의 장내 메탄저감은 가축의 생산성저하와 깊은 관련이 있어, 실제 농가에서는 메탄저감기술적용에 매우 소극적인 현실이다(Grainger and Beauchemin, 2011). 따라서 생산성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며, 온실가스의 주된 원인인 메탄가스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전체 비 이산화탄소온실가스 발생량에서 농업과 가축의 장내 메탄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환경오염을 저감시키며 축산물을 생산하는 기술도 유기농업의 중요한 분야 이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비 이산화탄소온실가스(GHG, greenhouse gas)의 10~12%가 농업에서 유래되고 있으며, 이 중 약 32%가 가축의 장내에서 유래하는 메탄가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Smith, 2007). 이러한 장내 메탄발생량은 2030년까지 6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Bruinsma,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ymerich, T., B. Martin, M. Garriga, and M. Hugas. 2003. Microbial quality and direct PCR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nonpathogenic staphylococci from artisanal low-acid sausages. Appl. Environ. microbiol. 69: 4583-4594. 

  2. Bruinsma, J. 2003. World agriculture: Towards 2015/2030: An FAO perspective. Rome:Earthscan. 

  3. Chaney, A. L. and E. P. Marbach. 1962. Modified reagents for determination of urea and ammonia. Clin. Chem. 8: 130-132. 

  4. Choi, J. H., M. H. Yu, E. Y. Hwang, and I. S. Lee. 2009.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fraction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resistant genes regul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41-547. 

  5. Erwin, E., G. Marco, and E. Emery. 1961. Volatile fatty acid analyses of blood and rumen fluid by gas chromatography. J. Dairy. Sci. 44: 1768-1771. 

  6. Grainger, C. and K. Beauchemin. 2011. Can enteric methane emissions from ruminants belowered without lowering their production?. Anim. Feed. Sci. Technol. 166: 308-320. 

  7. Ham, Y. J. 2014. A study for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plant to develop natural skin cosmetics.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8. Hashimoto, K., T. Yanagisawa, Y. Okui, Y. Ikeya, M. Maruno, and T. Fujita. 1994. Studies on Anti-Allergic Components in the Roots of Asiasarum sieboldi. Planta. Med. 60: 124-127. 

  9. Hiltner, P. and B. Dehority. 1983. Effect of soluble carbohydrates on digestion of cellulose by pure cultures of rumen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46: 642-648. 

  10. Hong, K. P. 2011.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661-668. 

  11. Hristov, A. and J. Ropp. 2003. Effect of dietary carbohydrate composition and availability on utilization of ruminal ammonia nitrogen for milk protein synthesis in dairy cows. J. Dairy. Sci. 86: 2416-2427. 

  12. Ji, Y. J., J. W. Lee, and I. S. Lee.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medicinal plan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J. Life. Sci. 17: 412-419. 

  13. Juan, M. Y. and C.C. Chou.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of black soybeans by solid state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BCRC 14715. Food Microbial. 27: 586-591. 

  14. Kim, N. M., J. W. Lee, J. H. Do, and J. W. Yang.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15. McDougall, E. 1948. Studies on ruminant saliva. 1. The composition and output of sheep's saliva. Biochem. J. 43: 99-109. 

  16. Moon, Y. D. 1993. Studies on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manufactured with Lactobacillus curvatus K12-3. Ph.D.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17. Oltjen, R. R. 1969. Effects of feeding ruminants non-protein nitrogen as the only nitrogen source. J. Anim. Sci. 28: 673-681. 

  18. Quang, T. H., N. T. T. Ngan, C. V. Minh, P. V. Kiem, B. H. Tai, N. P. Thao, S. B. Song, and Y. H. Kim. 2012. Anti-inflammatory and PPAR transactivationa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roots of Asarum sieboldii. Bioorg. Med. Chem. Lett. 22: 2527-2533. 

  19. Satter, L. and L. Slyter. 1974. Effect of ammonia concentration on rumen microbial protein production in vitro. Brit. J. Nutr. 32: 199-208. 

  20. Smith, P., D. Martino, Z. Cai, D. Gwary, H. Janzen, P. Kumar, B. McCarl, S. Ogle, F. O'Mara, and C. Rice. 2007. Policy and technological constraints to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gas mitigation options in agriculture. Agric. Ecosyst. Environ. 118: 6-28. 

  21. Stiles, D., E. Bartley, R. e. Meyer, C. Deyoe, and H. Pfost. 1970. Feed Processing. VII. Effect of an expansion-processed mixture of grain and urea (starea) on rumen metabolism in cattle and on urea toxicity. J. Dairy. Sci. 53: 1436-1447. 

  22. Tilley, J. and R. Terr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tish Grassland Soc. 18: 10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