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정신건강사업 현황 및 관련 교육 요구도: 초중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대상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Mental Health Programs and the Needs for Related Training: Focusing on School Nurses and School Counselor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2, 2018년, pp.117 - 126  

진영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강미경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정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eenagers in Korea is suicide. Also, it is known that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identified based on the levels of perceived stress or depression is very po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mental health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보건인력을 대상으로 학생정신건강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학생정신건강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학교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효율적 제공기관으로 기여할 방법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정신건강사업의 내용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로 수행하고 있는지, 학생정신건강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행정적, 개인적, 서비스적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의 학생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역량강화에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정서 ‧ 행동특성검사 및 후속 관리의 문제점는 어떠한 측면들에서 확인하였는가? 학생정서 ‧ 행동특성검사 및 후속 관리의 문제점을 관리, 인력, 서비스, 기타의 4가지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관리체계 측면에서는 ‘학생 자살 등 사건발생시 책임부담이 크다(4.
인력 측면에서 보건, 상담교사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문제는? 인력 측면의 문제는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간 업무분장이 명확하지 않은 것과 근본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것이 지적되었다. 이는 ‘해결이 어려운 복합적이고 고위험의 어려움을 가진 학생에 대한 부담으로 전담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한 경상남도교육청의 사업 보고서와 비슷한 지적이다[18].
자살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자살사망이며 스트레스 인지율이나 우울경험률을 통해 확인한 정신적 건강상태는 매우 나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에 대해 학교에서는 학생정서 ‧행동특성검사와 학생정신건강사업을 실시하였으나 그 실효성이 낮을 뿐 아니라 오히려 관심군 학생들에 대한 낙인효과만 나타난다는 지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5-206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July 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1/index.board?bmoderead&aSeq359108. 

  2. Statistics Korea. 2016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July 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1/index.board?bmoderead&aSeq363695. 

  3.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Juvenile Statistics. [Internet]. Daejeon: Author; 2017 [cited 2018 July 16].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196542. 

  4. Kim MS.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5 Feb; 220:14-26. 

  5.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tatistics. Osong; 2017. 

  6. Ryoo KY, Shin YK, Eun BL, Park SH, Tocko YC. Adolescent depression in a provincial city. Journal of Korean Pediatric Society. 2000;43:172-187. 

  7. Mo SH, Kim HJ, Lee SY, Kim JH, Yoon KM. A study on mental health improvement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II. General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December. Report No.: 13-R16. 

  8. Ministry of Education,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 policy implementation announcement about 'support for student mental health services'. Osong; 2011. 

  9. Park ON. Experiences with guiding students with mental health support need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017;30(3):211-223.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211 

  10. Kang SY, Lee CH, Lee DH. A qualitative study on perception of school counselors about mental health problems and intervention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4;22(1):93-123. 

  11. Lee JH, Park HA. Survey study of current status of and need for mental health education enhancing protective factors in the elementary school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6;27(1):9-20.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9 

  12. Hong H, Ha K, Kim J, Kim W, Oh E. 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in Korea: students' mental health school community cooperative model.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6;44(2):140-166. 

  13. Kim SJ, Lee CS, Choi BS. School nurses' recognition about mental health problems of student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4;9(1):113-137. 

  14. Bae EK. The changes of Korean public mental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challenge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5;43(2):283-312. 

  15. Nabors LA, Reynolds MW. Program evaluation activities: Outcomes related to treatment for adolescents receiving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Children's Services: Social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2000;3(3):175-189. https://doi.org/10.1207/S15326918CS0303_4 

  16. Foster S, Rollefson M, Doksum T, Noonan D, Robinson G. School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2002-2003. [Internet]. Rockville, MD: Center for Mental Health Services,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05 [cited 2018 July 16]. Available from: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499056.pdf. 

  17. Langley AK, Nadeem E, Kataoka SH, Stein BD, Jaycox LH. Evidence-based mental health programs in schools: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School Mental Health. 2010;2:105-113. https://doi.org/10.1007/s12310-010-9038-1 

  18. South Gyeongsa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15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developing regional cooperation model for student mental health-to improve Mind Health School. Policy report. Osong: South Gyeongsang Education; 2015 December. Report No.: 2015-112. 

  19. You HJ, Kim BN, Shin YM, Park EJ, Lee KS, Lee MS. Mental health promotion service guideline for childhood and adolescents. Research Report. Os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Report No.: 11-1352000-001093-01. 

  20. Yun AR, Cho HN. The effects of job circumstance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s on youth counselor's burnout.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3;52(2):193-224. 

  21. Jeong CW. Theoretical structure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nd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2013;38:153-172. 

  22. Lee DY, Roh EM, Kim IY, Ko GN, Choi JW, Lee YR, et al. School-based short term mental health awareness and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4;25(4):196-202. https://doi.org/10.5765/jkacap.2014.25.4.196 

  23. Lee CH, Kang SY, Lee DH. A study on mental health improvement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II: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olicy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December. Report No.: 13-R16-2. 

  24. Park HS.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uicid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4):513-521. 

  25. Weist MD, Sander MA, Walrath C, Link B, Nabors L, Adelsheim S. Developing principles for best practice in expanded school mental health.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5; 34:7-13. https://doi.org/10.1007/s10964-005-13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