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양간호사의 공감, 자아탄력성, 자기관리가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athy, Resilience,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4, 2014년, pp.373 - 382  

조호진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  정면숙 (경상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y, resilience and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15, 2013. Participants were 171 oncology nurses ca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양간호사의 공감, 자아탄력성, 자기관리가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종양간호사(oncology nurses)는 암 환자들을 돌보는 간호사들로 암병동, 외래, 항암 화학요법 주사실, 조혈모세포 이식실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말한다[26]. 본 연구에서는 암병동이 따로 있는 병원의 암병동에서 암 환자들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을 지칭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종양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공감, 자아탄력성, 자기관리가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통한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공감피로를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양간호사들의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구체적으로 연구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공감피로가 높은 직업군으로 돌봄의 위치에 있는 간호사, 성직자, 상담사 등이며, 이들 중 대상자와의 공감적, 연민적 관계형성을 통해 더 많은 에너지를 투여하는 간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하였다[6]. 특히 간호 분야 중에서도 종양간호사, 호스피스 간호사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종양간호사들은 암 환자의 고통, 의학적 한계, 가족들의 고통 등 부정적인 경험을 통해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환자에 대한 죄책감 및 버거움 등을 느끼며, 이로 인한 높은 직무 스트레스와 공감피로 및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따라서 종양간호사들의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공감피로란 무엇인가? 그런데 대상자와 가족들에 대한 공감이 과도해지면 간호사에게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를 초래할 수 있다[3,4]. 공감피로는 자신의 회복력을 능가하는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서 나타나는 회복력 상실상태를 말하며[2],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공감 이외에도 자기관리, 개인적 자원, 삶의 요구도, 업무 부담감, 말기 환자 사례에 대한 부담감, 외상 환자에 대한 경험, 공감피로에 대한 지식, 개인적 스트레스, 공감만족, 사회적 또는 조직적 지지, 개인의 대처전략 등으로 나타났다[5]. 그리고 공감피로가 지속될 경우 소진, 감정적 또는 신체적 손상, 직무만족 저하, 생산성 저하, 이직의도 증가가 나타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다[4,5].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란 무엇인가? 그런데 대상자와 가족들에 대한 공감이 과도해지면 간호사에게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를 초래할 수 있다[3,4]. 공감피로는 자신의 회복력을 능가하는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서 나타나는 회복력 상실상태를 말하며[2], 공감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공감 이외에도 자기관리, 개인적 자원, 삶의 요구도, 업무 부담감, 말기 환자 사례에 대한 부담감, 외상 환자에 대한 경험, 공감피로에 대한 지식, 개인적 스트레스, 공감만족, 사회적 또는 조직적 지지, 개인의 대처전략 등으로 나타났다[5]. 그리고 공감피로가 지속될 경우 소진, 감정적 또는 신체적 손상, 직무만족 저하, 생산성 저하, 이직의도 증가가 나타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tson J. The theory of human caring: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Nursing Science Quarterly. 1997;10(1):49-52. http//dx.doi.org/10.1177/089431849701000114 

  2. Coetzee SK, Klopper HC.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0;12: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26.x 

  3. Abendroth M, Flannery J. Predicting the risk of compassion fatigue: A study of hospice nurses.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06;8(6):346-356. 

  4.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Figley CR, edito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1995. p. 1-20. 

  5. Yang YH, Kim JK. A literature review of compassion fatigue in nursing.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 38-51. http://dx.doi.org/10.7475/kjan.2012.24.1.38.x 

  6. Joinson C.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1992;22 (4):116, 118-9, 121. 

  7. Beck CT.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nurses: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11;25(1):1-10. http://dx.doi.org/10.1016/j.apnu.2010.05.005.x 

  8. Keidel G.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hospice caregiver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2002;19(3):200-205. http://dx.doi.org/10.1177/104990910201900312 

  9. Potter P, Deshidelds T, Berger J, Clarke M, Olsen S, Chen L. Evaluation of a compassion fatigue resiliency program for oncology nurses. Oncology Nursing Forum. 2013;40(2):180-187. http://dx.doi.org/10.1188/13.ONF.180-187. 

  10. Kim HJ, Choi HJ.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20-328.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11. Lee HJ.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compassion fatigue in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3. 

  12. Monroe A. Psychiatric nurses' management of compassion fatigue through self-care. Berkeley, CA: The Wright Institute; 2008. 

  13. Kim S, Kim JH, Park J,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 (3):145-155. 

  14.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14-23. 

  15.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2010. http://www.proqol.org/uploads/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16.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17. Huggard PK. Managing compassion fatigue: implication for medical education [dissertation]. New Zealand: University of Auckland; 2008. 

  18. Radley M, Figley CR. The social psychology of compassio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2007;35:207-214. http://dx.doi.org/10.1007/s10615-007-0087-3.x 

  19. Saakvitne KW, Pearlman LA. Transforming the pain: A workbook on vicarious traumatization. New York: Norton; 1996. 

  20. Alkema K, Linton JM, Davies R.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mong hospice professionals. Journal of Social Work End-of-life & Palliative Care. 2008;4(2):101-119. http://dx.doi.org/10.1080/15524250802353934.x 

  21.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 ca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58(11):1433-1441. http://dx.doi.org/10.1002/jclp.10090.x 

  22. Koloroutis M. Relationship-based care: A model for transforming practice. Minneapolis: Creative Health Care Management; 2007. p. 136-142. 

  23. Sabo B.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compassion fatigu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2011;16(1):1. http://dx.doi.org/10.3912/OJIN.Vol16No01Man01 

  24. Kim HJ.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dissertation].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13. 

  25. Jeon SY, Ha JY.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64-73. http://dx.doi.org/10.7475/kjan.2012.24.1.64 

  26. Newton S, Hickey M, Marrs J. Mosby's oncology nursing advisor: A comprehensive guide to clinical practice. St. Louis: Mosby/Elsevier; 2009. 

  27. Davis MH.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79. 

  28. Park SH.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Seoul: Moonumsa; 1997. 

  29. Yoo SK, Sim HW.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002;16(4):189-206. 

  30. Jone S. A self-care plan for hospice worker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2005;22(2):125-128. http://dx.doi.org/10.1177/1049909105022002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