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DACUM 직무분석
DACUM Job Analysis on Elementary Health Teachers' Rol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3, 2014년, pp.187 - 197  

이충란 (시랑초등학교) ,  송해덕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duties and tasks of elementary health teachers. Required knowledge, skills, and worker behaviors were also examined. Methods: Elementary health teachers' jobs were analyzed by DACUM workshop. First, the health teachers' roles and related job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ACUM 차트는 중요도, 수행빈도, 우선순위 등을 고려 하여 서열화, 계열화하였다. 동시에 보건교사가 과업을 수행 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목록화하였다. 워크숍 후에도 1주일간 이메일과 카카오톡 단체방을 통해 DACUM 차트를 다시 확인하고 검토하면서 수정 · 보완하였다.
  • 학교보건의 역사 이래 보건교사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나, 이들의 직무는 학문적, 법적, 제도적으로 재정립 되지 않아 이들로 하여금 직무 정체성과 역할 갈등을 겪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DACUM 직무분석을 통해 보건교사의 역할, 책무, 과업을 규명하고,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목록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DACUM 직무분석을 통하여 그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변화된 역할, 책임, 직무, 한계를 밝히고,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목록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DACUM 직무분석은 숙련된 작업자가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역량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제를 바탕으로 적용된다[24]. 첫째, 숙련된 작업자가 누구보다도 그들의 직무를 더 정확하게 기술하고 정의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학교 지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1986년 오타와 헌장을 통해 건강증진 시대를 선언하고, 1995년 건강증진학교(health-promoting schools) 를 표방하면서 건강증진학교 지침(guidelines) 제시하고 포괄적인 학교 건강교육 ․ 증진 활동을 지원 강화하는 노력을 해왔다. 건강증진학교 지침은 학교보건정책, 학교의 물리적 환경, 학교의 사회적 환경, 지역사회 유대관계, 개인건강기술, 학교보건봉사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영역에는 필수 적인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건강증진학교는 학생 뿐만 아니라, 교직원, 가족 및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을 증진 시키기 위해 학교 및 지역사회의 프로그램에 따라 건강한 환경, 보건교육, 보건서비스를 제공한다.
WHO는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적 사회적 건강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1946년 ‘건강은 단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 온전하고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제건강증진 회의를 통해 건강증진의 개념, 목적, 전략 등을 발전시켜 왔다.
현대의 사회 변화에 따라 떠오르는 건강문제들은 무엇인가? 현대의 복잡한 사회구조 및 급속한 사회 변화는 건강을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따른 생활습관병 및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고 신종감염병의 출현뿐만 아니라 비만, 우울 및 자살, 흡연 및 약물 오남용, 성폭력 및 학교폭력, 게임 중독과 같은 아동 ․ 청소년의 건강문제도 심각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적 사회적 건강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KS, Bae EK. A delphi study of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1):1-13. 

  2. Kim MH. Tomorrow for school health.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83;1(1):113-114. 

  3. Kim HJ. A study on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school nurs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5;38:33-44. 

  4. Kim HJ. Health concept by school heal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89;2(2):23-27. 

  5. Park SA. School nurse practitioner program. Korean Nurses. 1976;15(4):81-85. 

  6. Kim YI, Lee KY, Park EO. A survey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needs in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5;18(2):1-13. 

  7. Kim MJ. Problems and solution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3;39(1):57-67. 

  8. Kim YI. The distribution of school nurses and school health polic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0;13(1):1-18. 

  9. Kim JH. Management for school health. Korean Nurses. 1964;3(2):63-65. 

  10. Song YH. A study on support staffs in large class schools based on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106 p. 

  11. Lee KS, Kim HJ. A survey on activities of school nurs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72;9(1):139-156. 

  12. Lee SJ. A role of health teachers. Korean Nurses. 1975;14(1):32-34. 

  13. Ko Y, Lee IS. Clusters of health-promoting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WHO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3):282-291. 

  14. Seong OH. What problem does the school health service hav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1997;23(1):64-69. 

  15. Yang SO, Kwon MS, Jeong GH, Lee S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1):96-104. 

  16. Yang CK. A role of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91;4(1):126-127. 

  17. Choi JB. Development of a competency evaluation scale for korean health teachers [dissertation]. [Suwon]: Ajou University; 2011. 137 p. 

  18. Kim H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school health practitioners.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6;39:127-146. 

  19. Kim HK. Analysis of laws and regulations on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Educational Research. 2004;(23):93-105. 

  20. Kim HS.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2):147-158. 

  21. Park HJ, Cho HJ, Yi CR, Park YJ, Kim HW. Job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chool health. CR.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8 December. Report No.: CR2008-70-03. 

  22. Oh KO, Gang MH, Lee SH.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60-71. 

  23. Oh JA, Kwon JO.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3):341-350. 

  24. Norton RE. DACUM handbook. 2nd ed. Columbus OH: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7. 314 p. 

  25. Yoon DY, Cho SH, Bae EK. A study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e DACUM job analysis in Korea. Educational Culture Research. 2011;17(3):87-115. 

  26. Bae MY, Park OJ. A Study on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out school nurse' job.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5; 10(1):1-13. 

  27. Yang KJ. An analytical study on job's satisfactory degree of school nurses in school health services. Korean Nurses. 1986;25(2):49-71. 

  28. Chang KB. The analysis of the real condition of school health and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93;6(2):24-55. 

  29. Heo YJ.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Gyeonggi-do fire service academy based on the DACUM.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0;42(4):201-222. 

  30. Kim JM, Park YS.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the in-service education of school n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5;6:89-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