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6가지 천연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동물메탄 감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cannula가 장착된 한우에서 채취하였으며,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timothy와 농후사료 6:4 비율로 급여하였다. 50 ml serum bottle에 timothy 0.3 g, 반추위액 5 ml, McDougall's buffer 10 ml를 각각 넣고 인삼, 도라지, 유카식물, 동백나무, 차나무, 오갈피 추출물을 기질의 5%를 첨가한 뒤 발효시간대별(3, 6, 9, 12, 24, 48, 및 72시간) 7처리 3반복 수행하였다. pH는 6.55~7.41로 반추위 적정 pH 범위에 속하였다. 건물소화율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24시간대 인삼, 도라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9시간대, 메탄 발생량은 6시간대에서 첨가구와 대조구간 유의적(P<0.05)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성장량은 발효 12시간대 인삼, 도라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발효 24시간대 인삼, 유카식물, 차나무, 오갈피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Total VFA 농도는 발효 12시간 차나무, 오갈피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발효 48시간 인삼, 도라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Acetate 농도는 발효 24시간 인삼, 도라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고, propionate 농도는 발효 48시간 인삼, 도라지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6가지 천연식물 추출물의 첨가는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메탄 감소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6가지 천연 식물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추가적인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atural plant extracts for methane gas reduction in ruminants.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cannulated Hanwoo cow ($450{\pm}30kg$) consuming 400 g/kg concentrate and 600 g/kg timothy. The 15 ml of mixture comparing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위와 같은 효과를 가진 천연 식물 인삼(Ginseng), 도라지(Balloon flower), 유카식물(Yucca plant), 동백나무(Camellia), 차나무(Tea plant) 및 오갈피(Ogapi) 추출물의 첨가가 in vitro 메탄 발생 및 반추위 발효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명 하고자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백나무의 잎과 꽃 추출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6)가 있다. 유카식물은 항균활성 물질로 작물보호 및 자연생태계 유지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Kim, 2004), 동백나무의 잎과 꽃 추출물은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Lee et al., 2005), 항균 효과(Hahn, 2005), 혈전용해 효소 활성(Lim et al., 2006) 및 혈액 암세포성장 억제 효과(Kim et al., 2003)가 있다. 차나무는 항진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Sur et al.
어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천연 식물을 이용한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중인가? , 1999) 등을 이용한 연구사례가 있다. 그러나 halogenated analogues나 ionophore 계통의 항생제를 사용하면 2차 생산물질에 잔류되거나 내성 문제가 발생되어 한국에서는 사용이 전면 금지되어 있고, methanogen의 항생제 적응으로 인해 메탄 감소 효과가 없어진다는(Johnson and Johnson, 1995)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첨가물 중 천연 식물을 이용하여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감소를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PCC에서 선정한 온실가스 종류는 무엇인가? 20세기 이후 지구온난화의 가속화가 진행되면서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발생되어 인류의 삶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IPCC에서 선정한 온실가스 종류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프레온, 오존 등이 있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의 약 72%이며, 메탄은 약 18%로 차지하는 비율은 적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K. S., E. J. Noh, H. L. Zhao, S. H. Jung, S. S. Kang, and Y. S. Kim. 2005.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II by Platycodon grandiflorum saponin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Life Sci. 76: 2315-2328. 

  2. AOAC. 201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USA. 

  3. Choi, C. Y., J. Y. Kim, Y. S. Kim, Y. C. Chung, J. K. Seo, and H. G. Jeong. 2001.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elicits the release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 from murine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1: 1141-1151. 

  4. Crutzen P. 1995. The role of methane in atmospheric chemistry and climate.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uminant physiology. 291-316. 

  5. Duncan, D. 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1-6. 

  6. Goel, G. and H. P. Makkar. 2012. Methane mitigation from ruminants using tannins and saponins. Trop. Anim. Health Prod. 44: 729-739. 

  7. Grobner, M. A., D. E. Johnson, S. R. Goodall, and D. A. Benz. 1982. Sarsaponin effects on in vitro continuous flow fermentation of a high grain diet. J. Anim. Sci. 33: 64-66. 

  8. Hahn, Y. 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9. Hristov, A. N., T. A. McAllister, F. H. Van Herk, K. Cheng, C. J. Newbold, and P. R. Cheeke. 1999. Effect of yucca schidigera on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on in heifers. J. Anim. Sci. 77: 2554-2563. 

  10. Hwang, H. S., J. U. Ok, S. J. Lee, G. M. Chu, K. H. Kim, Y. K. Oh, S. S. Lee, and S. S. Lee. 2012. Effects of halogenated compound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and methane emissions. J. Life Sci. 22: 1187-1193. 

  11. Hwang, H. S., D. G. Ha, S. K. Lee, I. D. Lee, S. J. Lee, and S. S. Lee. 2013. Effects of terpenoids rich plant extract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Korean J. Organic Agric. 21: 629-646. 

  12. IPCC (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Johnson, K. A. and D. E. Johnson. 1995. Methane emissions from cattle. J. Anim. Sci. 73: 2483-2492. 

  14. Kim, D. R., J. J. Ha, J. T. Kim, and Y. H. Song. 2011. Evaluation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ccording to the intake levels of total mixed rations of hanwoo Cow. J. Anim. Sci. & Technol. (Kor). 53: 475-480. 

  15. Kim, E. T., L. L. Guan, S. J. Lee, S. M. Lee, S. S. Lee, I. D. Lee, S. K. Lee, and S. S. Lee. 2015. Effects of flavonoid-rich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inal methanogenesis, microbial popula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sian Australas. J. Anim. Sci. 28: 530-537. 

  16. Kim, J. H., S. Y. Lee, and S. I. Cho. 2003.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amellia japonica leaves on human leukemia cell line. Korea J. Herbol. 18: 93-93. 

  17. Kim, O. R.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Yucca smalliana Fer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8. Lee, H. Y., R. H. Kang, S. Y. Kim, S. I. Chung, and Y. S. Yoon. 2010. Platycodin D inhibits adipogenesis of 3T3-L1 cells by modulating kruppel-like factor 2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Phytother. Res. 24: S161-S167. 

  19. Lee, S. J. and J. N. Chung. 1977. Biochemical studies on ginseng saponins(IX). Korean Biochem. J. 10: 59-69. 2016. 

  20. Lee, S. J., S. K. Lee, M. S. Kim, and S. S. Lee. Effects of nitrate-rich extracts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J. Agric. Life. Sci. 50: 95-105. 

  21. Lee, S. Y., E. J. Hwang, G. H. Kim, Y. B. Choi, C. Y. Lim, and S. M. Ki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 Crop. Sci. 13: 93-100. 

  22. Lee, S. J., D. S. Oh, D. H. Kim, J. U. Ok, S. K. Lee, J. H. Lim, and S. S. Lee. 2015. Effects of long-chain fatty acids on in vitro rumen microbial popul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methane production. J. Agric. Life. Sci. 49: 47-56. 

  23. Lee, S. Y. and J. K. Ha. 2009. Mitigation strategies for enteric methane emission. Proceedings of 2009. Annual Congress of KSAST, KOREA. 1: 103-121. 

  24. Lim, C. Y., S. Y. Lee, B. S. Pyo, and S. M. Kim. 2006.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of extract from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 Crop. Sci. 14: 195-201. 

  25. Lopez, S., F. M. McIntosh, R. J. Wallace, and C. J. Newbold. 1999. Effect of adding acetogenic bacteria on methane production by mixed rumen microorganisms. Anim. Feed Sci. Technol. 78: 1-10. 

  26. Makkar, H. P. S., M. Blummel, N. K. Borowy, and K. Becker. 1993.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tannin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chemical and protein precipitation methods. J. Sci. Food Agric. 61:161-165. 

  27. Wei, M., L. Ren, Z. Zhou, and Q. Meng. 2012. Effect of addtion of three plant extracts on gas production, ruminal fermentation, methane producion and ruminal digestibility based on in vitro technique. J. Anim. Vet. Adv. 11: 4304-4309. 

  28. McCullough, M. E. and W. W. G.Smart Jr. 1968. Effects of intake of forge level on ruminal turnover rate, bacterial protein synthesis and duodenal amino acid flow in sheep. J. Anim. Sci. 62: 216. 

  29. McDougall, E. I. 1948. The composition and output of sheep's saliva. Biochem. J. 43: 99-109. 

  30. Newbold, C. J., S. M. El Hassan, J. Wang, M. E. Ortega, and R. J. Wallace. 1997. Influence of foliage from African multipurpose trees on activity of rumen protozoa and bacteria. Br. J. Nutr. 78: 237-249. 

  31. Odongo, N. E., R. Bagg, G. Vessie, P. Dick, M. M. Or-Rashid, S. E. Hook, J. T. Gray, E. Kebreab, J. France, and B. W. McBride. 2007. Long-term effects of feeding monensin on methane production in lactating dairy cows. J. Dairy Sci. 90: 1781-1788. 

  32. Ok, J. U. 2010. Analysis on various feed Additives utilization for methane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33. Ok, J. U., Y. C. Baek, K. H. Kim, S. C. Lee, Y. J. Seol, K. Y. Lee, C. W. Choi, C. O. Jeon, S. S. Lee, S. S. Lee, and Y. K. Oh. 2011. Effects of saponin contained plant extract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J. Anim. Sci. & Technol. (Kor). 53: 147-154. 

  34. Pen, B., C. Sar, B. Mwenya, K. Kuwaki, R. Morikawa, and J. Takahashi. 2006. Effects of Yucca schidigera and Quillaja saponaria extract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methane emission. Anim. Feed Sci. Technol. 129: 175-186. 

  35. SAS. 1996. SAS User Guide. Release 6.12 edition. SAS Inst. Inc. Cary NC. USA. 

  36. Sliwinski, B. J., M. Kreuzer, H. R. Wettstein, and A. Machmuller. 2002. Rumen fermentation and nitrogen balance of lambs fed diet containing plant extracts rich in tannins and saponins, and associated emissions of nitrogen and methane. Arch Anim Nutr. 56: 379-392. 

  37. Sur, P., T. Chaudhuri, J. R. Vedasiromoni, A. Gomes, and D. K. Ganguly.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y of saponins of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root extract. Phytother. Res. 12: 174-176. 

  38. Theodorou, M. K., B. A. Williams, M. S. Dhanoa, A. B. McAllan, and J. France. 1994. A simple gas production method using a pressure transducer to determine the fermentation kinetics of ruminant feeds. Anim. Feed Sci. Technol. 48: 185-197. 

  39. Wina, E., S. Muetzel, and K. Becker. 2005. The impact of saponins or saponin-containing plant materials on ruminant production a review. J. Agric. Food Chem. 53: 8093-8105. 

  40. Zhao, H. L., K. Cho, Y. W. Ha, T. Jeong, W. S. Lee, and Y. S. Kim. 2006.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platycodin D in hypercholesterolemic ICR mice. Eur. J. Pharmacol. 537: 166-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